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9 Download: 0

어머니의 양육 역할 수행과 유아의 자아개념 및 유치원 적응

Title
어머니의 양육 역할 수행과 유아의 자아개념 및 유치원 적응
Other Titles
Maternal child-rearing role practices, child's self-concept, and kindergarten adjustment
Authors
홍예진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희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amine a tendency of maternal child-rearing role practices, child's self-concept, and kindergarten adjustment,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child-rearing role practices, child's sel-concept and kindergarten adjustment. For that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are the maternal child-rearing role practices, child's self-concept, and kindergarten adjustment? 2. How is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child-rearing role practices and child's self-concept? 3. How is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child-rearing role practices and child's kindergarten adjust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8 children aged 5 who are attending the kindergarten, their mothers and their classroom teachers. In order to measure maternal child-rearing role practices, 'Parental Education Program: Child-rearing role practices' which was developed by KICCE(2012) was used. Pictorial self-concept scale 'I feel... Me feel" which was Im Chun-gum(1994)'s revision version of Bentley and Yeatts(1974)'s is used to measure child's self-concept. Also, to measure child's kindergarten adjustment, Kim Young-hee's revision version of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by Jewsuwan, Luster & Kostelink(1992) is used. The data collected from this study were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Cronbach's ɑ, and Pearson correlation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First, mothers perceived their maternal child-rearing role practices generally high. Highest to lowest area of maternal child-rearing role practices are basic needs role, developmental·educational role, and social support role. Also, children perceived their self-concept generally high and teachers graded their children's kindergarten adjustment highly. Children's highest adjustment was the adjustment to kindergarten routines and lowest adjustment was ego-strength.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partial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child-rearing role practices and child's self-concept. Mother's basic needs role and child's self-concept were slightly related. Third, maternal child-rearing role practices and child's kindergarten adjustment were related each other. Maternal child-rearing role practices and child's kindergarten adjustment, ego-strength, positive affect within the school setting, peer competence, adjustment to kindergarten routines were highly related. Also, child's kindergarten adjustment and maternal developmental·educational role, basic needs role, and social support role were highly related. Specifically, maternal basic needs role was related with positive affect within the school setting, ego-strength, adjustment to kindergarten routines, peer competence. Maternal developmental·educational role was related with ego-strength, positive affect within the school setting, peer competence, and adjustment to kindergarten routines. Maternal social support role was related with adjustment to kindergarten routines, peer competence, and ego-strnegth.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 역할 수행, 유아의 자아개념과 유치원 적응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고 어머니의 양육 역할 수행과 유아의 자아개념 및 유치원 적응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양육 역할 수행, 유아의 자아개념, 유치원 적응은 어떠한가? 2. 어머니의 양육 역할 수행과 유아의 자아개념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어머니의 양육 역할 수행과 유아의 유치원 적응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유치원 3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98명과 이들의 어머니 98명이었다. 어머니의 양육 역할 수행을 측정하기 위해 육아정책개발센터(2012)에서 개발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양육 역할 수행 수준 검사지’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자아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Bentley와 Yeatts(1974)가 공동 제작한 “I feel... Me feel"이라는 그림 검사도구를 임춘금(1994)이 우리나라의 유치원 현실에 적합하도록 수정·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유치원 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Jewsuwan, Luster와 Kostelink(1992)가 개발한 ‘유치원 적응 질문지(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PAQ)'를 번역하여 사용한 김영희(1995)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는 양육 역할 수행을 전반적으로 높게 인식하였다. 하위영역별로 기본적 욕구 충족의 역할, 발달지원 및 교육의 역할, 사회연계 역할 순으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도 자아개념을 전반적으로 높게 인식하였다. 유아의 유치원 적응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유치원 적응의 하위영역별 점수는 유치원 생활에서의 적응, 유치원 환경에서의 긍정적 정서, 친사회적 행동, 또래유능감, 자아강도 순이었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 역할 수행과 유아의 자아개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양육 역할 수행과 유아의 자아개념 간에는 부분적인 관계가 있었다. 어머니의 양육 역할 수행 중 기본 욕구 충족의 역할과 유아의 자아개념 간에는 유의미한 약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 역할 수행과 유아의 유치원 적응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양육 역할 수행 전체는 유치원 적응 전체, 친사회적 행동을 제외한 유치원 적응의 모든 하위영역과 유의미한 정적관계가 있었다. 또한 유아의 유치원 적응 전체와 어머니의 양육 역할 수행의 모든 하위역할과도 유의미한 정적관계가 있었다. 어머니의 양육 역할 수행의 하위영역과 유아의 유치원 적응의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어머니의 기본적 욕구 충족의 역할은 유아의 유치원 환경에서의 긍정적 정서, 자아강도, 유치원 생활에서의 적응, 또래 유능감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발달지원 및 교육의 역할은 유아의 자아강도, 유치원 환경에서의 긍정적 정서, 또래 유능감, 유치원 생활에서의 적응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사회연계 역할은 유아의 유치원 생활에서의 적응, 또래 유능감, 자아강도와 유의미하지만 약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