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9 Download: 0

流行性 出血熱의 空間傳播에 關한 地理的 硏究

Title
流行性 出血熱의 空間傳播에 關한 地理的 硏究
Other Titles
(A) Geographical Study on the Spatial Diffusion of the E.H.F. in Korea
Authors
金小瑛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생활학과
Keywords
유행성출혈열공간전파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운식
Abstract
疾病의 傳播過程에 관한 硏究는 질병擴散의 메카니즘을 究明함으로써 傳潘原理를 推論하여 疾病預防에 도움이 되는 효용성을 지닌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연구가 거의 全無하다. 本 硏究는 우리나라에서 유행성출혈열이 傳播·擴散되어 가는 과정에 대하여 地理學的인 考察을 試圖함으로써 유행성출혈열의 疫學硏究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硏究의 目的을 두었다. 이를 分析하기 위해서는 유행성출혈열의 多年間의 細部的 發生統計資料가 필요하다. 그러나 수집가능한 자료는 1961 ∼ 1969년 동안과 1973년의 한국 군인에서의 年別·郡別 發病數와, 1971년과 1973∼ 1976년 동안의 한국 민간인에서의 年別 ·郡別 發病數에 한정되었다. 이를 자료로 하여 地圖化와 統計的 分析法을 적용·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행성출혈열은 年中 어느 때나 발생한다. 月別 多發生 順位는 11月, 10月, 12月, 6月의 順序이며 대체로 10 ∼ 12月간 集中·發病한다. 2) 調査年度동안 韓國軍에서의 유행성출혈열의 發生中心地域(EpidemicFoci ,혹은 Endemic Center)은 포천·철원·연천군 一圓이었으며, 時間經過에 따라 微弱하나마 發病地域이 擴大되고 있다. 3) 調査年度 동안의 民間人에서는 연천·포천·파주·양주군과 서울을 증심으로 한 경기도 일대와 청원·진천·괴산군을 중심으로 한 충청북도 일원이 發生中心地域으로 나타난다. 1974年 이후에는 특히, 강원도 中東部 지역이 중요 질병권으로 대두되고 있다. 4) 民間人에서의 發病統計資料로 potential mapping을 한 結果, 우리나라에서의 유행성출혈열의 확산은 대체로 이 病의 發生根原地域인 경기도 일대로 부터 國土의 南東部를 向해 進行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東海岸으로의 傳播가 다소 늦게 이루어짐은 태백산맥의 障得物 효과에 기인한 것이 아닌가 思料되며, 1975년부터 강원도의 강릉시 지역으로 急速한 傳播現象이 나타남은 交通路를 따른 疾病의 擴散이 아닐까 假定的으로 推定될 뿐 단정짓기는 어렵다. 5) 民間人에서의 發病統計資料로 年度別 gravity center의 移動現況을 분석해 본 결과, 유행성출혈열이 南下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各 年度別로 各 重心點으로 부터의 표준거리를 算出해 유행성출혈열의 發病範圍가 擴大되고 있음을 統計的으로 입증하였다.;This thesis attempted to analyze spatial patterns of the Epidemic Hemorrhagic Fever diffusion in Korea during the last two decades. Data concerning the incidence of the Epideinic Hemorrhagic Fever (EHF) were extracted from various medical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Korea. Spatial patterns of the EHF incidence and the direction of its expansion were plotted and analyzed by means of the choropleth and the potential ma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EHF occurred sporadically at any time of year, however, the frequency of its incidence was recorded considerably high during the period October though December. 2. In case of the R.O.K. armed forces, endemic center was formed mostly in the parts of northern Kyonggi-do, such as Pochon-Kun, Cholwon-Kun, and Yonchon-Kun, however, incidence areas were gradually expanded with lapse of time. 3. Meanwhile, in case of civilians, initial epidemic foci were formed not only in northern Kyonggi-do including Seoul area, but also in such regions of Cnungchong-Pukto as Chongwon-Kun, Chinchon-kun and Kwesan-kun. The vicinity of Kangreung city, Kangwon-do, also had emerged as a strong epidemic area since 1975. 4. According to potential mapping based on statistical data on the EHF Incidence, the EHF was shown to spread in a south-easterly direction from Kyonggi-do area where the first case of the EHF was reported. In the meantime, Taeback mountains were assumed to be a natural barrier, whereas the Yongdong Express Highway was presumed to be a catalyst for the EHF diffusion. 5. The endemic wave of the EHF was confirmed to come down south through analysis of gravity center mov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