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6 Download: 0

인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선택에 대한 성별 비교

Title
인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선택에 대한 성별 비교
Other Titles
(A) Comparison of Career Choice between Male and Female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김민경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인문계고등학생진로선택성별 비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욱환
Abstract
Career choice is one of the important decision making in one's life, Someone's life depends on how he make his career choice. In the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one of the important part of education is searching, discovering, developing student's potentiality and helping them to live better life. On account of the development of science, high level of industrial structure, the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Women participate in labor market actively and diversely. But in spite of quantitative increasement of the enrollment in higher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labor market, women are disadvantageous to enter marketable and guarantee high pay and status in labor market. The reason why women's educational achievement is not translated into social achievement is the social structural factor such as sex discrimination in labor market and educational factor such as sex-segregated curriculum in high school. In this context, presupposing that curriculum choice in high school influences major in college and eventually job in labor market, this study examined college-bound high school students' career choice. In this study, dependent variable is college-bound high school students' career choice and independent variables are sex, father's educational level, mother's educational level, father's occupation, mother's occupation, family's income, type of school(sing1e-sex school or coeducational school), conceptions of sex differences, conception of sex differences about math, aptitude, academic achievement, math achievement, preference of subject matter, career is subdivided into curriculum, major in college and occup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llowing hypothese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ferences of subject matter, curriculum choice, college major choice, occupational choice by sex. Seco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riables which influence curriculum by sex. Thir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riables which influence college major choice by sex. Forth,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riables which influence occupational choice by sex. Fifth, there are correlation between curriculum choice and college major choice, college choice and occupational choice, curriculum choice and occupational choice. For this study, considering school districts, 9 college-bound high school in seoul were sampled. (3 coeducational high schools, 3 girls' high schools, 3 boys' high schools) 284 male student's and 293 female student's responses were analyzed by questionnaire. Data was analyzed by chi-square test, losit model, generalized losit model. Major finding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choice by sex. Male students tended to do well instrumental subject matter and dislike, do not well expressive subject matter. Whereas female students tended to do well expressive subject matter and dislike, do not well instrumental subject matter. Male students tended to choose the curriculum which is based math and science, whereas female students tended to choose the curriculum which is not based math and science. Male students tended to choose natural science, engineering, computer, medical science as college major. Whereas female students tended to choose humanities, language, education, social study, the arts as college major. Male students had higher aspiration level of occupational choice than female students.