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8 Download: 0

어휘 학습 방법과 집단 유형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어휘 학습 방법과 집단 유형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Vocabulary Learning Methods and Group Types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Vocabulary Learning and Attitude
Authors
김현정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혜순
Abstract
현대 사회가 세계화, 정보화되어 감에 따라 업무, 학업, 또는 여가 등의 목적으로 세계인들과 의사소통해야 할 기회가 증가되고 있어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능력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목표어로 성공적이고 적절하게 의사소통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어휘 지식이 필수적이므로 외국어 교육에서 어휘 교수‧학습은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Anderson & Freebody, 1981). 어휘 지식 없이는 의미 있는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외국어를 학습하는 데 있어서 어휘가 매우 큰 비중을 차지(Decarrico, 2001)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국내외적으로 외국어 교육은 의사소통능력에 초점이 주어질 뿐, 어휘는 언어를 기능적으로 사용하는 데 필요한 부차적인 요소로 인식되어 우리나라의 중‧고등학교 이상의 기관에서는 어휘에 대한 교육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한종임, 2004). 현재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교육현장에서의 어휘 지도는 교사가 어휘의 뜻을 제공해 주는 명시적인 어휘 교수에 치중되어 있는 실정으로, 어휘 학습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더욱 실제적이고 유용한 어휘 교수 방법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영화를 활용한 수업에서 학습 방법(교사설명, 과업수행)과 집단 유형(개별, 조별)의 차이가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어휘의 단기‧지연 표현력과 이해력, 그리고 어휘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교육적 시사점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에 위치한 중학교 3학년 영어 학습자 120명을 대상으로 약 6주 동안 총 6차시의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목표 어휘 선정을 위한 사전 어휘 평가와 사전 설문을 실시한 뒤 학습자들은 네 실험집단으로 나뉘어 수업에 참여하였다. 실험집단A(교사설명-개별)는 영화를 보기 전에 교사가 명시적인 설명을 한 뒤, 영화를 보고 나서 개별적으로 연습문제를 풀고 답을 점검하도록 하였고, 실험집단B(교사설명-조별)는 동일한 과정을 조원들과 협동하여 하도록 하였다. 반면, 실험집단C(과업수행-개별)는 영화를 보고 개별적으로 다양한 과업 활동을 한 뒤, 발표해보며 피드백 시간을 가졌고, 실험집단D(과업수행-조별)는 동일한 과정을 조별로 수행하도록 하였다. 이 두 집단은 과업 수행 과정 중에 목표 어휘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도록 하고, 어휘를 계속 사용해 볼 수 있도록 하여 암시적인 어휘 학습이 일어나도록 하였다. 각 차시의 실험 직후, 그 날 학습한 어휘에 대해 표현력 및 이해력으로 구성된 단기 어휘 평가를 진행하였고, 각 차시 실험 2주 후에는 동일한 어휘를 가지고 순서만 달리하여 지연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이 모두 끝난 이후에는 사후 설문과 심층 면담을 통해 학습자들의 정의적 측면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실험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의 단기 표현력 점수를 살펴본 결과, 어휘 학습 방법에 따라 학습자들의 단기 표현력 평가 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단기 표현력 향상에 있어서 교사설명 중심의 명시적 어휘 학습 방법이 과업수행 중심의 암시적 어휘 학습 방법보다 학습자들의 단기 표현력 향상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어휘의 지연 표현력 평가 점수를 분석한 결과, 집단 유형에 따라 학습자들의 지연 표현력 평가 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다. 즉, 지연 표현력 향상에 있어서 협동학습이 개별학습보다 학습자들에게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어휘의 단기 이해력 점수를 살펴본 결과, 어휘 학습 방법과 집단 유형 모두 학습자들의 단기 이해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으며, 어휘 학습 방법과 집단 유형 간의 상호작용 효과 또한 없었다. 비록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지는 않았지만 개별학습 집단과 조별학습 집단 모두 명시적 어휘 학습을 한 집단의 단기 어휘 이해력 점수가 높았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넷째, 어휘의 지연 이해력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어휘 학습 방법과 집단 유형에 따라 학습자들의 지연 이해력 평가 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두 변인 간에 상호작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연 이해력 향상에 있어서 암시적 어휘 학습이 명시적 어휘 학습보다, 협동학습이 개별학습보다 학습자들에게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어휘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어휘 학습 방법에 대한 실험 전 선호도에 있어서 학습자들은 개별학습과 협동학습을 비교적 고르게 선호하고 있었고, 학습 방법에 대해서는 과업수행 방법을 교사설명 중심의 방법보다 선호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어휘 학습에 대한 흥미, 자신감, 동기, 영화 활용 어휘 수업에 대한 태도에 관한 실험 전과 후의 반응을 비교해본 결과, 모든 영역에서 실험 후의 점수가 향상되었으며 특히, 흥미도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여 협동학습에 더욱 흥미를 느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후의 만족도에 대해서는 집단 유형의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협동학습에 더욱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 방법과 집단 유형 간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즉, 교사설명 중심의 명시적인 어휘 학습을 할 경우에는 개별학습에, 과업수행 중심의 암시적인 어휘 학습을 할 경우에는 협동학습에 만족감을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영어 교육 현장에 주는 교육적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의 어휘 단기 기억에 있어서는 단시간에 어휘의 돌출성(saliency)을 높여줄 수 있는 명시적 어휘 학습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교사설명 중심의 명시적 어휘 수업을 설계할 경우, 수동적으로 단어의 뜻을 받아 적게 한다거나 지나치게 연습문제 풀이에만 집중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더욱 유의미하게 할 수 있는 방안들을 고안해볼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자들의 어휘의 장기 기억을 위해서 암시적 어휘 학습 방법의 사용이 권장된다. 