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7 Download: 0

2635세대의 의복쇼핑성향 및 의복구매동기에 관한 연구

Title
2635세대의 의복쇼핑성향 및 의복구매동기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About the cloth purchasing pattern and the motivation for cloth purchasing of the generation 2635 : Focus on the degree of engagement
Authors
신승현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숙자
Abstract
The goal of this paper is providing effective ways to establish and activate marketing strategy, through finding out and comparing the leisure activity, cloth purchasing pattern and the motivation for cloth purchasing during year 2004 when a 5-day week was introduced and year 2006, when the system was legislated. Our subject groups are career women between the age of 26-35. To reach the conclusion, we have examined the followings; First, we found out the factors of cloth purchasing pattern and motivation, following the leisure activity of career women between the age of 26-35 in year 2004, when a 5-day week was introduced. Second, we searched the factors of cloth purchasing pattern and motivation, following the leisure activity of career women between the age of 26-35 in year 2006, when a 5-day week was legislated. Third, we looked for changes by comparing the cloth purchasing pattern and motivation, following the leisure activity of career women between the age of 26 and 35 from year 2004 with those of year 2006. Survey was carried out by using pre-research and answering method based on literature (records). Every 200 career woman between the age of 26 and 35 was examined and only 371 subjects who have answered to our survey were finally analyzed. SPSS WIN 13.0 statistics package was applied to use average,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x2 –test, regression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And for post analysis,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as conducted. Cronbach’s “A” value was sought to verify reliability in each fiel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the followings. First, four types of group derived from analysis of 181 subjects, following the leisure activity in year 2004, including “inactive leisure activity group 35(19.3%)”, “passive leisure activity group 68(37.6%)”, “semi-active leisure activity group 42 (23.2%) and “active leisure activity group 36(19.9%)”. The “inactive”, “passive”, “semi-active” and “active” leisure activity group showed high relation with 4 types of cloth purchasing pattern of “pleasant”, “economical”, “loyal” and “convenient”. We can classify inactive leisure activity group with pleasant and economical purchasing pattern, passive leisure activity group with loyal and convenient purchasing pattern, active leisure activity group with economical, loyal and convenient purchasing pattern. Semi-active leisure activity group ranked under average in the overall purchasing pattern. Comparing leisure activity with the motivation for purchasing cloth, “self-conspicuous” and “economical” type of motivation had common factors. Semi-active leisure activity group showed strong self-conspicious motivation for purchasing whereas active leisure activity group showed economical motivation for purchasing. Second, the result of group analysis of 190 subjects, following the leisure activity in year 2006 was “inactive leisure activity group 33(17.4%)”, “passive leisure activity group 69(36.3%)”, “semi-active leisure activity group 39(20.5%) and “active leisure activity group 49(25.8%)”. Comparing 4 type of leisure action with cloth purchasing pattern, only economical purchasing pattern had relationship with leisure activity, showing passive leisure activity group did the most economical shopping. Studying the differences in motivation for cloth purchasing, semi-active leisure activity group interested much in self-conspicious motivation. In addition, economical motivation for purchasing was related closer to passive, active, inactive and semi-active type of leisure activity in sequence. Third, from a comparative study of leisure activity in year 2004 and 2006, mental, recreation and physical activity had similar factors. All factors for leisure activity were higher in year 2006 than that of year 2004. However, differences in the pattern and motivation of cloth purchasing exposed no relation in year 2004 and year 2006.;본 연구는 2635세대 여성 직장인을 중심으로 주5일 근무제의 도입화 단계인 2004년과 주5일 근무제의 정착화 단계인 2006년의 직장인의 여가행동과 의복쇼핑성향 및 의복구매동기를 밝히고 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과 활성화 방안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주 5일 근무제의 도입화 단계인 2004년의 2635세대 여성 직장인의 여가행동에 따른 의복쇼핑성향과 의복구매동기를 알아본다. 둘째, 주 5일 근무제의 정착화 단계인 2006년의 2635세대 여성 직장인의 여가행동에 따른 의복쇼핑성향과 의복구매동기를 알아본다. 셋째, 2004년과 2006년의 2635세대 여성 직장인의 여가행동에 따른 의복쇼핑성향과 의복구매동기의 비교분석을 통해 변화를 알아본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선행연구와 문헌을 바탕으로 질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2004년과 2006년의 주 5일 근무제를 시행하는 2635세대 여성직장인들을 대상으로 각각 200명씩 조사하였고 371명의 응답만이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13.0 통계 Package를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t-test, 분산분석(ANOVA), x2-test, 요인분석, 군집분석을 사용하였고, 사후분석방법으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영역별 신뢰도검증을 위해 Cronbach’s α 값을 구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2004년의 분석 결과에서 연구대상자 181명중 여가행동 참여 정도에 따른 군집결과는 소극적 여가행동 참여 집단 35(19.3%), 수동적 여가행동 참여 집단 68(37.6%), 준 능동적 여가행동 참여 집단 42(23.2%), 능동적 여가행동 참여 집단이 36(19.9%) 의 분포로 나타났다. 소극적, 수동적, 준 능동적, 능동적 여가행동 참여 집단에 따른 의복쇼핑성향에서는 쾌락적, 경제적, 충성적, 편의적 쇼핑성향 4개의 요인에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수동적 여가행동 참여 집단이 쾌락적이고 경제적인 쇼핑성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극적 여가행동 참여 집단이 충성적이면서도 편의적인 쇼핑성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졌다. 그 외 능동적인 여가행동 참여 집단은 경제적, 충성적, 편의적에서 강한 쇼핑성향을 드러냈으며, 준 능동적 여가행동 참여 집단은 전반적으로 의복쇼핑성향에서 낮은 평균점수를 나타냈다. 여가행동 참여 집단 별 의복구매동기와의 비교에서는 자기과시적, 경제실리 의복구매동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준 능동적 여가행동 참여 집단이 자기과시적 구매동기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능동적 여가행동 참여 집단이 경제실리적 구매동기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2006년의 2635세대 여성 직장인의 분석 결과에서 연구대상자 190명중 여가행동 참여에 따른 군집결과는 소극적 여가행동 참여 집단 33(17.4%), 수동적 여가행동 참여 집단 69(36.3%), 준 능동적 여가행동 참여 집단 39(20.5%), 능동적 여가행동 참여 집단이 49(25.8%) 으로 나타났다. 4개의 여가행동 참여 집단에 따른 의복쇼핑성향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을 때, 경제적 쇼핑성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수동적 여가행동 참여 집단이 가장 경제적 쇼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구매동기와의 차이 비교에서는 준 능동적 여가행동 참여 집단이 의복구매동기에서 자기과시적인 면에서 큰 관심을 보였다. 또한 경제실리적 구매동기에 대한 점수가 수동적, 능동적, 소극적, 준 능동적 순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2004년과 2006년의 여가행동에 대한 비교에서 여가행동의 하위요인인 지적, 휴양적, 신체적 활동 요인에서 유의하게 나왔다. 모두 2004년에 비해 2006년의 여가행동 점수가 높았다. 그러나 의복쇼핑성향과 의복구매동기는 2004년과 2006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