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curriculum choice by sex. Aptitude, preferred subject matter, disliked subject matter influenced male students' curriculum choice, whereas academic achievement, preferred subject matter influenced female students' curriculum choice. Third, aptitude influenced male students' college major choice, whereas academic achievement, preferred subject matter influenced female students' college major choice. Forth, disliked subject matter, math achievement, father's educational level, mother's educational level, mother's occupation, family's income, conception of sex differences about math, preferred subject matter, well-achieved subject matter influenced male students ' occupational choice, whereas conception of sex differences, disliked subject matter, father's occupation, well-achieved subject matter, family's income influenced female students' occupational choice. Especially disliked subject matter, math achievement, father's educational level influenced male students' occupational choice importantly, whereas conception of sex differences, disliked subject matter influenced female students' occupational choice importantly. Father's educational level, math achievement, mother's occupation, preferred subject matter influenced male students who preferred high-level occupation, mother's educational level, family's income, preferred subject matter, conception of sex differences influenced male students who preferred low-level occupation. Whereas conception of sex differences, family's income influenced female students who preferred low level occupation, disliked subject matter, father's occupation influenced female students who preferred high-level occupation. Fifth, curriculum choice correlated with college major choice. There were som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major choice and occupational choice, curriculum choice and occupational choice. There were higher correlation between curriculum choice and college major choice of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In the light of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some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aptitude influenced male students' curriculum choice and major choice, whereas academic achievement influenced female students ' curriculum choice and college major choice. It means that female students tended to choose their career according to not their interests, aptitude in long time appreciation, but academic achievement as a results. Second, female students' conception of sex differences is an obstacle to guarantee high pay and status in labor market. We have to do educational efforts on order for female students to enter the male-dominated careers.;진로의 선택은 인간생활에 있어서 중요한 의사결정의 하나이다. 그 이유는 각 개인이 어떠한 진로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그의 미래가 좌우되기 때문이다. 오늘날과 갈이 급변하는 사회에서 교육이 담당해야 할 중요한 역할 중의 하나는 개인의 잠재능력을 탐색하고 개발함으로써 행복하고 만족스러운 미래의 삶을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 과학기술의 발달, 산업구조의 고도화와 더불어 균등한 교육기회의 추진으로 여성들은 직업세계로의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여성의 직업분야가 많은 변화를 겪으면서 보다 다양한 직종으로의 진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여성의 대학진학이 확대되어도 시장성이 제한된 전공에 밀집되어 있으며, 노동시장에의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지만 질적수준은 높지 않다. 여학생의 교육적 성취가 사회적 성취로 전환되지 않는 이유는 노동시장에서의 성차별과 같은 사회구조적 요인과 성별에 따른 계열 및 전공선택의 분리 현상이 노동시장에서의 성별분리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교육과정 계열선택이 대학진학시 전공선택에 영향을 주며 궁극적으로 직업선택과 관련될 것으로 보아 인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선택에 관련된 문제를 성별에 따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인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선택을 종속 변인으로 보고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으로 성, 아버지의 교육수준, 어머니의 교육수준, 아버지의 직업, 어머니의 직업, 가정의 수입, 학교의 성별유형, 성차인식수준, 수학에 관한 성차인식수준, 적성, 학업성적, 수학성적, 교과선호로 설정하였다. 이 때 진로선택의 하위변인은 계열선택, 대학 전공선택, 직업 선택으로 세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증적 자료를 가지고 검증해야 할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계 고등학생은 성별에 따라 교과선호, 계열선택, 대학 전공선택, 직업선택의 차이가 있다. 둘째, 인문계 고등학생의 계열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다. 셋째, 인문계 고등학생들의 대학 전공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다. 넷째, 인문계 고등학생들의 직업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다. 다섯째, 진로선택 변인들간의 상관관계 정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다. 설정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시내 인문계 고등학교 9개교(남녀공학 3개교, 여고 3개교, 남고 3개교)를 학군을 고려한 이단계 집락표집방법을 통하여 표본을 추출했다. 남학생 284명, 여학생 293명을 연구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한 후 연구가설에 따라 χ^(2)검증, 로짓모형(logit model), 일반화 로짓모형(generalized logit model) 등의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섯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성별에 따른 진로선택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은 국어·영어·사회와 같은 표현적 교과를 기피하고 성취도 낮으며 수학·과학과 같은 도구적 교과를 잘하는 반면, 여학생은 도구적 교과를 기피하고 성취도 낮으며 표현적 교과의 성취에 있어서는 자신감을 갖는다. 계열선택에 있어서 남학생은 자연계열을, 여학생은 인문계열을 선택하는 양상을 보였다. 