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6 Download: 0

중학교 교사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자기평가

Title
중학교 교사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자기평가
Other Titles
(The) MIDDLE SCHOOL TEACHERS' SELF-EVALUATION OF SEX-ROLE STEREOTYPING
Authors
이경률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중학교 교사성역할고정관념자기평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욱환
Abstract
Teachers' awareness, attitude, and behaviors may be the most important agents in effecting changes in sex-role stereotyp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attitudes, and behaviors of the middle school teachers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ex, and school type on these three variables. A survey was conducted of 100 female teachers and 99 male teachers in the 8 middle schools in Gurogu and Youngdungpogu area A Sex-Role Stereotyping Questionnaire consisted of twenty-six items about awareness of sex-role stereotyping, attitudes about the influences of sex-role stereotyping and the importance of these issues for teachers, and teachers' classroom behaviors. The One-way nested design and Scheffe´ Test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ntial effects of sex and school type on teachers' self-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chool type. But in case of male teacher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ers' sex. Female teachers were more nonstereotyped than male teach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emale teachers and male teachers of a boys' school, a girls' school, and a coeducational school. 3. Teachers indicated moderate to strong nonstereotypic attitude toward self-evaluation. 4. Teachers reported more awareness of sex-role stereotyping in society than in the classroom, and they were less convinced of influence of stereotyping on educational achievement of boys and girls. Teachers did not discourage sex-role stereotyping by explicit curriculum design. The following ar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1. The teachers were less aware of sex-role stereotyping in the classroom than in society. One possible explanation is that the awareness and attitudes of the teachers in our sample have come more from incidental exposure to mass media than from explict professional training. 2. The teachers seldom used nonbiased curriculum materials, yet they perceived themselves as exhibiting nonsexist modeling behaviors at least a little. For this reason, there is at least a possibility that teachers can participate in nonsexist classroom behaviors.;교사는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학생들에게 성역할 고정관념을 전수시키는 반면 비고정관념적인 모형화나 교수자료를 사용함으로써 학생들의 인식과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학교유형 및 교사성별에 따라 중학교 교사들이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해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으며 교실 수업에서 이를 제거하기 위해 어떤 방법으로 노력을 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구로구와 영등포구의 8개 중학교에서 여교사 100명과 남교사 99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자기평가 질문지는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인식, 성역할 고정관념의 영향력과 이 쟁점의 중요성에 대한 태도, 그리고 교실행위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26문항이다. 자료의 처리를 위해 Two-way nested design과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교사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자기평가는 태도영역에서만 학교 유형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교사와 남교사를 분리해서 학교유형에 따른 차이를 비교할 경우 ,남교사에 한하여 학교유형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즉, 남학교와 여학교의 남교사간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중학교 교사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자기평가는 교사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더 비고정관념적으로 자기평가를 하고 있었다. 학교유형에 따른 남녀교사간의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남학교의 남교사와 여교사, 여학교의 여교사와 남교사, 남녀공학의 남교사와 여교사간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학교유형과 교사 성별에 따른 중학교 교사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따른 자기평가는 비교적 비고정관념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사회와 학교에서의 성역할 고정관념의 영향력을 잘 인식하는 반면 성역할 고정관념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과 이 쟁점의 중요성에 대해 비교적 비고정관넘적으로 파악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비교적 비고정관념적으로 교실행위에 대한 자기평가를 하고 있었으나 태도영역에 비해 고정관념적이었다. 네째, 항목별로 볼 경우 교사는 사회에서 보다 교실에서의 성역할 고정 관념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성역할 고정관념이 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간파하지 못하고 있었다. 교사는 교실에서 학생들에게 구체적으로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해 토론하거나 교수자료에서 그 실례를 지적하고 성편견이 없는 자료로 보충하는 것과 같은 적극적인 실천은 거의 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보면, 교사들은 적극적인 교실 실천을 필요로 하는 항목에서 성고정관념적이었지만 전체적인 자기평가는 비교적 비고정관념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교사들은 사회에서의 성차별은 잘 인식하고 있지만 성역할 고정관념이 학생의 학업성취와 같은 인지적인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제대로 간파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교사들은 대중매체를 통해서 가정이나 직장등에서의 성차별 문제를 접할 기회가 있었지만 학교에서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관한 쟁점은 접한적이 거의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교사들은 성편견이 배제된 교수자료를 사용하는 것 같은 노력을 거의 못하고 있지만 약간의 비고정관념적인 행위 모형을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이런점에서 교사들은 비성차별주의 교실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