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6 Download: 0

유아의 성역할교류 개념의 인지에 관한 연구

Title
유아의 성역할교류 개념의 인지에 관한 연구
Authors
정화자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유아성역할일탈사회관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정환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가 사회적 이해의 제 영역 내에서 유아의 내부에 조직되어 있는 쉐마를 통하여 경험을 분류하고, 판단하며 추론하므로써 성역할 개념을 발달시켜 나간다는 전제 하에, 유아의 성역할교류 개념에 대하여 도덕적, 사회관습적 일탈과 관련하여 그 판단과 추론의 양상을 고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성역할교류에 대한 판단은 도덕적, 사회관습적 일탈에 대한 판단과 비교해볼 때, 각 판단준거 (허용성, 유연성, 보편성, 규칙 결정의 후속적 권한, 중대성)에 따라 어떠한 양상을 나타내는가? 2. 유아의 성역할교류에 대한 추론은 도덕적, 사회관습적 일탈에 대한 추론과 비교해볼 때, 정당성의 근거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 3. 유아의 성역할교류에 대한 추론의 양상은 모습과 활동간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본 연구는 5 , 6세 유아 42명을 대상으로 도덕적, 사회관습적 일탈과 남·녀아의 성역할교류에 대한 그림자료를 제시하고 면접을 실시하였으며, 그 반응에 대하여 평가를 한 후에 SPSS로 통계처리를 하여 영역과 판단준거 그리고 정당성의 근거 간에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령전기의 유아들은 성역할교류 개념을 도덕적 일탈, 사회관습적 일탈보다 더 유연하고 허용적인 것으로서 판단하며, 규칙 결정의 후속적인 권한에 대하여 더욱 주관적인 판단의 양상을 보인다. 또한 유아들은 도덕적 일탈, 사회관습적 일탈 그리고 성역할교류의 순으로 심각하게 잘못된 것으로서 판단한다. 즉 성역할교류에 대하여는 그리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덕적 일탈, 사회관습적 일탈, 남·녀아의 성역할교류에 대하여, 네 영역 모두 문화에 따라 변화될 수 없는 것으로서 판단하는 경향이 높다. 2. 유아들은 각 영역에 대하여 서로 다른 정당성의 근거로 추론한다. 유아의 도덕적 일탈에 대한 추론은 관습, 전통, 사회규범 또는 타인의 복지 안녕에 근거하거나, 벌을 회피하고자 하는 생각에 기인하고 있음이 두드러지고, 사회관습적 일탈에 대하여는 사회적 불일치에 가장 많이 근거하므로써, 집단의 규범과 대조되는 행동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적 결과를 정당성의 근거로 추론하고 있다. 그리고 남·녀아의 성역할 교류에 대하여 유아는 개인적인 선택이나, 성정체감에 근거한 추론을 한다. 3 .유아들은 남아의 성역할교류에 있어서 활동보다 모습을 더 유지하고자 하는 반면에, 여아의 성역할교류에 대하여는 모습보다 활동에서 더 심각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결론적으로 학령전기의 유아들은 각 준거에 의한 판단과 정당성 추론에 의거하여, 성역할 개념과 그 밖의 사회적 지식영역인 도덕성, 사회관습 간에 개념적인 구별을 하고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school children's cross-gender conceptions, in relation with the transgressions of morality and social convention. The assumption of the study is that the preschool children develop the conceptions of gender-role in the domains of the social understanding by differentiating their experiences , judging, and reasoning through the scheme organized within children's mind. The problems of the study are as follow ; 1. How do the preschool children judge the cross-gender conceptions according to the judgment criteria, that is permissibility, flexibility, generalizability, subordinate jurisdiction, and seriousness, compared with judging the transgression of morality and social convention? 2. How do the preschool children reason the cross-gender conceptions according to the justification categories ,compared with reasoning the transgression of morality and social convention? 3. How differently do the preschool children reason the cross gender conceptions between cross-gender appearances and counterstereotypical activities ?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2 kindergarten and nursery school children aged from 5 to 6. To access the pre-school children's judgment and reasoning about cross-gender conceptions, interviewers presented them the pictures on the transgression of morality and social convention as well as cross-gender role. And the preschool children were asked, then were assessed their responses. The resultant findings were analyzed by significance according to each variable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The preschool children judge cross-gender conceptions more flexible, permissible, and subject to subordinate juris-diction than both moral and conventional transgressions. Also they judge cross-gender conceptions little seriously wrong than two trangression domains , but they are inclined to judge all the domains as unalterable across cultures. 2. The preschool children differently reason each domains on the basis of the justification categories . They reason moral trangression on the basis of convention, tradition, and social norm, others' welfare or avoidance punishment. As for conventional transgressions, they mostly reason on the basis of social nonconformity. And they reason cross-gender conception on the basis of personal choice or gender identity. 3. The preschool children tend to maintain more sex-typing appearances than stereotypical activities in reasoning the conceptions of the male cross-gender role . In contrast, the opposite aspects are showed in reasoning the conceptions of the female cross-gender role. Consequently, the preschool children are differently judging and reasoning gender-role conceptions from morality and convention, according to the judgment criteria and the justification categor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