View : 710 Download: 0

한시 화답 문화 이해를 통한 한・중 문화간 소통 능력 신장 교육 연구

Title
한시 화답 문화 이해를 통한 한・중 문화간 소통 능력 신장 교육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sponding Culture of Han-si(한시) in Pursuit of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ve Competency between Korean and Chinese Cultures : focus on "Si-Hwa-Chong-Rim(시화총림)"
Authors
CUI, WENJUAN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소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ponding Culture of Han-si between Korean and Chinese envoys in the traditional era in an effort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and how to foster communicative competence with different cultures. Korea and China have long had cultural ties with each other, and there has been continuing cultural exchange between two countries in diverse ways. Also, there has been growing contact and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people of the two nations since the establishment of mutual diplomatic relations. Traditionally, the people of both countries enjoyed composing Han-si, and one of significant cultural characteristics of Han-si is to composite and exchange Han-si, on which this study focused. And it's meant in this study to discuss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y between Korea and China. Chapter II discuss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Responding Culture of Han-si to improve 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between Korea and China,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it. The definition of communication varies from culture and culture, and communication is one of the key factors of culture by which culture is represented. Thus, there is an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nd it's mandatory for modern people who communicate with different cultures in pursuit of coliving to foster their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y. As literature is a mirror of human life, it's easy to grasp the aspect of communication when one takes a close look at culture in which the communication takes place. Han-si functioned as part of diplomatic literature that played a great role in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Unlike the other genres of literature, Han-si served as a vehicle of communication in the two nations. When an envoy from one country composed a poem and recited it, his counterpart from the other country composed another poem and recited it in return for that. This is called the Responding Culture of Han-si in this study, by which the envoys told what they wanted to say. Chapter III analyzed a collection of discourses on poetry "Si-Hwa-Chong-Rim," which put in order writings on the Responding Culture of Han-si between Korea and China, in order to grasp the function of that culture and the aspects of communication.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that culture is that envoys from the two countries used lots of friendly expressions, which was of great use for diplomatic relations as well as close interperonal relationship building. Thus, they tried to create mutually friendly environments to perform their missions successfully. Furthermore, literary men who enjoyed composing poems served as diplomats often, and they were able to improve their composition skills while they served as diplomats. Also, they were able to show what they could do when they composed a poem and present it to each other, and they recognized and complimented each other. Indeed, the exchange culture provided an opportunity for envoys from the two countries to get recognized and show their literary accomplishments. On the other hand, this culture also functioned as a place of competition between diplomats who represented each country. Namely, they boasted about their own culture and tried to put their own culture above the other. Namely, there was confrontation of civiliz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Chapter Ⅳ made a closer analysis of the aspects of communic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that were found in the previous chapter, and explored how to foster 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erms of emotional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t's relatively easier for the two nations to understand and empathize with each other thanks