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6 Download: 0

국민학교 도덕교과서에 나타난 통일교육의 비판적 분석

Title
국민학교 도덕교과서에 나타난 통일교육의 비판적 분석
Other Titles
critical analysis of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written in the Korean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
Authors
손우정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국민학교도덕교과서통일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욱환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통일교육의 내용에 대한 비판적 분석으로 국민학교 도덕 교과서를 교육과정 사회학의 이론적 틀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즉, 우리나라의 통일교육을 교육과정 개정 시기와 관련 지워 교육내용의 반공 이데올로기적인 성격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가 지닌 기본 전제는 첫째, 정치적 환경의 변화는 교육환경의 변화를 뜻하며 교육과정의 변화는 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수정을 요구한다. 특히 우리나라 정치교육의 중요한 영역을 차지하는 통일교육은 정치적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다는 것이다. 둘째, 초기의 정치사회화가 이루어지는 시기가 국민학교 시절이며 셋째, 그 시기의 정치적 상황과 정치체계의 의도가 교과서에 반영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가 처한 정치, 경제, 사회, 교육 등의 제반문제의 중요한 하나의 뿌리를 분단현실에 두고, 정치체계가 자기유지를 위하여 어린이들의 정치사회화 과정을 의도적 방향으로 유도해 가려 할 것이라는 의문을 갖고 출발했다. 연구의 자료로는 3차 교육과정기부터 현행 5차 교육과정 개정시기까지 발행된 국민학교 도덕교과서들이 사용되었으며, 분석 시기를 3차 교육과정기부터 설정한 이유는 도덕이 하나의 독립 교과로 나타났으며 반공교육이 가장 강화되었던 시기이기 때문이다. 분석내용으로는 첫째, 국민학교 도덕교과서에 나타난 통일교육의 내용들이 교육과정 개정 시기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가를 이해하기 위해서 교육과정 개정 시기별 통일교육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둘째, 국민학교 도덕교과서에 통일교육의 성격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를 분단의 원인, 통일의 당위성, 통일이 주체, 북한과의 제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현재와 같은 통일교육의 실태, 즉 교육내용이 학생들에게 분단 극복을 위한 적극적인 의지와 신념을 심어주기보다는 분단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해석의 여지가 많다. 이는 도덕교육의 교육내용이 객관적이지 못하며 한국의 통일교육은 반공 이데올로기에만 맹목적으로 집착하여 분단극복과 통일에의 의지를 교육내용에 적극적으로 반영하지 못했으며 통일교육에 대한 의견이 발표되지도 발표할 수도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새로운 학교 통일교육의 방향을 찾는 것이 통일교육의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사회학자들의 시각을 국민학교 도덕교과서 통일교육에 확대·적용시켜봄으로서 거기에 반영된 정치체제의 의도를 분석하여 미래의 바람직한 학교 통일교육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 결과 교육개정 시기에 따라 교과서에 반영된 통일교육의 내용은 약간씩 다르게 표현되어지고 있다는 사실과 이러한 내용은 교육과정이 개정을 거듭할수록 북한에 대한 감정적인 표현들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으나, 현행 5차 교육과정에서 조차도 4차 교육과정에서 표현된 북한의 비참한 생활상이 많이 부각된 채로 남아 있음은 교육과정의 개정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교육내용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나타내어 주는 것이다. 그리고 교과서에 나타난 통일교육은 분단의 원인을 북한과 소련에 두고 있으며, 통일의 주체를 남북한 공동보다는 남한만을 유일한 통일의 주체로 인정하고 있다. 또한 통일의 당위성에 있어서도 '한겨레' '한핏줄'이기 때문에 통일이 되어야 하기 보다는 고통받고 있는 북한주민을 구출하여 그들에게 자유를 주기 위하여 통일이 필요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리하여 교과서에 나타난 북한관은 부정적인 측면으로 일관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우리의 통일교육은 교육과정 개정을 거듭하면서 현행 5차 교육과저에서는 통일의 당위성이나 주체를 남북한이 '한겨레'라는데 근거를 두고 설명하고 있으나, 아직은 통일교육에 대한 분단 지향적인 접근과 통일지향적인 접근이 혼재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교육내용에 분단지향적인 성격이 강하게 내포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예이기도 하다. 앞으로는 통일교육은 통일지향의 현실 인식을 기반으로 남북한 동질성을 회복하는 교육내용으로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This study as a critical contents analysis to education for anticomunism and unification in Korea, has analysed contents of the moral textbooks used in the elementary school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frame of curriculum sociology: that is, it will prove the anticomunistic ideology of the education in Korea over the last periods of several revisions of the curriculum. The materials employed for this study were the moral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which were published from the 3rd revised curriculum to the 5th revised one. The reason this study began with the 3rd curriculum is that the moral the moral has been established as a regular subject in the curriculum and also anticomunism education has been strengthened since the 3rd revision. First, this study has analysed the contents of anticomunism and unification in Korea per revision perio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nge of them in the moral textbook of Korea elementary school. Secondly, the trend of education of anticomunism and unification has been analysed, divided into four sectors-the reason for seperation into South and North, justification for the reunification, the subject of the reunification, and the view to North Korea. Refering one of the fundmental causes of our political, economic, social, educational problems of today to the territoral division, I have started this study with the notion that the political system would attempt to make the political socialization elementary school for the system maintenance. Therefore, the basic assumptions of made for this study are: (1), the change of political environment is the change of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in turn demands the revision of educational goal and contents: in particular, the anticomunism and reunification education which holds an important sphere of political education in Korea is sensitive to the change of political; (2), the first period of political socialization is the elementary course of study: and (3), the contempory political circumstance and the intention by the political system are reflected in the school textbooks. There are a lot of interpretations that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anticomunism and reunification in Korea would aggravate the situation rather than give rise to the positive belief in the reunification. For that, the followings are considered: the educational contents of moral textbook are not objective: the willingness to overcome the territorial seperation and reunify the Korean penninsula is not positively presented in the moral textbooks of the Korean elementary school, due to the bias of the anticomunism and reunification education Hostly foward anticomunism ideology: and the publication of personal opinions on the reunification education has been very much restricted in Korea. Therefore the important task for the reunification education is the search for a new direction of it in school. This study has tried to apply the broadened curriculum sociologist's view to the anticomunism and reunification education of moral textbook in elementary school, to analyse the underlying intention of political system, and to supply a meaningful basic source for a desirable reunification education in school.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the contents of anticomunism and reunification education reflected in the moral were described somewhat differently in accordance with the period of revision in the curriculum and the emotional expressions about North Korea appeared less and less with revisions. However, it has been noticed that not much change in the real contents of the education has virtually occured in the 5th revision, with much of the miserable life in North Korea described in the 4th still remaning in the 5th. And the 5th, revised moral textbooks only North Korea and the Soviet Union are held reponsible for the current territorical division: that only South Korea, rather than both parties, is associated as subject of the reunification: and that the justification for the reunion is because the South should save the North from the perverty and give them freedom, not because we are the same people with one ancestor. Thus the view point to North Korea in textbook tends to be consistently negative. Even though, the anticomunism and reunification education stress that the justification for the reunion and the subjects of reunification should tie based on the concept of one ancestor division-oriented approach and reunification-oriented approach to reunification education are still found to be mixed, which strongly shows that division-oriented features are involved in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The prospective anticomunism and reunification education should have the contents to resume the homogenity of South and North Korea on the basis of the recognition of reunification oriented rea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