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규환-
dc.contributor.author박윤정-
dc.creator박윤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9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887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5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8876-
dc.description.abstractWhen compared to women in other modern, industrialized societies, women in the Soviet Union have made definite strides toward equality with men in several important spheres: employment, legal rights, social and political activity, and education. Education was viewed as central to revolutionary program that would creat a new position for women, and an expan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women was emphasized as the key to their full integration into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life in the USSR.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o what extent has Soviet policy in fact realized the initial commitment to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for women from Bolshevik Revolution to Perestroika. This purpose is embodied by analyzing the related document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attainments. the curriculum, the teacher's position. upbringing and sex-role expectations. The outcom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omen's educational attainment was considerably improved quantitively, but sex-segregation of the field study in the specialized vocational education and higher education is observed. Girls gravitate towards the field of medicine, teaching, health, culture, arts which coincide with the non productive sectors of the Soviet economy. Second, even a uniform curricula applies to girls as well as boys, classes in labor training are sexually segregated. Boys are taught industrial skills and girls are enrolled in home economics programs. And the study of analyzing Soviet textbooks reveals that they can't reflect the women's actual role in contemporary Soviet life. Third, while nearly all teachers in the primary & secondary school are female, women teachers are underrepresented in the responsible administrative positions. Fourth, the Soviet pedagogical writings on sex differences in personality is relied on popular assumptions about male and female differences, which dichotomize personality into feminity and masculinity. But the sex-role expectation requires women's dual roles in the social and domestic life. Without male roles' redefinition. women's new work roles in the socialized economy were superimposed on their traditional domestic responsibilities, resulting in the 'Double burden'. To the conclusion, the sexual inequality in Soviet education is represented as similar forms with capitalistic society's. It is due to no real effort to alter the traditional attitude and lack of investment in social services including child care facilities and consumer goods.;본 논문은 자본주의 사회의 불평등을 비판하면서 성립한 사회주의 사회에서, 교육의 모습은 어떠하며 얼마나 평등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사회주의 혁명이 가장 먼저 일어난 소련 사회를 선정하여, 교육에서의 성별 불평등의 문제는 어느 정도 해소되었으며 어떠한 양상을 띠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페미니스트적 관심에서 출발한 본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할 연구 영역은 소련의 교육기회, 교육과정, 교사, 성 역할 이데올로기에 한하며, 소련 볼세비키 혁명에서부터 페레스트로이카 시대 이전까지에 나타난 교육의 성별 불평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문헌 분석을 통하여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소련에서 남녀 평등한 교육 기회의 제공은 대학 교육 수준에서 여성 구성 비율이 50%를 넘어서고 있음을 볼 때, 양적인 측면에서 상당히 진보된 양상을 나타낸다. 