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6 Download: 0

Study on Competencies for Subject Matter Expert (SME) Trainers

Title
Study on Competencies for Subject Matter Expert (SME) Trainers
Other Titles
사내 내용전문가 강사 (SME Trainer) 의 역량에 관한 연구 : A 기업의 사례연구
Authors
박지혜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백지연
Abstract
The number of globally successful companies is increasing so that it is critical to satisfy the customer’s needs and provide differentiated values to customers in order to win the market. As a result, the development of employees has become more important and workforce training is considered as one of the core business strategies to achieve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However, to save time and expenditures on external trainers, SME trainers often step in it because they are recognized for their specialization at their work position in the company. Therefore, given the fact of the importance of workplace training and an SME trainer’s ro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quired competencies for SME trainers. This study provides a preliminary basis for understanding the competencies needed for SME trainers by describing the competency criteria generally used in selecting SME trainers and the competencies of successful/failed SME trainers. For this qualitative research, in-depth interviews utilizing the Critical Incident Technique (CIT) were conducted with the 27 HRD professionals. The interview participants were asked to describe the competency criteria they generally use in selection of the SMEs and successful competencies they have witnessed after assigning them as trainers. The findings revealed that an SME trainer needs to be pre-equipped with certain competencies to meet the competency criteria, but he or she is still in need of further competency development. General competency criteria for selecting SME trainers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attributes, and knowledge and skills. Attributes was divided into ability and attitude, and knowledge and skills was sub-divided into 4 main themes: company-related knowledge, work-related knowledge, interpersonal skills, and job-related skills. Each of them contains various sub-categories and indicators. Interviewees also identified successful competencies of SME trainers that should-be-(more)-developed after they observed SME trainers during the training program. Attributes was still categorized into ability and attitude, but the number of sub-themes is increasing and they are different from the required ones. Competencies about knowledge and skills were differentiated from the selection process in that training program-related knowledge, instruction-related knowledge, and course management skills are included with changes in the sub-themes. Based on the findings that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future researchers may extend to compare the importance between SME’s needed competencies and define trainable competencies of SME trainers.;전 세계적으로 성공적인 사업을 펼치고 있는 기업들의 수가 늘고 있는 가운데 시장에서 지속적인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고객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임직원들의 역량(Competency) 개발이 더욱 중요해졌고 사내교육은 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경영 전략 중 하나로 자리하게 되었다. 그러나 외부 강사 고용 시 발생되는 시간적, 경제적 부담으로 인해 기업에서는 직무에 대해 높은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는 내용전문가(Subject Matter Experts)들을 강사로 투입하는 경우가 많다. 기업 교육과 내용전문가의 역할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는 사내의 내용전문가 강사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이 무엇인지 조사하는 것에 그 목적이 두었다. 본 연구는 내용전문가 강사 선발 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역량 기준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그들의 강사 활동을 관찰하며 추가적으로 어떤 역량이 도출되었는지 조사함으로써 내용전문가 강사들의 필요 역량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으로는 현재 토대가 될 만한 선행 연구가 많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여 질적 연구 방법을 취하였으며, 현직 기업교육 담당자(HRD Professionals) 27명을 대상으로 핵심사건 조사기법(Critical Incident Technique) 을 활용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교육 담당자들은 어떤 기준으로 내용전문가를 강사로 선발하는지, 실제 강의 투입 후에는 어떤 역량을 지닌 내용전문가의 성과가 좋았는지에 대해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 사내강사로 선발되기 위해 내용전문가들이 보유하고 있어야 하는 특정 역량들이 발견되었고, 이렇게 선발된 후에도 지속적인 역량 개발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우선, 강사 선발 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역량 기준은 자질(Attributes)과, 지식 및 기술(Knowledge and Skills) 의 두 항목으로 분류되었다. 자질은 능력(Ability)과 자세(Attitude)로 나뉘었고, 이 가운데 ‘성실하고 책임감 있는 자세’, ‘역할에 대한 동기부여 정도’, ‘회사에 대한 충성심 보유’ 항목에 대한 응답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지식 및 기술은 회사 관련 지식, 업무 관련 지식, 대인관계 기술, 업무 관련 기술로 세분화 되었으며, ‘업무에 대한 지식’, ‘조직문화에 대한 지식’, ‘언어적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응답 비율이 높았다. 또한 내용전문가들이 강사로 활동하는 모습을 관찰하며 성공적인 강의를 위해 더욱 개발되어야 할 역량은 무엇인지 밝혔다. 자질 영역은 여전히 능력과 자세 부문으로 세분화되었지만 더욱 개발해야 할 하위 역량의 수는 증가하였고, 선발 기준과는 다른 역량인 ‘열정적이고 의욕적인 자세’, ‘교육생들에 대한 공감 자세’, ‘자기반성적 자세’ 등이 추가로 언급되었다. 지식과 기술 영역 역시 선발 기준과 달리 교육과정 관련 지식, 교육학적 지식, 수업운영 기술이 추가되었고 하위 역량 내용에도 차이가 있었다. 특히 교육 담당자들로부터 많이 언급된 역량 내용으로는 ‘교육참가자에 대한 사전지식’,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 기술’, ‘동기부여 기술’, ‘프리젠테이션 기술’, ‘기업 가치에 대한 지식’ 이 있었다. 본 연구는 그 간 연구가 미비하였던 사내 내용전문가 강사의 필요 역량에 주목하여 해당 영역의 연구에 기초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향후 연구자들은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양적 연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