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8 Download: 0

수업 개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Title
수업 개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s on the improvement in teaching practice
Authors
현성혜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경헤
Abstract
수업은 복잡하고 불확실한 교실상황에서 교사와 학생들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진행된다. 따라서 모든 학생들에게 그리고 모든 교실상황에 효과적인 이상적인 수업은 존재할 수 없으며 수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생과 교실상황의 변화에 맞추어 끊임없이 변화하고 개선되어야 한다. 수업 개선에 대한 전통적인 관점에서는 과학적이고 기술적인 이론이나 원리가 수업에서 발생하는 실제적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고 전제하였기 때문에 수업 개선은 교사가 외부의 연구자들이 개발한 이론적 지식을 이해하고 이것을 수업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수업 개선에 대한 기술적 관점은 복잡하고 불확실하며 예측불가능한 수업의 특성을 간과하였기 때문에 실제로 수업을 개선하는 데 있어 많은 한계를 드러냈다. 이에 대안으로 제시된 수업 개선에 대한 반성적 관점에서는 교사가 이론적 지식을 소비하는 단순한 실천가에 머무르지 않고 ‘실천가인 동시에 연구자’이며 ‘반성적 실천가’로서 수업의 지속적인 개선을 주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교사는 수업 개선에 대한 반성 및 연구, 창의적인 실천을 반복함으로써 실천적 지식을 생성하고 이것을 수업에 활용함으로써 수업을 점진적으로 개선해 나갈 수 있다. 교사는 수업을 개선하기 위해 수업 도중 또는 이후에 문제를 제기하고 가설을 세우고 실천을 통해 이를 검증하는 반성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수업을 개선하는데 이러한 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통해 수업은 단순한 실천이 아닌 일종의 연구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 개선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현장교사들의 수업 개선에 대한 관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수업 개선에 대한 이론적 논의는 전통적으로 기술적 관점이 지배적이었고 근래 이에 대한 대안으로 반성적 관점이 주목을 받고 있다. 선행 연구들이 수업 개선에 대한 이론적 논의에 중점을 두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학교현장의 교사들은 수업 개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수업 개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수업 개선을 무엇이라고 정의하는가? 둘째, 교사들이 수업이 개선되었다고 평가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셋째, 교사들은 수업 개선을 위해 구체적으로 어떠한 노력을 하는가? 먼저 수업 개선의 경험이 풍부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교사의 개인적인 경험에 근거하여 수업 개선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면담대상자는 KBS 1TV ‘현장다큐, 선생님(2001-2002년 방송)’에 소개된 교사, 교사연구모임의 운영자 및 참여자, 면담대상자가 추천한 교사들로 총 12명이며, 9회에 걸쳐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자료 분석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교사로서 학습자의 변화에 대처하고 준비하기 위해 수업 개선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학교현장의 교사들에게 수업 개선은 반성과 연구의 과정, 창의적 실천의 과정이며 기존에 가지고 있던 수업에 대한 관점의 전환을 의미한다. 교사들의 수업이 개선되어온 과정을 살펴보면, 지속적인 반성과 실천의 과정을 거치면서 수업이 점진적으로 개선되어 왔으며 특정한 계기에 교사의 반성적 실천은 수업의 질과 수업에 대한 관점이 획기적인 개선을 가져왔다. 둘째, 교사들은 수업 도중에 학생의 학습참여도를 점검하고 수업 이후에 수업만족도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수업 개선 여부를 진단하고 그 결과를 수업 개선에 반영한다. 현장교사들이 수업 개선을 평가하는 근거로 활용하는 것은 학습참여도 이외에도 수업 개선을 위한 교사의 노력 정도와 수업의 방향성이 있는데, 두 가지 모두 교사들이 교사의 실천과 반성에 기반한 수업 개선을 지향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수업 개선의 평가 근거들은 학생의 학업성취도, 수업평가 결과와 같은 객관적인 지표와는 달리 교사의 주관적인 성찰에 의한 것으로 교사가 주체적이고 지속적인 수업 개선을 지원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초임 교사 시절에 효과적인 지식 전달을 위해 독서를 통해 교과내용을 연구하고 교수매체 활용법을 익히는 것에 주력하기도 하였지만, 현재 교사연구모임을 통해 정보 공유와 학습을 통해 교사로서 전문성을 키워나가고 다양한 소재나 교수법을 활용하고 이것을 변형하여 적용함으로써 수업을 개선해 나간다. 더 나아가 수업자료 및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획기적인 수업을 창조하기도 한다. 그들은 수업 개선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실천해 본 경험을 바탕으로 수업을 개선하기 위해 교사 개인의 측면에서는 개선 의지가 필수적이며 연구모임에 참여함으로써 자신의 전문성을 계속 키워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구조적인 측면에서는 교사의 업무를 경감함으로써 교사가 수업 개선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고 교사의 수업 개선을 위한 시도를 지원하는 학교시설과 문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수업 개선을 위해서는 교사 개인의 노력, 교사 간 협력을 통한 전문성 신장과 더불어 교사의 연구과 창의적 시도를 장려하는 행정적인 지원과 학교문화 형성이 필요하다. 