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1 Download: 0

楊州別山臺놀이에 나타난 움직임의 表現性에 關한 硏究

Title
楊州別山臺놀이에 나타난 움직임의 表現性에 關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xpressive Aspects in Yangju Byulsandae Dancing
Authors
金龍福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Keywords
양주별산대놀이움직임표현성옴중춤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金梅子
Abstract
Man has used his body for expressions of thoughts and sentiments, long before they started using language or environment for those sorts of expression. Accordingly, we could say that the dancing, which is expressed by actions of body, is the womb for all kinds of arts. The Key to all the arts would depend on the expression, and the aethetic aspects can be achieved through expressing every individual's sentiments or thoughts. Hence, communication should inevitably accompany the expression, and for this internal communication, excellent communication medium is needed to achieve their intended expression. For this purpose, actions of human body would be the best medium, and consequently the study on the expressive movements (or actions) in Korean traditional dancing (or "ChoomsaWee") will give a great help to the development & preservat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Furthermore, observing and analyzing, we are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s which has been inherited and developed throughout the history of Korea. In this paper, I attempt to approach choreographical & aesthetic aspects expressed in "ChoomsaWee" of "Yangju Byulsandae Dancing", focusing on "Omjoongchoom" (or Omjoong Dance) which can be found in Chapter 2 of "ChoomSaWee." The functional aspects of dancing in "Yansju Byulsandae Dancing"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 They emphasize on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main casts (or main characters)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in the social-hierarchy. They also function as bridger which links between main characters witty remarks, and they would facilitate establishing individual scenes or connecting the scenes, they could function as guide which implies or predicts the following scenes or could function as finalizer of the scones. In addition to these, by evoking the audience's interests from "playing-fun" perspectives, they could be used for opening and closing of the scenes. These functions of dancing, through intensifying the aspects of "playing-fun" by community and through intensifying their perceptions about "the reality", they could provide and indicate some critical distances between "the reality in the play" and "the reality in the society." In addition to "Yangju Byulsandae Dancing", most of the "mask dances" takes the form of "Madang", which is performed in an ampitheater in the open air, which sticks to the stylistic conventions of the play according to its external constraints, and which maximizes its use of the space through well-structured movements. The morphological significances could be found in the "Kudeuroom Choom (Dancing)" of "Omjoong Dancing", and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form actions could be found: (1) "Sabangchiki movement in the ampitheater. (2) Ceremonial dancings which step forward three times and backward three times. (3) "Paldukjabi" (Arm-grabbing) which prays to all four directions. (4) It curbs into the innerwards of the body and releases to the outwards according to the first rhythm and second rhythm respectively. (5) They always accompany the "KeKichoom" (Keki-Dancing). (6) They dance to "Yumbool rhythm" which constitutes 5 rhythms as "1 Jangdan (relative length)". Among these "ChoomSaWee" dancings, especially, Sabangchiki(Hitting for all four directions) or circular movement line makes every audience be capable of participating in the play("Pan"), enhancing their communal spirits and cooperational spirits, finally generalizing the comical aspects