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상금-
dc.contributor.author이춘자-
dc.creator이춘자-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5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1633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7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33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service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ors in Korea from 1980 to 1989, to discuss the problems, and to offer a suggestion for future development. The specific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What are the annual trends of the in-service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ors in Korea from 1980 to 1989? 2. What is the distribution of content for the in-service education? 3. What are the main methods used for the in-service education? 4. What is the distribution of lectures for the in-service education? In order to consider the questions mentioned above, the collections of various data about the in-service educational programs which were offered by the four main in-service education associations (A.B.C and D)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The annual trends of the in-service education two specific feature. First, the 'program appeared and came into use in 1980. Second, European programs were introduced through the A,C, and D, since 1983. 2. As for the content, All of the four associations have dealt with instructional methods most. Curriculum management, parents education and educational psychology were frequently offered for in-service education, however sex-role education, and administration of Kindergarten Were hardly mentioned. It is noted that each of the associations emphasized different fields. 3. The most frequently method used for in-service education is lecture while observational method is not applied. In other words cultural transmission were used mainly. 4. The lectures were mostly profess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indergarten directors and Kindergarten teachers Also, instructors in the field of administration, doctors, professors of education, presidents of elementary school. musician were invited to speak for the lectures.;본 연구는 1980년대 우리나라 유치원교사의 현직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검토하여 앞으로의 현직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교사 현직교육의 연도별 경향은 어떠했는가? 2. 유치원교사 현직교육의 내용분포는 어떠했는가? 3. 유치원교사 현직교육의 방법은 어떠했는가? 4. 유치원교사 현직교육을 담당한 강사진의 분포는 어떠했는가? 본 연구는 유치원교사의 현직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4개 단체가 1980년부터 1989년까지 개최한 현직교육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유치원교사 현직교육의 연도별 경향에서 특징적인 사실은, 1980년부터 프로그램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과 1983년부터 A,C,D의 세개 단체를 동해 유럽의 프로그램이 소개되기 시작한 것이다. 2. 현직교육의 내용은 4단체 모두 교육과정의 교수영역을 매우 많이 다뤘고, 그 다음으로 교육과정과 운영, 부모교육, 교육심리학적 영역의 순으로 다뤄진 반면, 교사교육문제 및 성교육, 유치원의 행정적 측면은 미비하게 다뤄진 영역으로 나타났다. 3.현직교육의 방법은 주로 강연회를 통해 이뤄졌고 참관등의 방법은 적게 이용되었는 바, 언어적 방법과 행동적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현직교육을 담당한 강사진은 유아교육 교수, 유치원장 및 교사의 순서로 나타났고, 행정담당자, 의사, 교육학교수, 국민학교장, 그리고 음악가등 다양한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Ⅱ. 현직교육에 대한 기초연구 = 5 A. 현직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 5 B. 현직교육의 내용 = 9 C. 현직교육의 방법 = 10 D. 우리나라 유치원교사 현직교육의 발달과정 = 13 Ⅲ. 연구방법 = 17 Ⅳ. 1980년대 현직교육활동 분석 = 21 A. 4개 교원단체의 목적 및 연혁 = 21 B. 1980년대 현직교육활동 분석 = 24 Ⅴ. 논의 및 결론 = 41 A. 논의 = 41 B. 요약 및 결론 = 42 참고문헌 = 45 부록 = 49 ABSTRACT =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916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유치원-
dc.subject교원단체-
dc.subject현직교육-
dc.subject1980년대-
dc.subject.ddc300-
dc.title유치원 교원단체의 활동을 통해서 본 현직교육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1980년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N-SERVICE EDUCATION THROUGH KINDERGARTEN TEACHER ASSOCIATIONS IN 1980s-
dc.creator.othernameLee, Chun-Jar-
dc.format.page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