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9 Download: 0

소비주의에 따른 여가활동 및 의복쇼핑성향에 관한 연구

Title
소비주의에 따른 여가활동 및 의복쇼핑성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Leisure Activity and Cloth Purchasing Pattern Following the Consumption Oriented Theory : Targeting Women between the Ages of 20's and 30's
Authors
조현경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숙자
Abstract
본 연구는 다양하게 변화하는 소비주의 환경 안에서 최근 구매력이 점점 커져가는 20~30대 여성들의 소비주의성향을 조사하고, 여성의 소비주의 성향에 따른 여가활동 및 의복쇼핑성향을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시장 세분화의 근거를 하려고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우리사회가 지향해야 할 바람직한 소비성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20~30대 여성의 소비주의요인, 여가활동 요인, 의복쇼핑성향의 요인을 알아본다. 둘째, 20~30대 여성의 소비주의 요인 성향과 소비주의 집단에 따른 여가활동 및 의복쇼핑성향의 차이를 알아본다. 셋째, 20~30대 여성의 여가활동에 집단에 따른 의복쇼핑성향을 알아본다. 넷째, 20~30대 여성의 소비주의 요인이 여가활동 및 의복쇼핑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다섯째, 20~30대 여성의 여가활동 요인이 의복쇼핑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여섯째, 20~30대 여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소비주의 성향, 여가활 동, 의복쇼핑성향을 알아본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으로는 서울과 경기에 거주하는 20~30대 여성 6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실시하여 최종 56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통계 Package를 이용하여 요인분석, 빈도분석, 신뢰도검증, 군집분석, 회귀분석, Duncan-test, χ2-test, AN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30대 여성의 소비주의 요인은 정체성형성지향성, 타인지향성, 외모지향성, 고급브랜드 소비지향성, 과소비지향성, 감성소비지향성, 6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20~30대 여성의 여가활동 요인은 사회적, 신체적, 지적, 휴양적, 활동으로 총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의복쇼핑성향의 요인은 쾌락적, 경제적, 상표충성적, 유행상품선호 쇼핑성향으로 총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20~30대 여성의 소비주의성향 전체 평균 점수는 3.23로 나타났으며 외모지향성 요인이3.73, 감성소비지향성 요인이 3.63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20~30대 여성의 소비주의에 따른 여가활동 및 의복쇼핑성향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소비주의 유형에 따른 집단을 분류하였다. 군집분석을 한 그 결과 경제추구형, 타인의식형, 고급추구형 3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소비주의 고급추구형 집단은 신체적활동, 지적, 휴양적 여가활동에서 다른 집단들에 비해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비주의 집단에 따른 의복쇼핑성향의 차이는 쾌락적, 경제적, 충성적, 유행적 의복쇼핑 요인에서 모두 유의한 집단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소비주의 고급추구형 집단이 다른 집단들에 비해 쾌락적, 충성적, 유행상품선호 쇼핑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여가활동 집단에 따른 의복쇼핑성향의 요인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먼저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여가활동이 능동적 집단이 쾌락적이면서도 충성적인 쇼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소비주의 요인이 여가활동 및 의복쇼핑성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가활동에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 소비주의 요인으로는 외모지향성, 고급브랜드 소비지향성이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의복쇼핑성향에 가장 영향을 주는 소비주의 요인으로는 타인지향성, 고급브랜드 소비지향성, 외모지향성, 정체성형성지향성 요인들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여가활동요인이 의복쇼핑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회귀분석결과, 의복쇼핑성향에 가장 영향을 주는 여가활동의 요인으로는 휴양적, 지적활동 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소비주의 집단별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가장의 직업과 가정의 총 월수입, 한 달 평균 의복구입비용, 여가활동의 한 달 평균 비용항목에서 소비주의 집단에 따라 유의한 차이로 나타났으며 또한 능동적, 준 능동적, 소극적으로 분류된 여가활동 집단의 인구통계학 특성을 살펴보면 학력, 거주지별, 가장의 직업과 가정의 총 월수입, 한 달 평균 의복구입 비용, 여가활동의 한 달 평균 비용항목에서 여가활동 집단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소비주의에 따라 집단을 유형화하고 집단에 따른 세부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소비자 심리와 소비 패턴을 파악하여 향후 커져가고 있는 소비주의 사회에서 패션시장과, 여가 산업에 마케팅 전략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This paper aims to provide effective market segmentation through studying the spending pattern of women between the ages of 20's and 30's, a group with increasing disposable income and purchasing power. Specifically, we have studied targeted subject's leisure activity and cloth purchasing pattern. With this study, we hope to suggest productive spending pattern that is appropriate for the society. To reach the conclusion, we have examined the followings: First, we find out the main factors of consumption pattern, leisure activity, and cloth purchasing pattern of our subject group, women between the age of 20's and 30's. Second, we look for consumption trend and difference in leisure activity and cloth purchasing pattern following the consumption pattern of groups. Third, we find out the cloth purchasing pattern following the leisure activity group. Fourth, we search for how consumption factors of our subjects can influence leisure activity and cloth purchasing pattern. Fifth, we find out how leisure activity factor affects cloth purchasing pattern. Sixth, we find out the effect of consumption trend, leisure activity and cloth purchasing pattern following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statistics of women in 20-30's age group. The research was conducted targeting 20-30's aged women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Survey was carried out on 620 subjects and ultimately, 560 subjects were analyzed. SPSS statistics package was used and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examination, cluste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Duncan-test, 2-test, and ANOVA. The results of our study are as follow: First, it derived six factors of consumption trend of women between the ages of 20's and 30's, including "identity forming factor," "other people awareness factor," "appearance factor," "brand name goods desire factor," "over-spending factor," and "emotional consumption factor." Leisure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including "societal," "body," "mental," and "recreation." For cloth purchasing pattern, it group factors into "pleasure," "economical," "brand loyalty," and "trendy product preference." Second, overall consumption propensity average grade was 3.23, "appearance factor" was 3.73 and "emotional consumption factor" was 3.63. Third, to ascertain the factors of leisure activity and cloth purchasing pattern following the consumption of women in 20s-30s age group, we classified the groups based on the consumption types. Following the results, we classified the group into "economically driven," "other people awareness," and "luxury driven" type. The study showed that "luxury driven" type had high scores in "body," "mental," and "recreation" factors than other groups. Fourth, in studying the differences in cloth purchasing pattern, the "pleasure," "economical," "brand loyalty," and "trendy product preference," al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at is, factors of "pleasure," "brand loyalty," and "trendy product preference," had high influence on "luxury driven" type than other groups. Fifth, to find the differences of factors for cloth purchasing pattern following the leisure activity group, we first conducted cluster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isure activity group shopped conforming to "pleasure" and "brand loyalty." Sixth, to find the effect of consumption factor in leisure activity and cloth purchasing pattern, we carried out regression analysis. The biggest effects on leisure activity were "appearance factor," and "brand name goods desire factor," whereas for cloth purchasing pattern, the biggest influencing factors were "other people awareness factor," "brand name goods desire factor," "appearance factor," and "identity forming factor." Seventh,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leisure activity on the cloth shopping pattern, we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biggest factors were "recreation" and "mental." Lastly, in looking at the population statistics, household's income leve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loth purchasing and leisure activity and upon classifying leisure activity group into active, semi-active and passive and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we found that the factors, including education level, place of residence, employment and household income, monthly expenses in cloth purchasing, and monthly expenses of leisure activity al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ollowing leisure activity groups. In conclusion, this paper aims to provide marketing strategic plan by identifying the difference spending patterns of groups and by understanding the consumer psychology and purchasing pattern in the fashion and leisure market indust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