대학 전공선택에 있어서 남학생은 이공학계, 의약학계를, 여학생은 인문어학계, 사범계, 사회과학계, 예체능계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었다. 직업선택에 있어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직업선택 포부수준이 높았다. 둘째, 계열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밝히기 위한 로짓모형 분석에서 남학생의 경우 적성, 선호교과, 기피교과가 계열선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작용했으며 여학생의 경우 학업성적과 선호교과가 계열선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작용하였다. 셋째, 대학 전공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밝히기 위한 일반화 로짓모형 분석에서 남학생의 경우 적성이 대학 전공선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여학생의 경우 학업성적, 선호교과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작용하였다. 넷째, 직업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밝히기 위한 일반화 로짓모형을 직업 대비를 통해 분석해 본 결과 남학생은 기피교과, 수학성적, 아버지의 교육수준, 어머니의 교육수준, 가정의 수입, 수학에 관한 성차인식수준, 선호교과, 어머니의 직업, 잘하는 교과 변인이 직업선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여학생은 성차인식수준, 기피교과, 아버지의 직업, 가정의 수입 변인이 직업선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선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 남학생은 기피교과, 수학성적, 아버지의 교육수준 변인이 직업선택을 하는 데 많은 영향을 미치며 여학생은 성차인식수준과 기피교과 변인이 직업선택을 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학생의 경우 직업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중 기피교과, 아버지의 교육수준, 수학성적, 어머니의 직업, 선호교과는 높은 계급에 상당한 직업을 선택하려는 남학생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며 어머니의 교육수준, 가정의 수입, 잘하는 교과, 수학에 대한 성차인식수준 변인은 낮은 계급에 상당한 직업을 선택하려는 남학생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우 직업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중 성차인식수준과 가정의 수입은 낮은 계급에 상당한 직업을 희망하는 여학생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며 기피교과와 아버지의 직업은 높은 계급에 상당한 직업을 희망하는 여학생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계급에 상당한 직업을 선택하는 데 있어 성별에 따라 상이한 경향성이 있음이 발견되었다. 높은 계급에 상당한 직업을 선택하는 데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남학생의 경우 기피교과, 아버지의 교육수준, 수학성적, 어머니의 직업, 선호교과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경우 아버지의 직업과 기피교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사회적 지위가 높은 직업을 선택하려는 상황에서 어머니에 비해 아버지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류계급 정도에 상당한 직업을 선택하려는 학생들의 경우 남학생은 잘하는 교과와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를 통해 학생 자신이 잘하는 교과가 무엇이냐에 따라 직업선택 영역이 분명하게 결정되며,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학생들의 직업선택 의향을 참작, 수용하는 경향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낮은 계급에 상당한 직업을 선택하려는 데 있어 남학생의 경우 가정의 수입변인이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경우 중류, 하류계급에 상당한 직업을 선택하려는 데 있어 성차인식수준과 가정의 수입 변인이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여학생들의 직업선택이 아직까지 사회적 지위가 낮은 직업에 머물러 있다는 사설과 이러한 원인이 여학생 자신의 직업에 대한 보수적 성차인식에 기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계열선택, 대학 전공선택, 직업선택간의 관계를 성별에 따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계열선택과 대학 전공선택간의 관계는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전공선택과 직업선택간의 관계, 계열선택과 직업선택간의 관계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상관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에서 몇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계열선택, 대학 전공 선택에 영향을 미쳤던 변인 즉 남학생의 경우 적성변인, 여학생의 경우 학업성적 변인이 직업선택시에는 영향력을 상실했으며, 직업선택시 남학생의 경우 아버지의 교육수준, 수학성적 변인, 여학생의 경우 성차인식수준과 가정의 수입 변인이 새롭게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학생들이 대학교육 과정과 노동시장과의 분절현상을 인식하고 음과 직업은 계열선택, 대학 전공 선택과는 다른 맥락에서 선택된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 이는 고등인력을 노동시장으로 순조롭게 영입하지 못하는 분절된 노동시장 구조에 원인이 있음과 아울러 학생 자신의 진로에 대한 명확한 포부와 치밀한 전략부족을 야기시킨 진로교육의 부재현상에 기인한다 할 수 있다. 둘째, 성별에 따라 편중된 계열을 선택하고 시장성이 적은 영역의 전공영역으로 진학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노동시장에서의 성별 직업분리현상을 경험할 수 있음을 알게 된다. 이와 같이 남녀간의 양적 교육기회가 어느 정도 실현되었다 하더라도 실질적인 성별 불평등에 대한 문제는 잔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학생들의 진로선택의 출발점이 되고 있는 계열선택에서 시장성이 높고 남성 지배적 직업을 획득하는데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는 학업성적, 즉 수학과 과학에 대한 성취를 고무시키기 위해서 시급히 시도되어야 할 교육적 처치는 이 교과에 대한 여학생들의 인식과 태도를 변화시키는 일이다. 이에 여학생들의 의식변화를 모색하기 위한 방안으로 적극적인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프로그램 내용은 수학이나 과학에 대한 공포를 제거하고 미래의 진로선택에 있어 수학이나 과학 교과의 유용성을 각인시키는 것으로 하며 이러한 의식의 변화를 기저로 여학생들이 비전통적 영역의 진로를 선택하는데 목적을 두어야 할 것이다. 또한 여학생의 진로개발 프로그램은 기존의 남성전유의 프로그램과는 다른 형태로 실시되어야 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도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여학생에 대한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전략은 사회구조적 맥락안에서 방향성을 읽게 된다. 여성의 교육적 성취를 사회적 성취로 전환시키기 위한 교육적 조치와 노력은 노동시장이라는 사회구조가 성별에 따라 아무런 차별이 없는 동등한 대우와 경쟁을 보장한다는 전제에서 효과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