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5 Download: 0

고등학교『국사』교과서의 인물서술 분석

Title
고등학교『국사』교과서의 인물서술 분석
Authors
신은영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완기
Abstract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인물서술의 표현형식을 행위설명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발견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서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과서 본문에 서술된 인물들을 서술형식에 따라 각각 명시적제시·합리적설명·성향적설명 방식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행위설명방식의 수용 가능성 여부를 검토해보았다. 또한 현행 교과서의 인물서술을 행위설명방식을 적용한 서술양식으로 재구성해봄으로써 보다 개선된 인물서술방안의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인물서술은 대부분 명시적 형태를 띄고 있었다. 이처럼 지나치게 자주 명시적 제시를 사용한 결과 불필요한 인명의 수가 많아졌다고 판단된다. 교과서에서 명시적 제시가 주류를 이룰 경우 학습량 과다 현상을 초래하고, 학생들은 역사를 암기위주의 과목으로 인식할 우려가 있다. 또한 교과서 내용을 진리로 받아들이고, 이들 사건에 역사적 의미를 부여하기보다는 사건 그 자체를 기억하는데 치중함으로써 폭넓은 역사이해를 저해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둘째, 교과서 인물서술에서 합리적 설명 방식이 차지하는 비중은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교과서가 사건 중심적 서술 체제를 띈다는 이유만으로 서술양식에 관심을 두지 않는다면, 학습자들에게 교과서는 구체적 사건으로 가득 채워진 무미건조한 것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기존의 딱딱하고 건조한 서술양식을 극복하기 위해 합리적 설명 방식을 보다 많이 수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합리적 설명 방식을 취하고 있는 인물서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합리적 설명 방식은 목적의식이 뚜렷하고 상황적 배경이 분명하며 행위자의 계산을 비교적 잘 밝혀줄 수 있을만한 인물을 설명하는데 유용한데, 이같은 점에서 볼 때 교과서 속에서 합리적 설명 방식을 취한 인물 선정은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행위자가 목적 달성을 위해 선택하게 되는 여러 가지 수단에 대한 언급이 미약한 편이어서, 현행 교과서의 서술체계만으로는 역사 속 행위자의 행위결정과정을 인식하기 어려운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성향적 설명 방식을 분석한 결과 교과서의 인물 서술에서 성향적 설명은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었다. 이는 성향적 설명 방식 자체가 갖는 한계점에서 기인한다고 판단하여 이를 보완할 방안에 대해 논의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과서 속에서 명시적 제시가 갖추어야 할 방향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적재적소에 명시적 제시를 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한 인명 나열을 최소화해야 한다. 다음으로 합리적 설명이나 성향적 설명 방식의 비중을 높임으로써 학생들에게 역사적 사건이 역사 속 인물의 행위결정과정을 통해 이루어진 것임을 인식시키고, 나아가 다양한 역사해석과 이해의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에 서술된 구체적 사례 몇 가지를 중심으로 행위설명방식의 수용 가능성 여부를 논의해보았고, 나아가 교과서의 인물서술을 행위설명방식을 적용한 서술양식으로 재구성해봄으로써 바람직한 인물서술을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해볼 수 있었다. 둘째, 기존의 딱딱하고 건조한 서술양식을 극복하기 위해 합리적 설명 방식의 비중을 조금 더 높이고, 참고란 등을 활용해 행위자의 행위결정과정을 역추적해 나갈 수 있도록 교과서를 재구성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인 방식으로 합리적 설명을 이용해 볼 것을 제안한다. 셋째, 교과서의 인물서술에서 성향적 설명 방식을 도입할 경우, 성향적 설명 방식이 갖는 한계점을 보완하여 이용하기 위해서는, 합리적 설명 이론을 토대로 하고 성향적 설명은 이를 보완하는 요소로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논의하지 못한 ‘행위설명이론을 적용한 실질적인 학습지도에 대한 현장연구’가 후속연구를 통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istorical figure expression from action descriptive point of view in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and attempts to find new form of description that can solve that. For that purpose, this study choose to classify the figures that appeared in the textbook into 3 descriptive form classes - explicit denotation, rational explanation and characteristic explanation, and analyzed them. With tha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action description was able to accept. As reorganizing the figure description in the existing textbook into description form which applied action description, it was possible to find out the suggestion of action description. 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figure description in the textbook was largely explicit. However, too much frequent explicit denotation increased the number of unnecessary figures. And it caused to make students recognize the history to be difficulty and to study history much more. It's needed to examine that, because it is able to hinder students from understanding history deeply and they just like to remember the historical event, rather than they receive the textbook contents as truth and gave them historical meaning. Second, the portion of rational explanation of figure description in the textbook is low. Although the textbook is event-based description, when the book doesn't have interesting factors in description form, students think that the history is too dry. So, the textbook doesn't only pay attention to figure description, but also accepts rational description form. The figure description which takes rational explanation has the features which are as follows. The rational explanation is useful to describe figure that is clearly purposeful and to explain actor that is able to make clear the actor's calculation. Considering that, it's pertinent to choose proper figure who is described as rational explanation in the textbook. But, some means the actor chose to accomplish objects is feeble, and it's hard to understand the action decision making steps by just description form systems in textbook. Third, it's so difficult to find characteristic explanation in textbook. This study decided that the factor was limit that characteristic explanation itself has, and discussed the way to support that. The suggest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licit denotation should have those features. First, it should minimize the numbers of figure's name by putting explicit denotation in the right place. Next, the book should lead students to recognize that historical events are made from historical figure's action decision making steps and gives them the opportunity of analysis or understanding history by increasing portion of rational explanation or characteristic explanation. For the purpose, this study tries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acceptance of action description with priority given to some concrete cases written in textbook and attempts to find improvement plan for more advisable figure description by reorganizing description forms. Second, this study suggests using rational explanation to increase the rational explanation to overcome existing dry and hard description form, and to trace the actor's decision making steps by applying reference by reorganizing the textbook. Third, it would be advisable to adopt characteristic explanation based on the rational explanation theory to expatiate the limit of the characteristic explanation when textbook introduce characteristic explanation into figure description. Finally, I expect the study concerning substantial studying guidance applied action explanation theory that this study contains no mention would be achieved by succeeding stud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