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혁-
dc.contributor.author김선경-
dc.creator김선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4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6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6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647-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proposes a demonstration of critic class for Korean based on the viewpoint of field teacher so as to provide a class model of application method for critic class. For that, a process of research is being carried out as follows. First, exploring a literature as well as a precedent study on Korean class is being taken in order to set a goal and undergoes analysis for categorizing. Second, selecting factors and processes of critic class for Korean through documentary research on lesson analysis. Third, lesson analysis performed for pre-service teachers and teachers based on the previous step. Fourth, suggesting application method of Korean critic class for developing specialty in the light of previous case study of lesson analysis.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theoretical lesson analysis, a three step lesson framework titled as ‘pre-stage’, ‘while stage’ and ‘post-stage’ was applied and conduct an analysis of lesson analysis and identification disclosure in class preparation. Post-stage consists of main subject underscored and lesson transcript and fill in the comment for class review. Since there are three factors of class critic: teacher, lesson content and learners, study explores the critic as following three categories: lesson analysis in the view of teacher’s self-reflection, in the view of content and in the view of learning. The conclusion grounded on the criteria is shown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has a fear of class management which makes them spend a lot of time for a perfect preparation before class. Time control leaves much to be desired even though they make an attempt to teach sufficient amount of material. Concerning to the motivation, various episodes of teachers themselves as well as students related to Korean literature drew interest on lesson content. For learners, class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was successfully observed without acquaintance of the instructor, presenting a joy of exerting his/her right to speak about their experience. Second, teachers in the field show a confident in class management through experience which causes short preparation time compared with pre-service teachers. Lesson flows with the focus on lesson goals in a condensed form which are needed for learners. Lesson contents consist of knowledge for grammatical structure prior to the whole context. For learners, unfamiliar situation causes a little nervous, nevertheless, active participation on class was shown in virtue of close relationship. Based on the research, the application method of Korean critic class for enhancing communication skills of Korean teachers show as follows; For a foundation of raising specialty in teaching Korean, class review change class content oriented by teacher into learner-centered learning . By identifying critics for lesson, study shed a light on not only class design and practice, and reflection for teachers but educating pre-service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 교사의 수업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현장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사 연구자로서 국어과 수업 비평의 실제를 보여주고, 이를 통해 국어과 수업 비평의 활용 방안을 제공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음의 과정을 거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국어과 수업과 관련된 문헌 조사 및 선행 연구의 분석을 실시하여 연구의 방향을 설정한 후 유형화하여 분석을 하였다. 