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0 Download: 0

교육내용 선정 기준으로서의 실용성

Title
교육내용 선정 기준으로서의 실용성
Other Titles
(A) Study on Utility as Criteria for Educational Contents Selection
Authors
안정희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교육내용선정 기준실용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귀윤
Abstract
학교교육에서 학생들이 성취하는 것은 그들에게 제공된 교육내용에 의해 크게 영향받는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교육내용과 교육적 성취간의 높은 상관관계는 학습자에게 보다 가치 있는 내용을 제공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내용 선정의 준거에 관한 논의를 발전시켜 왔다고 할 수 있다. 종적인 교육과정 연구에서 발견되는 교육내용에 관한 논의는 크게 인지적인 입장과 경험적인 입장으로 대별될 수 있다. 인지적 입장은 교육내용으로서 지식의 형식, 지식의 구조 등을 강조하는 입장이고 경험적 입장이란 학습자의 능동적 작용이 포함되는 경험을 중시하는 입장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제까지 교과중심, 경험중심, 학문중심, 인간중심 식으로 순환되어온 교육내용으로서 '지식'과 '경험'의 준거들이 교육의 본질을 실현하는데 충분하지 않다는 점에 착안하여 두 입장이 상보적인 관계로 전환되어야 함을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Ⅱ장에서는 교육내용에 대한 입장을 인지적인 면과 경험적인 면으로 나누어 보고 각각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특히 교육내용 선정 준거로서 지식과 경험을 강조하는 입장이 일반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학문적, 심리적, 사회적 준거들을 어떻게 만족시키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인지적 입장은 학문적 준거에 해당하는 내용을 만족시킨다고 할 수 있으며 경험적 입장은 심리적, 사회적 준거에 기초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두 입장 모두 교육내용의 사회 기능적인 측면에 치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Ⅲ장에서는 교육의 가치 지향적 활동을 포괄할 수 있는 개념으로서 실용성의 의미를 재해석하고 이제까지의 교육내용에 관한 두 입장이 실용성 개념하에 상보적인 관계로 이해될 수 있음을 고찰하였다. 상보적인 관계로 전환되어야 하는 논리적 근거는 학교교육의 기능이 문화유산 전달, 자아실현, 사회화 등과 같이 총괄적인 것이며 인간의 본질 역시 총체적이라는 철학적 조명에서 찾고자 하였다. 제Ⅳ장에서는 교육내용의 실용성 준거에 기초하여 교육내용의 중요한 준거 틀인 학문적, 심리적, 사회적 준거를 재조명해 보았다. 또한 이제까지의 교육내용관을 단순히 수평적으로 확장시키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보다 현대적이고 미래지향적인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학문적 준거에서는 지식의 발전적 성격과 지식목적의 다원성을 인정할 수 있어야 하며 심리적 준거에서는 학습 주체자의 실존적 고유성이 지나친 주관주의로 흐르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사회적 준거로서는 사회의 기능적인 면을 강조했던 입장에서 보다 능동적으로 사회변혁의 측면까지도 고려해야 한다고 보았다. 교육내용에 대한 시각전환을 통하여 사회의 다양화, 다변화에 따른 다양한 필요를 수렴하는데 유용할 뿐만 아니라 교육의 본질적인 특성과 관련하여 교육내용의 가치를 총체적으로 조명할 수 있게 될 것이다.;It is common knowledge that students' achievements in school education have been influenced largely by educational contents which were provided to them. Close interrelation between educational contents and educational achievements has developed the discussion about criteria for contents selection in the meaning that we should offer more valuable contents to the learners. We can classify discussion on educational contents found in vertical curriculum study from two standpoints, intellectual and experiential. Intellectual standpoint emphasizes forms of knowledge and structure of knowledge for educational contents while experiential standpoint takes serious view of experience including spontaneous actions of the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at the two standpoints should be converted into a complementary relation, by observing that it is insufficient to realize educational essence for knowledge and experience criteria as educational contents circulated like as subject, experience, discipline and human centered. This study was accomplished by the reference study method, and study contents are as follows. Chapter Ⅱ divides educational standpoints into the intellectual side and the experiential side and examines their respective contents. Especially, it analyzes how the standpoints emphasizing knowledge and experience satisfy scholarly, psychological and social criteria that should be considered generally. Intellectual standpoint is sufficient for the scholarly criteria, and experiential standpoint is based on psychological and social criteria. But, we can find both standpoints lay emphasis on the side of social function. Chapter Ⅲ reinterprets the meaning of utility as a concept including value-oriented function of education, and study two contemporary standpoints on educational contents can be understood as complementary relation under the utility concept. The present writer will try to find a logical basis of converting into complementary relation in philosophical prospect that functions of school education are summary of the elements such as cultural inheritance transmission, self- realization and socialization as nature of human being are on the whole existence. Chapter Ⅳ reviews significant criteria structure as scholarly, psychological and social criteria in educational contents on the basis of utility criteria of educational contents. Moreover, we need more contemporary future-oriented structure than existing educational contents that merely expands itself horizontally. This study points out that scholarly criteria should recognize plurality in knowledge purpose and expanding characteristic of knowledge, and psychological criteria should pay attention to existential identity of learner itself not to incline to excessive subjectivism. Besides, social criteria should consider the social renovation side more actively than social function emphasizing standpoint. Changing view point on educational contents is not only useful to collect diverse educational necessity in accordance with variety and diversification of society, but to illuminate the whole value of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to the essential characteristic of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