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3 Download: 0

국내 라이선스 패션잡지의 기사내용에 관한 비교연구

Title
국내 라이선스 패션잡지의 기사내용에 관한 비교연구
Authors
노혜은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인성
Abstract
우리 주변에는 세계 각국의 라이선스 패션잡지들이 무수하게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무한 시대에서 독자의 다양한 기호와 함께 패션에 대한 심도 있는 정보 및 기사제공의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히 요구되어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체계적인 라이선스 패션잡지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은 것은 한국 패션잡지 산업에 있어서 간과 할 수 없는 문제이다. 본 연구는 라이선스 패션잡지별 차별성과 내용구성에 있어서 그 잡지의 정체성을 결정하는 각 잡지별 전체기사와 패션기사 내용의 게재현황을 조사하고 전체기사와 패션기사의 내용구성 및 특징을 파악한 후, 라이선스 패션잡지에 따른 전체기사와 패션기사의 내용을 비교하였다. 연구방법으로 국내 라이선스 패션잡지 마리끌레르, 바자, 보그, 엘르를 대상으로 한 표본연구, 빈도조사 그리고 통계자료를 병행하였으며 연구범위는 2002년 9월호부터 2003년 8월호까지 총 12개월 동안, 48권의 잡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엑셀을 이용하여 목차제목의 전체 기사와 패션기사의 9가지 항목을 빈도분석 하였으며 SPSS 10.0을 활용하여 교차분석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들을 도출하였다. 국내 패션잡지는 크게 패션과 뷰티, 피처를 요소로 그 내용을 구분하고 있으며 지면 할애 비율은 패션잡지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라이선스 패션잡지 4개지가 추구하는 개개의 잡지컨셉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용을 분석한 결과, 각 잡지별 독창성이 그대로 유지되어지고 있지 않았다. 첫째, 마리끌레르는 여성들의 교양함양이라는 잡지의 컨셉이 있기는 하나 패션잡지라는 잡지성격에 비추어 볼 때, 스타일을 제외한 쇼핑과 컬렉션, 뉴스에서 현저히 낮은 비중으로 나타나 다른 3개지에 비교하여 패션지의 성격이 가장 약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바자는 패션, 뷰티에 관한 전문 정보라는 잡지성격에 맞게 전문적인 패션정보를 게재하였으나 타 잡지와 비교해 보면, 패션계 인사에 관련하여서는 비중이 적게 게재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보그는 쇼핑과 브랜드 그리고 패션계 인사의 인터뷰와 화보를 통한 전문적인 패션정보를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유행 스타일과 관련된 코디네이션 제안 등이 다소 부족하였다. 넷째, 엘르는 스타일 제안과 컬렉션 그리고 패션계 뉴스에 현저히 높은 게재를 보인 반면, 쇼핑과 브랜드 관련 기사에는 매우 낮은 게재빈도를 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조사된 4개지 라이선스 패션잡지가 국내개발 컨테츠를 기본으로그들의 컨셉에 맞는 컨텐츠를 구축하여 특성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각 잡지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마리끌레르는 유행경향에 치중된 기사게재 보다는 패션지의 성격에 맞는 트렌드와 뉴스, 패션계 인사들의 인터뷰 등 패션 정보제공 기사가 좀 더 필요하며 바자는 디자이너, 모델, 유명 브랜드의 CEO 등 관련 인사들의 좀 더 심도 있는 기사가 게재되어야 하겠다. 보그는 패션에 관한 전문적인 정보 제공에 맞추어 독자들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스타일링 제안 등이 요구되며 엘르는 마케팅에 중점을 둔 잡지성격에 맞게 패션시장에 관한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독자에게 전달해야 하겠다. 본 연구의 내용분석 결과, 목차페이지를 통하여 패션기사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와 어떤 내용을 보여주는지를 살펴보았으므로 소비자의 수용행태 및 자체개발을 통한 국내개발 컨텐츠에 대한 연구는 포함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라이선스 패션잡지의 창간호부터 최근 발행호까지를 연구범위로 통계처리하여 보다 정확하고 체계화된 연구가 시행되어야 하겠다. 또한 해외의 오리지널판과 국내 라이선스판의 패션 기사에 관련된 내용을 비교·분석하여 해외의 오리지널 패션잡지와 국내 라이선스 패션잡지와의 차별성을 드러내어야 한다. 이러한 비교조사를 통하여 양국의 패션잡지와 패션문화의 특징을 파악하는 연구가 있어야 하며 국내 개발 컨텐츠의 사례를 조사하여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독자나 소비자의 수용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독자 설문조사가 포함된 연구를 계획해야만 한다. ; In this era of unlimited information and the Internet, numerous licensed fashion magazines are currently in publication to satisfy the varied tastes of customers and their demand for more profound information and intensive news. However, a significant study on licensed fashion magazines has yet to be conducted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Korean fashion magazine industr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tent composition and differentiation among domestic licensed fashion magazines by comparing their fashion and non-fashion articles, which determine each magazine's identity, and understanding their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The scope of the study involved a total of 48 issues of domestic licensed fashion magazines, namely Marie Claire, Bazaar, Vogue and Elle, issued over 12 months from September 2002 to August 2003. The research methods consist of the sample study, frequency and statistical data on the subjects. The frequency of 9 items for all articles, fashion or otherwise, was analyzed using the Excel program and a cross-tab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10.0. The study showed that the subjects, which are 4 licensed magazines in Korea, need to reformulate their composition based on domestically developed contents in order to fit with their concepts, and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provided for each magazine: First, Marie Claire needs to supplement its trend-oriented articles with information-related articles, including trends, news and interviews with fashion personalities. Second, Bazaar needs to feature more profound articles on designers, models and CEO's of leading brands. Third, Vogue needs to come up with various styling tips in order to provide professional fashion information and meet the reader’s tastes. Fourth, Elle should present professional information on the fashion market to fulfill its characteristic of focusing on marketing. This study focuses on the composition of the magazines and the kind of content that are presented in their table of contents, but it does not cover consumer acceptance and domestically developed contents.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the following study be performed more accurately and systematically by expanding the scope of statistical data from the first issue to the most recent issue. In addition, domestic licensed fashion magazines need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the original magazin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ashion-related content of the original fashion magazines and the domestic licensed fashion magazines. Further comparative studies on fashion magazines and the fashion culture of both countries need to be advanc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ases and characteristics of domestically developed contents. Finally, the study should include a concrete questionnaire for readers in order to understand consumer accept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