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8 Download: 0

ESS과학교육프로그램과 물리적지식활동의 비교 분석

Title
ESS과학교육프로그램과 물리적지식활동의 비교 분석
Other Titles
(A) Comparative·Analysis of ESS Science Education Program and Physical Knowledge Activities
Authors
柳七善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ESS과학교육프로그램물리적지식활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경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basic research for process oriented science curriculum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of ESS (Elementary Science Study) program developed early 1960's and PKA (Physica1 Knowledge Activities) developed late 1970's Concret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oretical backgrounds, aims, contents and methods of ESS? 2. What are theoretical backgrounds, aims, contents and methods of PKA? 3.What are the common point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ESS and PKA ? Research results of each question are as follows: First, ESS was based on piaget, Bruner theory and so on. That program put emphasis on longitudinal development and unit Which based on child interest. In the teaching method for ESS, teacher had the initiation on planned activity through teacher's language. Second, PKA was based on piaget's theory and put emphasis on lonyitudinal development and activity as to child interest. The teaching method for PKA was to construct Child's knowledge for themselves though the direct activity with objects. Third, The common point and the differences of ESS and PKA appeared variously in its kind. ESS and PKA both emphasized the development of children in the educational purpose, and they focus on content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a child's interest and development in the substance. However the teacher in ESS used a teacher oriented teaching method while PKA used a child oriented teaching method.;본 연구는 1960년 초기에 개발된 ESS (Elementary Science Study) 프로그램과 1970년 후기에 개발된 PKA (Physical Knowledge Activities)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과정중심의 과학교육에 기초자료가 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ESS의 이론적 근거, 교육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은 무엇인가? 2. PKA의 이론적 근거, 교육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은 무엇인가? 3. ESS와 PKA의 이론적 근거, 교육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에 있어서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SS는 Piaget, Bruner등의 이론에 근거하였으며, 장기적인 발달의 목적을 강조하였다. 또한 아동의 흥미에 기초한 단원을 교육내용으로 하였다. ESS는 교사가 계획한 활동을 아동이 실행하도록 언어적으로 유도하는 교사중심의 교수방법을 사용하였다. 둘째, PKA는 Plaget의 이론에 근거하였으며, 장기적인 발달의 목적을 강조하였다. 또한 아동의 흥미에 기초한 활동을 교육내용으로 하였다. PKA는 아동 스스로 물체와의 직접적인 행위를 통해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 아동중심의 교수방법을 사용하였다. 세째, ESS와 PKA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이론적 근거, 교육목적 및 목표, 교육 내용, 교육 방법에 따라 다양하였다. 그 전체적인 경향은 다음과 같았다. 즉 ESS와 PKA는 교육목적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아동의 흥미와 발달의 특징을 고려하여 내용을 선정하였다. 그러나 방법에 있어서 ESS는 교사가 계획한 활동을 하도록 유도 하는 교사중심의 교수방법을 사용하는 반면 PKA는 아동이 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아동중심의 교수방법을 사용하는 차이점이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