to time-honored cultural ties, but there have been ceaseless cultural differences and subsequent conflicts at the same time, which results in disturbing cultural communication. Korean and Chinese people should have the right understanding of each other's culture and embrace it. In terms of behavioral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they should take a more practical action after they understand each other. They should try to adapt themselves to each other and foster their strategic language ability to boost the efficiency of verbal communication. Finally, it's possible to acquire cultural knowledge on each other in three different dimensions in terms of cognitiv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Diplomats who were outstanding literary men enjoyed composing poems with their counterparts from the other country and shared their cultures. In addition, it's noteworthy that rivers and arbors described in writings of the exchange were of great cultural value as spaces of 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So far, this study focused on the cultural phenomena of classical literature that was a vehicle of communic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and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sponding Culture of Han-si between the two countries to categorize the aspects of their communication, and how to foster 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between Korea and China was explored. This study is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cultural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본 연구는 전통시대에 한 · 중 양국 사신들의 한시 화답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 중 문화간 소통에 나타난 양상을 살펴보고, 문화간 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 내용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과 중국은 예로부터 문화적인 유대관계로 다양한 문화 교류를 이루었다. 현대 양국의 수교 성립한 이래 나날이 인적 왕래가 밀접해지고 더욱 다양한 영역에서 깊은 소통 관계를 이루고 있다. 본고에서는 양국에서 공통적으로 향유되었던 한시에 접근하여 한시의 뚜렷한 문화적 특징 하나의 화답 문화에 주목하고, 한 · 중 문화간 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 내용을 마련하고자 한다. II장에서는 예비적 고찰로서 한시 화답 문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한 · 중 문화간 소통 능력 신장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문화는 의사소통을 규정하고, 의사소통은 문화의 핵심 요소이기 때문에 다양한 문화와 소통하며 살아가야 할 우리에게는 이런 문화간 소통 능력 신장은 절실히 필요하다. 또한 문학은 인간 삶의 반영이므로 그 가운데 의사소통의 양상을 쉽게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로부터 한 · 중 양국의 외교 활동에서 많이 등장한 외교 문학의 한 장으로서의 한시에 주목하게 되었다. 다른 문학의 의사소통 구조와 달리 한시는 소통의 매개물로 창시(唱詩)와 화시(和詩)를 하는 사신들이 특별한 소통 구조를 형성했다. 특히 한시의 발원지인 중국에서는 이런 소통자 역할을 지금까지 이끌어 오고 있다. 따라서 한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의 연구자들이 한시를 연구하고 있고, 정치인들도 중국과의 외교 석상에서 적극적으로 한시를 구사하고 있다. Ⅲ장에서는 한 · 중 양국의 한시 화답 기사가 잘 정리되어 있는 시화집『시화총림』을 연구 대상으로 양국의 화답 문화가 수행했던 기능에 주목하여 소통 양상을 살펴보았다. 전통시대에 양국 사신들의 화답 활동에서는 서로에 대한 친교적 표현이 가장 강하게 드러났다. 개인적 친분의 유지와 촉진뿐만 아니라 국가 대 국가 간의 소통이라는 차원에서 보면 이는 공식적인 외교 사무의 진행을 위해 우호적인 선행 환경을 만들었다. 또한, 시문을 즐겼던 문인들은 외교관원으로서 관원 일행과 같이 시문을 연마하는 경우가 많았고, 또 시를 지어 상대방에게 자신의 능력을 보여줌으로써 인정받거나 상대방의 시문을 보고 칭찬해주는 경우도 많았다. 한편, 이런 문화간 음시작부(吟詩作賦)는 자기 나라를 대표하는 외교 사절들의 경쟁심을 담고 있다. 사신들이 자문화를 자랑하며 상대국과 문명의 고하를 대결하고자 하는 것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양국 사신들이 서로 화답 과정에서 자문화를 전하거나 상대 문화 지식에 대한 수용을 볼 수 있다. Ⅳ에서는 Ⅲ장에서 분석한 한시 화답을 통한 한 · 중 소통 양상으로 어떠한 문화간 소통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을지에 대해 교육 내용을 마련해 보았다. 먼저, 문화간 감정적 소통 능력 측면에 주목하면, 한 · 중 간은 예로부터 문화적 유대 관계가 있었기 때문에 상호 이해와 공감이 비교적 용이했지만, 이와 동시에 문화 차이와 갈등도 수시로 생겼으므로, 문화 소통에 방해되는 면도 있었다고 하겠다. 따라서 양국 사람들에게 타문화에 대해 많이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여 올바른 인식을 함양하고, 또한 서로 공감대를 형성하고 넓게 포용하는 능력을 신장시켜야 한다. 그 다음 문화간 행동적 소통 능력 측면으로, 한 · 중 양국 소통자가 서로 알고 이해하는 것을 토대로 더욱 실제적인 행동을 행하는 것으로 나아가야 한다. 소통자들은 능동적 주체성을 충분히 발휘하여 상대에게 적극적으로 적응하고 참여하고, 이를 확장하여 언어적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추구하기 위해서 전략적이거나 창조적인 언어 사용 능력을 증진시켜야 한다. 마지막으로 문화간 인지적 소통 능력 측면을 고려하여, 두 가지 차원의 상호 문화적 지식을 얻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문화를 전수했던 역할로의 문명의 전수자와 강(江)과 누정(樓亭) 등의 전통시대 양국 문화 소통의 공간으로서의 문화적 가치가 이에 속한다. 요컨대 본 연구는 한 · 중 양국 간에 소통적 역할을 했던 고전문학의 문화적 현상에 주목하여 한시 화답을 살펴봄으로써 한 · 중 소통의 양상을 유형화하였다. 또한 이를 고려한 한 · 중 문화간 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 내용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 · 중 양국의 문화 소통이 더욱 활발해지고, 앞으로 더욱 성숙한 관계로 나아가는데 힘이 되길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