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7 Download: 0

인삼 및 웅담에 존재하는 당지질 분석

Title
인삼 및 웅담에 존재하는 당지질 분석
Other Titles
Glycolipids Analysis in Ginseng and Bear Bile
Authors
洪貞恩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화학과
Keywords
인삼웅담당지질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길자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인삼과 웅담에 존재하는 당지질을 분리하여 그 성분을 분석하였다. 인삼에서 Folch-Suzuki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당지질 성분을 Sephadex G-50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였다. 인삼에서 추출해낸 당지질들을 HPTLC 상에서 resorcinol 시약으로 발색시켰을 때 갈색의 band들로 나타남으로 인해 당지질들이 대부분 sialic acid를 함유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고 periodate - resorcinol법으로 sialic acid를 정량한 결과 인삼 10g당 0.012μ mole의 sialic acid를 포함하였다. 당지질 성분중 중성 당지질 성분과 ganglioside를 분리하기 위해 DEAE-Sephadex A-25 column chromatography를 시행한 결과 인삼의 당지질들은 대부분 중성 당지질이었다. 35번 분획은 sialidase 처리로 sialic acid가 없는 다른 산성 당지질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인삼의 당지질들은 대부분 중성 당지질인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웅담에 존재하는 당지질을 Folch-Suzuki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 HPTLC에서 resorcinol 발색시약으로 확인한 결과 HPTLC상에서 GM_(3)와 R_(f)값이 유사한 한 종류의 ganglioside가 많이 존재하였다. Sialic acid를 정량한 결과 웅담 1g당 0.125μmo1e의 sialic acid가 포함되어 있었고 DEAE-Sephadex A-25 column chromatography로 분석한 결과 웅담의 당지질이 ammonium acetate 직선형 기울기 용리 후 용출되었다. 따라서 웅담에는 GM_(3)와 유사한 monosialoganglioside가 존재한다고 추측할 수 있다. 웅담의 당지질을 sialidase로 처리한 결과 웅담의 당지질에는 N-acetylneuraminic acid와는 다른 구조를 갖는 sialic acid가 존재함을 예측할 수 있다.;The compositions of glycolipids in ginseng and bear bile were investigated. glycolipids in ginseng were isolated by Folch-Suzuki method and purified on Sephadex G-50 m l m chromatography. Glycolipids extracted in ginseng were visualized with brown bands by resorcinol reagent in HPTLC. The amount of sialic acid determined by periodate-resorcinol method was 0.0l2μmole sialic acid per 10g samples. DEAE-Sephadex A-25 column chromatography was performed to isolate gangliosides. The result showed that most glycolipids in ginseng were neutral glycolipids and fraction 35 was identified as acidic glymlipid with no sialic acid by the treatment of sialidase. As a result, most glycolipids in ginseng might be suggested as neutral glycolipids. Glycolipids in bear bile, extracted by Folch-Suzuki method, were analyzed by HPTLC with resorcinol reagent. Glycolipids contained a kind of ganglioside similar to GM_(3). The amount of sialic acid determined using the periodate-resorcinol method was 0.l25μmole sialic acid per lg bear bile. glycolipids were analyzed on DEAE-Sephadex A-25 column Chromatography. Glycolipids were eluated with linear gradient elution of ammonium acetate in methanol. glycolipids in bear bile contained monosialoganglioside similar to GM_(3). The sialic aids of glycolipids were not hydrolyzed by the treatment of sialidase. The result indicate that the sialic acids of glycolipids in bear bile might be different from N -acetylneuraminic aci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화학·나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