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3 Download: 0

아동의 사회계층과 교사-아동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Title
아동의 사회계층과 교사-아동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THE SOCIAL CLASS OF CHILDREN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 Making two kindergartens in Seoul an object of study
Authors
윤은경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아동사회계층교사-아동상호작용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규환
Abstract
This study was attempted with the idea that we can identify the reasons for the differences of education achievement not only in the external factor of school but also in the internal process of school, by recognizing the limitation in that the previous studies which have explained the appearance of differences in the education achievement according to social class to which children belong, only have focused on the external factor of school. This tried to understand the problem of inequality in school education by analyzing the different processes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in class according to social class to which children belong. Class is a place where teacher and children continue to accumulate every experience and knowledge through ceaseless interaction, and the soci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in class can be thought as a factor which has great impact on the result of education for children. Therefore the theoretical survey in this study was performed about the fact in that the different phenomenon of interaction according to social class of children results from th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 of school and the expectation of teacher. School speaks for the culture of middle class, and forces children to have a fixed method. So children of lower class can not adapt to the class scenes. Also teachers who are mostly from middle class prefer children of middle class having the similiar features to themselves and treat them with a sense of intimacy. So children of lower class feel or felt the cultural heterogeneity and alienation in the course of interaction with teacher in the class. Furthermore , all the phenomenon, consequently, can be guess as the discriminatory impact on learning achievement by children.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perform according to social class of children by observing the kindergarten's classes on the spot with knowledge obtained through this theoretical survey. Study was made of the direct participation method which observer himself was watching. Thirty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as follows. They belong to middle class and lower class who are most adaptive of study in two classes which consist of one class of A kindergarten in S district and one of B kindergarten G district. The observation was performed by indicating the frequency of related items of a list in recording observation when the interaction between and children took place. The interaction according to social class was compared with the average resulting from frequency divided by the number of children, and T inspection was operated for this work.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In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of middle class took place more than one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of lower class. And by sorting the inter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of behavior analysis, the result of observation in the behavior attempted by children, the behavior received by children, the behavior attempted and received by teacher and children together, and compensation behavior is that there was difference of children behavior;본 논문은 아동의 사회계층에 따라 교육성취의 차이가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하는 많은 선행 연구들이 학교외적인 요인들에만 초점을 맞추어 그 원인을 지적하고 있다는 점에 한계를 느끼고 학교외적인 요인들 뿐만 아니라 학교내적인 과정에서도 교육성취의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를 밝혀 볼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으로 시도되었다. 즉, 아동이 속한 사회계층에 따라 학급에서 교사와 아동의 상호작용이 다르게 나타나는 과정을 분석하므로써 학교교육 불평등 의 문제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학급은 교사와 아동이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 온갖 경험과 지식을 축적해 가는 장소이며 학급에서 교사와 아동이 맺는 사회적 관계는 아동의 교육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교사와 아동의 상호작용이 아동의 사회계층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은 학교의 사회·문화적 성격과 교사의 기대효과에서 비롯된다고 보고 이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를 실행하였다. 학교는 중류계층의 문화를 대변하고 있으며, 일정한 방식만을 아동들에게 요구하고 있으므로 하류계층 아동들은 학급장면에 적응할 수 없다. 또한 교사들은 대부분 중류계층 출신으로서 자신들과 유사한 특성을 소유한 중류계층 아동들을 선호하고 친근감을 가지고 대하므로 하류계층 아동들은 학급에서 교사와 상호작용을 하는 과정에서 문화적인 이질감과 심리적인 소외감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제 현상은 결국 아동의 학업성취에 차별적인 영향을 줄 것임을 추측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론적인 고찰을 통해 얻은 지식을 가지고 교육현장인 유치원 학급을 관찰하므로써 아동의 사회계층에 따라 교사·아동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는 연구자가 학급의 수업현장에 직접 참여하여 관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으로는 S구의 A유치원과 G구의 B유치원에서 유아반 각 한 학급식 두 학급을 택하고 그 가운데에서 연구에 적합한 아동 즉, 사회계층이 각각 중류계층과 하류계층에 속하는 유치원 아동 30명을 선정하였다. 학급관찰은 교사와 아동의 상호작용이 발생한 경우 연구자가 관찰기록표의 해당되는 관찰항목에 빈도로 표시하므로써 이루어졌다. 사회계층에 따른 교사와 아동의 상호작용은 관찰빈도 수를 아동수로 나눈 평균을 가지고 비교하였으며 이를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와 아동의 상호작용은 교사와 중류계층 아동의 상호작용이 교사와 하류계층 아동의 상호작용보다 많이 일어났다. 그리고 교사·아동의 상호작용을 행동 분석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아동이 시도한 행동, 아동이 수용한 행동, 교사와 아동이 함께 시도하고 수용한 행동, 보상행동을 관찰한 결과 아동이 시도한 행동에서 중류계층 아동들과 하류계층 아동들 사이에 차이가 있었다. 중류계층 아동들은 교사에게 자주 도움을 요청하여 학습 활동에 적극성을 가지고 참여하였으며 질문을 하거나 자진적으로 발언하는 횟수가 하류계층 아동들에 비해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중류계층 아동들의 내면화한 경험 및 특성들이 학급의 수업상황에서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아동이 수용한 행동에서도 중류계층 아동들이 하류계층 아동들보다 상호작용 행동의 빈도가 많았다. 중류계층 아동들은 하류계층 아동들보다 교사의 시범과 설명을 많이 듣고 있었고 수업시간에 교사에게 반응하는 발언도 많이 하였다. 교사들은 시범과 설명을 하기 위해 하류계층 아동들 보다 중류계층 아동들에게 많은 상호작용을 하고 있으며 중류계층 아동들은 교사의 교수행동에 잘 적응하고 있었다. 교사와 아동이 함께 시도하고 수용하는 상호작용 행동에서도 계층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교사와 아동이 함께 활동에 참여하고 행동하는 과정에서 중류계층 아동과 교사가 자주 상호작용을 하였고 손을 잡거나 껴안고 미소를 짓는 등 애정적인 신체접촉도 중류계층 아동과 교사간에 자주 일어났다. 또한 교사와 호의적으로 대화를 하는 빈도도 중류계층 아동들에게서 많이 나타났다. 보상행동에 있어서 비난·벌받기에서는 두 집단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허락·칭찬 듣기에서는 중류계층과 하류계층 아동들 사이에 차이가 있었다. 교사와 아동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중류계층 아동들이 하류계층 아동들에 비해 교사로부터 긍정적인 보상행동을 많이 받고 있었다. 학급 안에서 교사와 아동의 상호작용은 아동의 사회계층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사회계층간의 불평등은 교육체제 내에도 잠재되어 있으며 학급 안에서 교사와 아동의 상호작용을 통해 차별적인 상호작용 방식으로 나타난다. 지배집단의 이데올로기와 사회의 구조에 의해 지배되는 학교의 특성은 하류계층 아동들의 교육성취 수준을 제한하며 암암리에 아동들에게 작용하는 교사들의 차별적인 대우는 불평등한 교육결과를 초래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