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9 Download: 0

국민학교 도덕과 교육의 효과에 관한 현장경험 연구

Title
국민학교 도덕과 교육의 효과에 관한 현장경험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MORAL EDUCATION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Authors
김경남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국민학교도덕현장경험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봉호
Abstract
본 연구는 국민학교 도덕과 교육의 효과를 도덕수업의 전개과정 및 학교생활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학생의 도덕성 함양정도 및 도덕성함양을 저해하는 요인을 규명하여 보려고 시도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으로 도덕과 교육의 특성 및 국민학교 도덕과 교육의 목표·내용·교수방법등을 살펴보고, 경험적 연구를 통해서는 도덕과 수업 실시후의 학생의 도덕성 함양정도 및 도덕성 함양의 저해요인을 측정하므로서 국민학교 도덕과 교육의 효과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두가지 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 첫째, 도덕과 교육실시후 학생들의 도덕성의 함양 정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설문지가 개발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수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둘째, 교실관찰을 실시하였다. 교실관찰의 목적은 도덕과 수업의 전개과정을 통해서 도덕과 교육이 학생의 도덕성 함양에 얼마만큼 기여하고 있는 지에 대한 실태와 도덕과 수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설문지에 나타난 결과를 확인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수업관찰 체크리스트는 양적인 방법으로 처리되었고, 그와 병행하여 실시된 질적 기술자료들은 양적인 자료들을 보완하도록 하였다. 또한 교실관찰을 통해서 학생에게서 도덕과에서 의도한 것 이외에 나타나는 비도덕적 행동이나 태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거쳐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덕과에서 의도한 결과에 비해 실제 도덕성 함양의 정도는 도덕적 지식에 있어서는 "대체로"(M=3.13, SD=0.88)이루어지고 있었고, 도덕적 행동의 경우에는 표면적으로는 "대체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 같았으나 구체적으로는 준법성·질서성·인격존중·자아존중·자율성 등의 항목의 태도나 행동이 함양되지 않고 있었다. 둘째, 도덕과 수업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행동이 도덕적으로 바람직하게 변화되지 않고 있는 요인을 학생들은 친구에게 44.6%, 교사에게 17.1%, 부모에게 16.1%, 기타에 22.2%를 전가시키고 있었다. 셋째, 도덕과 수업은 대체로 교사의 수여적 발언을 중심으로 한 주입식교육이 실시되고 있었고, 교사는 도덕적 갈등 상황을 제시하여 학생들에게 도덕적 사고의 기회를 많이 부여해 주고 있었으나 시·공간적 제약상 그리고 교수방법의 문제상 그것이 행동으로 실천 할 수 있도록 심화발전시켜주지는 못하고 있었다. 네째, 교실생활에서 특히 학생들에게 많이 나타나는 비도덕적인 행동으로는 책임성, 준법성, 질서성, 자율성과 대조를 이루는 태도나 행동 및 자신의 미모를 과시하려는 태도, 권위에 대한 태도 등이 있음을 경험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학교에서의 도덕과 교육 학생의 도덕성 함양에 있어서 도덕적 지식의 변화에는 도움이되나 도덕적 행동의 변화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것은 친구가 부모 및 기타 환경요인에도 이유가 있으며 도덕과 교육의 내용 및 교수방법에도 그리고 도덕과 교육 실시 과정상의 문제에도 이유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도덕과 교육의 보다 나은 효과를 위해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구체적으로 구조화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재조직 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The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extent of learning outcomes of the moral education program and to find out factors that affected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tools employed in this study were the questionarie and check-list respectively. The participant in this study were fif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results of the study ate summarized as follows (1) Knowledge intended in moral education program were generally achieved. However, internalization of those knowledge by the students were doubtful. Some of specific items in morality were found not successfully performed. There were respect of law, regularity, respect of others , autonomy and self-esteem. (2) Students imputed to friends (44.6%), teacher (17.1%), parents (16.1%), the rest (22.2%) a factor that their behavior was not changed morally. (3) Usally, the moral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in cram and leacher was giving to students the opportunity of moral thinking through moral conflict situation. But teacher did not represented to conduct it because of several-problems. (4) The immoral behavior of students was revealed in classroom life was found behaviors or attitudes in contrast with the intended program: behaviors or attitudes in contrast with the respect of law, regularity, respect of others, autonomy and self-esteem and the altitude of a person's beautify ostention, the attitude of authority. Through this results, this study could known fact that the moral education program can not help in student's moral development, the change of moral behavior. Therefore, for the effect of moral education program could produced conclusion that several problem is structured and is required necessity that it is reorganized in desirable dire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