선수능력을 갖춘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종류의 과업을 활용하여 암시적 어휘 교수를 진행한다면 Huckin과 Coady(1999)와 Joe(1995)가 보고한 것처럼 어휘 학습과 동시에 읽기, 듣기, 말하기, 쓰기 등의 언어 기능 학습도 동시에 가능하게 되어 교육적인 효과가 더욱 클 것이라고 예상된다. 셋째, 어휘 교수에서 협동학습의 적절한 사용은 학습자들의 흥미도, 만족도를 높여주어 어휘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학습자들은 협동학습을 하면서 기억에 흔적(trace)을 남겨 시간이 흐른 후에도 어휘를 재생시켜내는 데 더 수월하며, 자신들이 알고 있는 지식을 강화시키고 내면화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어 어휘의 장기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단, 일부 학습자들은 교사설명 중심의 명시적 어휘 학습의 경우에는 협동학습이 불필요하다고 느끼는 경우가 있었으므로 학습자의 요구 분석 및 학습목표와의 연관성에 따라 적절한 사용이 요구된다. 넷째, 궁극적으로 학습자들의 어휘 표현력과 이해력을 고루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어휘 학습 방법과 집단 유형의 균형 있고, 통합적인 사용이 권장된다. 연구 결과, 단기 어휘력에서는 명시적 어휘 학습 방법이 효과적이었던 반면, 지연 어휘력에서는 암시적 어휘 학습 방법이 효과적이었던 것처럼 학습목표와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사용하면 학습자들의 어휘 능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어휘 학습 시간이 부족한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이 흥미를 가지고 효과적으로 어휘를 학습할 수 있도록 교사설명 중심의 명시적 어휘 학습, 과업수행 중심의 암시적 어휘 학습, 개별학습, 협동학습을 통합적이고 균형 있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The primary goal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to develop learners' communicative competence in order to communicate successfully. For effective communication, it is essential to acquire basic vocabulary knowledge. However, vocabulary instruction has not been carried out properly in many ESL classrooms and vocabulary learning has just been regarded as the part of learners' self-study. Thus, as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learning is highlighted, it is needed to find ways for effective and useful vocabulary instruc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vocabulary learning methods(explicit vs. implicit learning) and group types(individual vs. cooperative learning)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vocabulary learning ability and attitude and to find pedagogical implica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over a six-week period with 120 Korean advanced learners of English in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The experiment started with a diagnostic pre-test for selecting target words and a pre-survey for checking learning attitude. According to vocabulary learning methods and learning group types, stude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participated in one of four different vocabulary classes. Each class learned 30 new English words, 5 for each lesson. Group A and B were involved in explicit vocabulary instruction. To be more specific, in Group A(explicit-individual group), the teacher explained definitions of the target words explicitly before movie session. After watching the movie, students completed the worksheet and checked the answers individually. Group B(explicit-cooperative group) learned the target words in the same way as Group A, but with group members. On the other hand, Group C and D were engaged in implicit vocabulary instruction. More specifically, Group C(implicit-individual group) watched the movie without teacher's explanation on the target words. After watching it, they were engaged in various task-based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individually and then make a presentation for teacher's feedback. Group D(implicit-cooperative group) did the same thing, but cooperatively. After each class, the immediate tes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hort-term effects of the vocabulary instruction, and the retention test was given 2 weeks after each class to examine delayed effects. Each post-test consists of 5 productive and 5 receptive test items. Lastly, the experiment ended with a post-survey and an interview, which reveal students' change in learning attitude towards explicit a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done individually or cooperativel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ith regard to productive knowledge, first, Group A and B show