면담조사를 통해 수업 개선에 대한 교사들의 접근방식을 살펴보았다. 종합하자면, 교사들은 대체로 현재 수업 개선에 대해 반성적으로 접근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수업 개선을 과정을 살펴볼 때, 초기에 기술적 접근을 시도하다가 점차 반성적 접근으로 변화해 가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기술적 접근에 대해 배타적이기보다는 이것이 현재 수업 개선에 대한 관점과 노하우가 발전하는 토대되었음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현장교사들의 수업 개선을 살펴보면, 기술적 접근과 반성적 접근의 관계는 대립적이기보다는 발달적 관점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론적인 수준의 논의에서 벗어나 실제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이 수업 개선에 대해 어떻게 접근하는지를 현장교사들과의 면담을 통해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는 교사들에게 수업 개선을 위한 실천적 지식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s on the improvement in teaching practice. Based on the technical and reflective approaches to the improvement in teaching practice, this study explores what teachers consider the 'improvement' in their teaching and what kinds of efforts they have made to improve their teaching practice. The technical approach assumes that practical problems in the classroom can be settled by scientific and technical theories and principles. However, the actual classes are so uncertain, unstable, and value-conflicting that the technical view can't be applied to the real situation. Therefore, the alternative perspective in terms of improving teaching practice is needed. The reflective approach claims that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makes teaching improvement possible. Teachers reflect their teaching and experimental ideas repeatedly and finally create practical knowledge. This research looks at teachers' approach to the improvement in teaching practice in their own circumstances. There are several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do teachers define the concept of improvement in their teaching? Second, based upon what references do teachers believe that teaching improvement has been made? Third, what kinds of practical efforts do teachers make for better teaching? To explore these research questions, I interviewed 12 expert teachers and asked about their view of teaching improvement, and they answered the questions based upon their subjective experiences. I had four findings from the interview analysis. First of all, teachers believe teaching can be improved by reflection or research, experimental practice and paradigm shift on the teaching practice. Second, teachers check students participation and use students‘ satisfaction surveys to evaluate and support the improvement of their teaching practice. Third, teachers join teacher communities to share information and learn from each other. Through these experiences, teachers can develop creative and innovative teaching models and methods. By doing that, teachers can improve their teaching practice. Finally, they noted that their classroom work load must be reduced by administrators so that the teachers can focus more on the quality and improvement of their teaching. In conclusion, most of the teachers use the reflective perspective to improve teaching practice. However, they emphasize that the technical approach also a solid foundation for teaching improvement.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erms of analyzing how teachers perceive teaching improvement. I believe that my analysis can be used as practical knowledge for both novice and expert teac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