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6 Download: 0

영웅소설의 환상성에 대한 학습자의 수용 연구

Title
영웅소설의 환상성에 대한 학습자의 수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Learner's Acceptance to the Fantasy of Heroic Novels : Focus on 「HongGyewolJeon」
Authors
김명은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소연
Abstract
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거리감을 많이 갖고 있는 고전소설 중에서 학습자들이 가장 관심을 가질 만한 영웅소설의 환상성에 주목하였다. 학습자들의 작품 수용 단계를 중심으로 학습자들이 영웅소설의 환상성을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 다른 영웅소설과 고전소설의 수용 방향도 제안하고자 한다. 현대 사회에서 정보에 접근하는 방법이 다양해지고 주변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문학에서도 독자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독자가 작품을 수용하는 과정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작품과 의사소통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독자를 중시하는 흐름은 문학교육으로도 이어진다. 교사와 정전 중심의 문학교육에서 학습자를 중심으로 하여 고정적인 문학을 학습자에 의해 다양하게 수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보았다. 이에 영웅소설의 환상성을 살펴보는 데 있어서 학습자가 영웅소설의 환상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수용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교육의 구체인 학습자를 고려할 때 현실에서 벗어나는 것을 꿈꾸는 청소년기 학습자의 참여를 높일 수 있는 요소가 환상성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고전소설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환상성을 꼽을 수 있는데 그 중 영웅소설의 환상성이 당대 독자의 요구를 충실히 반영한 것이 때문이다. 여러 영웅소설들 중에서도 「홍계월전」을 중심으로 학습자의 수용을 살펴보았다. 「홍계월전」은 전형적인 영웅소설로 영웅소설의 환상성이 지니고 있는 특징들을 가장 극대화하여 보여주는 작품이다. Ⅱ장에서는 영웅소설의 환상성에 대한 학습자의 수용에 대해 논의를 하기 위해 예비적 고찰을 한다. 영웅소설과 「홍계월전」의 환상성에 대해 살펴보고 학습자의 수용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해 보았다. 먼저 영웅소설의 범위를 영웅의 일대기를 지니고 있으면서 집단이나 국가를 위한 영웅의 업적을 이룬 영웅이 주인공인 소설로 한정하여 논의를 진행한다. 이런 영웅소설에 드러난 환상성은 영웅의 일생에 따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환상성의 특징들이 「홍계월전」에서는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를 확인해본다. 학습자의 수용에 대한 이론적 고찰에서는 여러 수용미학에 대한 이론을 중심으로 텍스트와 텍스트의 기대지평, 독자와 독자의 기대지평을 살펴보고 독자의 텍스트 수용과정을 살펴본다. 그리고 이론을 바탕으로 고전소설교육에서 교육의 주체가 되는 학습자, 교수자, 텍스트에 대한 것을 살펴보고 ‘읽기 전-읽는 중-읽은 후’의 단계로 학습자의 작품 수용 단계 모형을 제시한다. 위 논의를 바탕으로 Ⅲ장에서는 학습자들이 「홍계월전」을 수용하는 양상을 살펴본다. 읽기 전 단계에서는 먼저 「홍계월전」 텍스트가 지니고 있는 기대지평을 살펴본다. 학습자들이 환상성에 대해서 환상성이 가진 비현실성, 현실 가능성, 즐거움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모습을 보고 「홍계월전」과 「홍계월전」의 환상성에 대해서는 특별한 기대지평이 없는 모습을 확인한다. 읽는 중 단계에서는 특히 영웅소설과 판타지 소설의 선호도에 따라 「홍계월전」의 환상성에 대해 다양한 태도를 보이는 모습, 주로 성별에 따라 「홍계월전」에 드러난 환상적인 요소에 다양한 반응을 보이는 모습, 주로 성적과 독서량에 따라「홍계월전」의 기대지평에 다르게 반응하는 모습, 학습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반응하는 모습을 확인한다. 읽은 후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홍계월전」을 수용한 후 어떠한 기대지평의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본다. 학습자들이 「홍계월전」을 학습한 후 「홍계월전」의 환상성에 대해 읽기 전 단계 보다 환상성이 독자의 욕망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환상성의 여러 요소 중 주인공의 뛰어난 능력 부분에 많이 반응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홍계월전」의 환상성에 대한 수용 태도는 주로 현재 익숙한 것을 중심으로 「홍계월전」의 환상성을 수용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작품 수용 단계를 적용한 것에 대해 글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어서 좋았다는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Ⅲ장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영웅소설의 환상성에 대한 학습자 수용의 교육적 활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현대를 살아가는 학습자와 당대를 살던 영웅소설의 수용자들이 동일하게 영웅소설을 수용하는 방식을 바탕으로 둘 사이의 거리를 좁힐 수 있다는 것을 밝히고 학습자 수용이 대부분의 학습자들에게 텍스트 해석의 다양한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것과 학습자의 욕망 파악을 통해 결핍 해소를 위한 기저를 마련한다는 의의에 대해 알아본다. 학습자의 수용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 방향은 학습자와 텍스트의 기대지평 점검을 통한 교수-학습 방향 설정, 텍스트와 의사소통을 통한 학습자 주도적 작품 감상, 사회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텍스트 기대지평과의 어울림 등을 제시해 본다. 본 연구를 통해 영웅소설을 비롯한 고전소설과 학습자들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논의가 확산되고 학습자의 텍스트 수용 단계가 다양한 텍스트에 적용되어 학습자들이 체계적이고 온전하게 텍스트를 수용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heroic fantasy which the learners of classical novels, which people have sense of distance, would be interested in the most. I am discussing about how the learners accept the heroic fantasy according to the art adoption stage and suggesting some ways of accepting other heroic or classical novels. With the information access method getting more diverse and the interest in peripheries getting higher in the modern society, literature is also paying more attention to its readers. When a reader is accepting a literary work, it means he or she is communicating with the