둘째, 수업 분석에 관련된 이론 검토를 통해 국어과 수업 비평의 과정과 요소를 선정하였다. 셋째, 이를 바탕으로, 국어과 예비 교사와 현장 교사의 수업 비평을 실제로 하였다. 넷째, 앞서 진행된 국어과 수업 비평 사례를 통하여 국어 교사의 수업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국어과 수업 비평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수업 분석에 관한 이론적 검토를 토대로, 국어과 수업 비평의 과정을 크게 수업 준비, 수업 실연, 수업 후로 나누고, 수업 준비 과정에서 교사의 자기 노출과 수업 계획안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수업 실연 과정에서 수업 촬영 및 수업 관찰 과정을 검토하였다. 수업 후 과정은 수업 전사 및 핵심 주제를 부각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업 비평문을 실제로 작성한다. 이와 함께 국어과 수업의 비평 요소로는 교사, 교과 내용, 학습자며, 이를 바탕으로 국어과 수업 비평을 교사 내면 중심으로 수업보기, 교과 내용 중심으로 수업 보기, 학습자의 배움 중심으로 수업 보기로 하였다. 이러한 기준을 토대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 교사의 경우 교사 스스로 수업에 대한 두려움을 갖고 있었으며, 이에 수업을 준비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준비하였다. 또한 많은 자료를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수업 시간을 조정하는 데 능숙하지 못하여 어려움을 겪었다. 교과 내용은 문학과 관련된 내용으로 학습자들의 경험 및 교사의 경험을 이야기할 수 있는 화제가 풍부하여 흥미를 이끌 수 있었다. 학습자의 경우 익숙한 교사가 아니지만 가능한 한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협력하려는 모습을 보여준다. 실제 경험을 이야기 할 수 있는 기회에 즐거움을 느끼는 모습을 보인다. 현장 교사의 경우 교사는 여러 차례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여 수업에 대해 자신감이 있으며, 이에 수업을 준비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지 않았다. 교사 스스로 학습자에게 필요한 내용만을 전달하려는 목적으로 간략하게 요약 정리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교과 내용은 문법에 관련된 내용으로 학습자들이 이해할 내용보다는 기억하고 넘어가야 할 지식적인 요소들이 많다. 학습자의 경우 평소와 다른 수업 환경에 노출되어 다소 긴장된 모습을 보이지만 교사와의 관계 형성이 좋아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어 교사의 수업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국어과 수업 비평의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국어 교사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토대로서 수업 비평은 학습자 중심의 교과 내용 변환과 교사 중심의 교수 · 학습방법 점검에 도움이 된다. 수업 비평 작업을 통해 수업 설계 및 실행, 수업 반성 및 성찰 능력 등 수업 비평을 활용한 예비 교사 교육 과정의 예시를 보임으로써 실제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자기 수업 성찰을 통해 수업 대화 공동체가 형성될 수 있도록 수업 대화 공동체 활성화 단계를 제시하여, 현장 교사의 수업 성찰 능력을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5 1. 연구 대상 및 내용 5 2. 연구 방법 6 C. 선행 연구 검토 8 1. 국어과 수업 실행 분석에 대한 연구 8 2. 국어과 수업 평가에 대한 연구 9 Ⅱ. 국어과 수업 비평의 과정 및 요소 12 A. 국어과 수업 비평의 과정 14 1. 수업 보기 준비 과정 15 가. 교사의 자기 노출 15 나. 수업 계획안 분석 17 2. 수업 실연 과정 18 가. 수업 촬영의 의미 18 나. 수업 관찰 방법 19 3. 수업 후 과정 20 가. 수업 전사 및 핵심 주제 부각 21 나. 수업 비평문 작성 22 B. 국어과 수업 비평의 요소 24 1. 국어과 수업에서 교사 25 2. 국어과 수업에서 교수 · 학습 내용 및 방법 27 3. 국어과 수업에서 학습자 29 Ⅲ. 국어과 수업 비평의 실제 32 A. 국어과 예비 교사의 수업 비평 33 1. 교사의 내면 중심으로 수업 보기 33 2. 교수 · 학습 내용 중심으로 수업 보기 37 3. 학습자의 배움 중심으로 수업 보기 40 B. 국어과 현장 교사의 수업 비평 42 1. 교사의 내면 중심으로 수업 보기 42 2. 교수 · 학습 내용 중심으로 수업 보기 46 3. 학습자의 배움 중심으로 수업 보기 46 Ⅳ. 국어과 수업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비평 활용 방안 48 A. 국어과 교사의 수업 표현 전략 48 1. 학습자 중심의 교과 내용 변환 49 가. 학습자 수준에 적절한 어휘 사용 49 나. 상황 맥락에 맞는 실생활 예시 49 2. 교수 · 학습 방법 점검 50 가. 학습 내용에 적합한 교수 · 학습 방법 선택 50 나. 상황 맥락에 적절한 교수 · 학습 방법 적용 51 B. 교사의 자기 반성적 사고 52 1. 예비 교사 교육에의 시사점 제공 52 가. 수업 설계 및 실행 능력에 도움 53 나. 수업 반성 및 성찰 능력에 도움 54 2. 현장 교사 수업 성찰 능력 신장 55 가. 자기 수업 성찰 56 나. 수업 대화 공동체 형성 58 Ⅴ. 결론 및 제언 60 참고문헌 62 부록 72 ABSTRACT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076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국어 교사의 수업 의사소통 능력 향상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수업 비평 사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Methods of Enhancing Communication Skills of Korean Language Teacher in Class : Based on Cases of Class Analysis-
dc.creator.othernameKim Seon kyeong-
dc.format.pagex,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