of the play among all the audiences In a festival atmosphere and functioning as a clue to this generalization of comical aspects of the play. Based upon the analysis of the significance of "ChoomSaWee" in "Yangju Byul Sandae" Dancing according to its principle of movements, it could be found that symbolic meanings of each part of the human body could be showed in "ChoomSaWee". In this paper, it could be also found that "Dancing" is a universal language beyond any national boundary, even if it shows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according to each nation. But we should notice that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a people, which is unique to a nation, could be, only found through the people of that nation. Aesthetic aspects of "Mask-Dancing" can be characterized as being thick in its lines, real-to life & vivid in its movements, that is to say, it reflects aesthetically the people's healthy, tough & persevering aspects of their life-consciousness. It might be an exaggeration, if we say that "YangjuByulSan-dae" dancing is far better and far more sophisticated than any other Korean traditional plays & dancings. However, it certainly is a movement (or action form) which was concentrated and derived naturally from people's natural life. These characteristics & artistic values of "Mask-Dancing" could be considered, as they are, as being the representative of our traditional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values. To further develop the ways & aspects of expression which are unique to our nation and our people, comparison with western styles of expression will be needed, which could be a great contribution and a root to the creative activities in Korean dancing.;인간은 자기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기 위하여 물체나 언어를 사용하기 이전부터 신체로서 움직임을 표현하여 왔다. 그러므로 움직임으로 나타내는 무용을 모든 예술의 모태라고 할 수 있다. 모든 예술의 핵심은 표현에 있으며 그 표현성은 인간개체의 사상감정의 표현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표현에는 필연적으로 전달이 동반되는데 그 내적인 전달에 필요한 것은 전달매체의 훌륭한 표현에 있는 것이다. 신체의 움직임은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가장 진실되게 표현하는 것이므로 우리 고유의 춤사위 속에서 움직임의 표현성에 관한 연구는 민속춤문화의 발전과 전승 보존에 도움이 되리라 본다. 더구나 산대극을 중점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민족적으로 전승발전된 움직임의 표현적 특질 일부를 고찰할 수가 있다. 이 논문은 양주별산대놀이의 춤사위 중에서 제2과장 옴중춤을 중심으로 심층분석적 접근을 시도한 것이다. 양주별산대놀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양주사람 李乙丑이 서울의 사직골 딱딱이패로 부터 본받아 배워가서 양주땅에 정착·속화시켰으며 이러한 양주별산대놀이는 牧使가 주재하던 客門滯을 중심으로한 이른바 「본바닥」사람들만이 출수있는 독특한 탈춤으로 전승되어 왔다. 양주별산대놀이에서 춤의 기능은 주요 등장인물의 성격 및 신분계층의 행동 양태를 부각시켜 주거나, 재담과 재담을 이어주는 교량적 역할을 하고, 장면의 개별적 설정 및 장면 사이의 연결을 유연하게 해주는 동시에 연출적 지시로서 예시해줄 뿐만 아니라, 놀이적인 흥취감을 돋우면서 놀이적 성격을 강하게 해주고 등·회장의 방식으로서 활동되기도 한다. 이러한 춤의 기능은 현실 인식과 더불어 공동체적 놀이성을 강화해 주면서 극중 현실에 비판적 거리를 제공해 준다. 또한 양주별산대놀이를 비롯해 탈춤 대부분이 마당이라는 야외 원형무대에서 공연되어온 외적 제약에 따른 양식적인 연극적 약속을 잘 지키면서 동작선으로 구성되는 무용공간의 의미는 적지 않다. 옴중춤에 나오는 형태적 의미를 살펴보는데 있어 그에 등장하는 거드름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원형무대를 생각하며 방위를 사방으로 나누어 주고 시선을 고루 분산시키는 사방치기 동작 ② 三進三退의 전형적인 儀式舞 ③ 跳舞가 없이 주로 팔을 벌리고 느린 염불에 맞추어 사방에 축원 하는 팔뚝잡이 ④ 1박에 몸안으로 감았다 즉 당겼다가 2박에 서서히 밖으로 펼쳐지는 듯 하다 맺는다. ⑤ 거드름춤은 그 자체로 끝나지 않고 반드시 깨끼춤을 동반하고 있다. ⑥ 5박을 1장단으로 하는 염불장단에 맞추어 춘다. 춤사위 중에서 특히 사방치기라든가 원형적인 동작선은 보는 이나 추는 이를 막론하고 누구든지 판속에서 공동참여하고 공동으로 판을 나누어 가질 수 있게 해주는 공동체 의식을 부여해 줌으로써 그러한 사회적 기능속에서 누구나가 더불어 흥겨워할 수 있는 축제적 성격을 보장 받아 희극미를 보편화시키는 계기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양주별산대놀이의 춤사위의 의미를 움직임의 원리에 의해 분석해 본 결과 양주별대산대놀이의 춤사위가 움직임의 원리에 의한 신체 각부위의 상징적 의미와 같은 의미를 띠고 있다는 점은 매우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양주별산대놀이는 서양근대극의 경우처럼 무대와 관객의 엄격한 정신적 공간적 차단과는 달리 자발적이고 자연스러운 참여를 가능케 하며, 민중들이 그들의 감정을 나타내기 위하여 만들어낸 가장 적절한 형식의 극이다. 그래서 거기에는 서민의식이 충일해 있음은 물론 우리의 전통적 해학이 질게 깔려 있다. 양주별산대놀이는 어느 전통극보다 세련되거나 뛰어나다고 볼 수는 없지만 민중의 일상생활속에서 자연스럽게 농축되어 그 속에 묻혀서 나온 몸짓임에 틀림없다. 우리민족에서만이 느낄 수 있는 독특한 표현성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서구적 표현양식과 더욱 비교연구 되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