work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s. This growing trend in literature is connected to literature education. Now the classical literature is regarded to be accepted in various ways by the learners differently from the past when the previous education was focusing only on the instructor and the literary works. Therefore, this study is trying to verify the way how the learners accept and appreciate the heroic fantasy in heroic novels. Considering the learners, the subject of education, the heroic fantasy can be a factor that would increase teenagers’ participation in education since they are willing to get out of the reality. Moreover, the fantasy itself is one of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novels, because it is a reflection of people’s demand of the day. This study is particularly dealing with 「HongGyewolJeon」to figure out how the learners accept the novel. 「HongGyewolJeon」is a typical heroic novel that shows the maximized characteristics of heroic fantasy. In chapter Ⅱ, the study takes the pre-consideration to discuss about the learner’s acceptance of heroic fantasy with a theoretical consideration after examining the fantasy in 「HongGyewolJeon」. Here we confine the definition of heroic novel to the novels that include a hero’s life story with his achievement he has accomplished for his people or his nation. In addition, the study discusses about the way how the characteristics are shown in 「Hong GyewolJeon」 after looking through the heroic fantasy along the hero’s life span. I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the learner’s acceptance, the study is dealing with the relationship or the horizon of expectations between the text and the reader as well as with the process of the reader’s acceptance based on various theories about acceptance aesthetics. Then, I suggest an art adoption stage which is comprised of three stages, pre-reading, on-reading and after-reading, on the basis of the theory after deeply studying instructors, text and the learner as a subject of education. Based on the discussion above, we will examine how the learners perceive 「HongGyewolJeon」 in Chapter III. As for the preliminary step before reading, the expectations held by the learners on the text of 「HongGyewolJeon」. The perceived non-reality, plausibility, and enjoyment contained in the fantasy of the story were examined, and the result of such an examination showed that the readers did not hold much of an expectation in terms of the fantasy of the story. During the reading phase, the diverse reactions on the fantasy of 「HongGyewolJeon」 based on the preference of the fantasy novels and heroic novels were examined, as well as the reactions by the gender to the fantasy of the story, as well. The reactions from the students to the expectations by the academic grades and the amount of books they usually read were also evaluated, where the reactions are mainly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readers. In the post-reading phase, we examined if there were any changes with the expectations held by the learners on the fantasy of 「HongGyewolJeon」 after they finished learning about it.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showed that he learners better understood the fantasy reflected the desires of the readers than before reading it, with a focus on the outstanding abilities of the main character. Also, the attitude toward the fantasy of 「HongGyewolJeon」 was confirmed to be that they accepted the contents with an emphasis on what they were familiar with in the present. The learners also thought of applying phased acceptance method for the novel to be helpful in letting them have a deeper insight. In Chapter IV, the possibilities of an educational application of the acceptance attitude on the fantasy of heroic novels were examin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 Chapter III. Firstly, it was verified that the similarities in accepting the contents of heroic novels in the readers of present and the past worked to familiarize the learners with the people of the past, while providing more possibilities in interpreting the text. It was also discovered as the implication that such a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desires of the learners may provide a foundation to resolve the deficiency, which will be explained in more details in the chapt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