그러나 대학원 수준 이상으로 올라가면 여성의 교육 기회 참여는 남성에 미치지 못한다. 비교적 양적으로 동등한 교육 참여에도 불구하고, 직업 교육과 고등 교육의 전공과목에서 남녀의 분리는 뚜렷하다. 여학생들이 편중된 직업교육 및 전공과목은 주로 교육, 사회 과학, 예술, 보건, 문화 등의 영역으로서 소련 경제에서 비생산적인 부문으로 규정되고 있다. 반면에 생산적 영역으로 평가되고, 소련의 우선순위 지정 정책과 관련되어 평균 임금을 상회하는 건설, 운수, 산업 부문에서 여성 등록율은 낮게 나타난다. 이것은 구조적으로 소련의 특별 보호법안의 존재에 의하여 고소득 직종에의 여성 진출이 근본적으로 제지당한 데에도 연유하며, 사회에서 사라지지 않은 남성적, 여성적 영역에 대한 편견, 그리고 개인적 차원에서 성 역할 사회화에 의한 직업 선호도의 차이 등에서 기인한다고 분석된다. 둘째, 교육내용에서 교과서 분석과 남녀 필수 과목의 차별적 선정을 통하여 볼 때, 성역할 이데올로기는 여전히 여성은 가정 영역을, 남성은 가정 밖의 직업 영역을 일차적으로 책임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교과서는 혁명 수행에서의 여성의 활동이나 활발한 직업 참여의 실제 모습은 반영하고 있지 못하며, 여성의 가정 내의 역할만을 부각시킴으로써 여성의 삶에서 가정이 우선이고 직업은 중요하지 않다는 성 차별적 이데올로기를 전달한다. 따라서 동등한 남녀의 직업 참여와 더불어 당연히 따라야 할 가사 노동의 분담이 공식적으로 지지받지 못하고, 가정과 사회에서의 여성의 이중 부담을 결과한다. 셋째, 교직에서의 여성 비율과 권위 구조는 학교에서 학생들이 가장 밀접하게 접할 수 있는 위계적 성 역할 관계의 모델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소련에서는 교직의 여성화에도 불구하고, 학교 단계가 높아갈수록 교육 책임자와 결정자의 위치에 있는 여성의 비율은 소수를 점하며, 학생들은 이를 통해 위계적 성 역할 관계를 인식하고 배우게 된다. 넷째, 소련 학자들의 양육에 대한 지시와 태도는 소련에서 성별 차이가 본질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것은 남성성과 여성성이라는 이분법적 인성 구분에 입각한 것이다. 그러나 성역할에 있어서는 여성의 사회적 노동 참여와 가정에서의 전통적 여성상을 동시에 기대하면서. 시대적 상황에 따라 어느 한 쪽을 더 강조하고 있다. 남녀평등이 남성 역할의 재정의에는 기반하지 않은 채, 여성의 새로운 역할 만을 요구함으로써 여성에게 이중 부담(double burden)을 초래하는 것이다. 교육적으로 여성의 이중 역할은 여성의 전면적인 인격발달을 위한다는 목적으로 미화된다. 그러나 남성성과 여성성이라는 성 고정적인 구별이 남녀의 양육과 인식에서 지속되는 한, 진정한 여성 잠재력의 개발은 성취될 수 없으며 교육적 측면에서도 여성의 포부와 활동은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위축될 수밖에 없다. 여성의 가사노동 전담은 노동 영역에서 여성을 구조적인 '2등급 노동자'로서 대우받게 하고 여성이 사회 전반에서 남성과 동등한 기회와 지위를 얻는 데 실패하게 한다. 결론적으로 사회주의 국가인 소련의 교육은 볼세비키 혁명이 보장했던 것만큼 평등하게 이루어지지는 못하고 있다. 이것은 구조적으로 소련의 남녀 역할과 인식이 제대로 재정립되지 못하고, 사회주의 국가가 여성의 지위 향상을 위한 물질적 기반을 제대로 제공하지 못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문제 및 의의 = 3 C. 연구 방법 및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8 A. 성별 불평등에 대한 접근들 = 8 1. 자유주의 페미니즘 = 8 2. 전통적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 10 3. 급진적 페미니즘 = 11 4. 사회주의 페미니즘 = 12 B. 성별 불평등에 대한 교육사회학적 논의 = 14 1. 교육기회 = 14 2. 교육내용 = 19 3. 교직 = 23 4. 성역할 이데올로기 = 24 Ⅲ. 소련의 역사적 배경 = 29 A. 사회주의 이념과 남녀평등 = 29 B. 소련에서 교육의 의미 = 34 C. 소련의 여성정책 = 36 Ⅳ. 소련의 교육 = 43 A. 학교 교육 = 43 1. 교육 기회 = 43 2. 교육과정에 있어서 남녀 불평등 = 51 3. 교직에서의 여성비율 = 55 B. 성 역할 이데올로기 = 56 1. 전면적으로 발달한 인간의 의미 = 56 나. 성 차별적 양육 지침 = 58 다. 성 차이에 대한 설명 = 61 라. 성 고정적 역할 규정 : 여성의 이중부담 = 65 Ⅴ. 논의 및 결론 = 70 A. 논의 = 70 B. 결론 = 74 참고문헌 = 77 ABSTRACT =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587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소련-
dc.subject교육-
dc.subject성별-
dc.subject불평등-
dc.subject.ddc300-
dc.title소련 교육에서의 성별 불평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ex Inequality in Socialist Society : the case of USSR-
dc.format.pageviii, 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