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3 Download: 0

살풀이춤에 대한 美學的 接近

Title
살풀이춤에 대한 美學的 接近
Other Titles
(An) Aesthetic Approach to Salpuri Dance
Authors
金敬珠
Issue Date
1984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Keywords
살풀이춤미학이매방한국무용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白琪洙
Abstract
살풀이춤은 현실적인 액을 해소시키려는 의도에서 추어지는 巫舞로서의 살풀이춤과 1936년 창작되어 순수예술무용으로서 한국의 고전작품의 하나로 정착된 무대예술로서의 살풀이춤으로 나눌 수 있다. 본 논문은 후자를 대상으로 해서 이 춤의 구조를 분석하고 그 상징적 의미와 미적 특질을 밝혀 보았다. Ⅱ장에서는 살풀이춤의 어의를 살핌과 동시에 現行 살풀이춤의 유래를 살펴 보았다. Ⅲ장에서는 구조분석의 예비단계로 이매방 살풀이춤 한바탕 가운데 자진모리 앞부분까지를 대상으로, 살풀이장단 42장단의 춤사위를 사진으로 제시하고 해설을 붙였다. Ⅳ장에서는 살풀이춤의 구조를 분석함에 있어서 분석의 대상을 외면적 구조와 내면적 구조로 나누고, 외면적 구조 중 공간구조를 중심으로 하였다. 춤표현의 입장에서 신체를 몸통·팔·발로 大別하고 여기에 시선과 호흡을 추가시켰으며 3분박자 1박마다 변화되는 과정을 면밀히 분석하여 도표로 나타내고 그 도표에 근거하여 몸통·팔·시선의 상징적 의미를 추출하였다. 그 결과 이 춤은 부자유·어둠·고통을 동기로 하고 그러한 방향으로의 지향성을 나타내면, 팔이나 시선은 악마추방의 모티브를 보여준다. 곁들여 백색의상과 수건의 상징성도 살펴 보았다. V장에서는 살풀이춤의 내면구조로서 호흡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것을 토대로 이 춤의 미적 특질인 정중동의 세계를 구조적으로 분석한 결과 정과동, 한과 신명의 관계가 정적이지만 동적인 특성, 즉 역동성을 지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춤의 미적 범주는 전통적 개념에 따를 때 우아미와 비장미가 결합된 양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There are two kinds of 'Salpuri' dance ; one as an exorcist's dance that is performed in an effort to keep off evil misfortune, and the other as a traditional Korean theatrical art whose genuine artistic form, first created in 1936, has ever since persisted in the arena of traditional Korean dances. With the focus on the latter, this paper analyzes the structure of this dance and clarifies its symbolic meaning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Chapter 2, discusses the etymology of Salpuri dance and the its present form. In Chapter 3, as a preliminary step for structural analysis, illustrative pictures of the bodily motions of rhythmic Salpuri in binary- quadruple beat are provided for the part up to the beginning of Jajinmeori (quick tempo) in the Lee Mae- bang's Salpuri Dance Hanbatang. In Chapter 4, where the structure of Salpuri dance is analyzed, the object for analysis is classified into internal and external sides, and emphasis is laid on the analysis of the spatial structure of its external side in the interest of better dance expressions, the body is roughly sectionalized in trunk, arms and feet, and again, vision line and breadth are added thereto. The sequence of their changes that take place at everyone beat of the triple time frame has been shown in the tables, based on which, the symbolic meanings have been derived of the trunk, arms and vision line. As a result, this dance is found to have lack of freedom, darkness, and pain as its subjects, and to move in earnest search of such subjects. In addition, the arms and the vision line are understood to offer the motive of exocizing an evil spirit. The writer also looks in-to what the white-color clothing and handkerchiefs symbolize. In Chapter 5, attempts have been made to analyze, primarily, the breadth, and secondarily, the motion of the feet, each as an element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Salpuri dance. The above findings support the writer's assumption that 'rest amidst motion' and 'lasting regret and hauntedness characteristic of the aesthetic essence of this dance, though passive, are eventually dynamics-oriented. Furthermore, the aesthetics of this dance, when interpreted in the light of traditional concepts, visualizes itself in a combined form of elegance and patho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