higher scores than Group C and D on immediate test. It reveals that explicit vocabulary learning method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ability to produce vocabulary in a short-term period. Second, on retention tests, Group B and D show higher scores than Group A and C. It means that cooperative learning is more effective for learners' long-term retention to produce vocabulary. However, none of these tests for productive knowledge show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vocabulary learning method and group types. Meanwhile, as for receptive knowledge, thir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on immediate tests, though the scores of Group A and B were slightly higher than the others. Fourth, on retention tests, Group D shows the highest score, followed by Group B, C, A and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 between Group A and D. It reveals that explicit vocabulary learning method and cooperative learning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learners' long-term retention to comprehend vocabulary than implicit method and individual learning respectively. However, both immediate and retention tests for receptive knowledge also do not show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vocabulary learning method and group types. Fifth, with respect to learning attitude, all the groups show improvement in affective domains such as interest, confidence, motivation, and attitude in vocabulary learning. Espec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 in the domain of interest, which shows that students have more interest in learning cooperatively than individually. On the domain of preference on pre-survey, students respond that they prefer implicit learning to explicit one and show their preference for cooperative learning to individual learning. On the domain of satisfaction on post-survey, it turns out that students are more satisfied with cooperative learning.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there is an interaction between vocabulary learning method and group types. That is, when students are engaged in explicit learning, they are more satisfied with individual learning, while when involved in implicit learning, they are more content with learning cooperatively.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experiment, the following pedagogical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First, explicit vocabulary learning is recommended to improve learners' vocabulary knowledge in a short-term period, because it can enhance the saliency of the vocabulary in a short period of time. However, it is needed to design explicit vocabulary instruction in more meaningful way out of passive styles such as mechanically taking down the definition. Seco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meanwhile, is recommended to facilitate learners' long-term retention of vocabulary. Especially,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through various tasks requiring learners to attend to new vocabulary and use it will develop 4 language skills such as reading, listening, speaking, and writing as well as vocabulary acquisition(Hucking & Coady, 1999). Third, cooperative learning is regarded as a good way to promote learner's vocabulary acquisition. Cooperative learning is especially beneficial to long-term retention of vocabulary in that it gives learners opportunities to reinforce and internalize their vocabulary knowledge through interaction. However, when it comes to explicit vocabulary learning, some learners do not think cooperative learning is useful, so it should be carefully used taking learners' needs and learning objectives into consideration. In conclusion, it is found that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is beneficial to learners for successful retention of the target vocabulary, and explicit vocabulary learning for short-term vocabulary knowledge. Thus, in order to develop productive and receptive vocabulary knowledge comprehensively, vocabulary instruction should be carried out in ESL classrooms carefully considering learning method and group types based on learners' needs and learning objectives. Further study is needed to find more ways for effective and useful vocabulary instru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