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dc.contributor.author전희정-
dc.creator전희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7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19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8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190-
dc.description.abstract/ㅅ/와 /ㅆ/는 정상아동의 말소리 발달에서 가장 늦게 그리고 가장 긴 시간 동안 점진적인 과정을 통해 발달되는 말소리이다. 따라서 정상아동과 조음장애아동 모두에서 가장 자주 대치되는 말소리로 보고되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말소리 발달연구에서는 여러 말소리들의 대략적인 발달순서와 습득연령에 대한 결과만을 제시할 뿐 /ㅅ/와 /ㅆ/의 자세한 습득 및 발달과정에 대한 정보를 얻기는 어렵다. 본 연구는 /ㅅ/와 /ㅆ/의 세부적인 발달과정을 알아봄으로써 조음장애 아동의 진단과 치료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2-7세 정상아동 286명이다. 총 60개의 그림카드를 사용하여 7개의 모음환경 앞에서 한국어의 /ㅅ/와 /ㅆ/에 해당하는 4개의 목표말소리 즉 [s], [s ], [s] 및 [s ]를 검사하였다. 검사방법으로는 자발법, 지연모방법 및 즉각모방법을 사용하였다. 모든 검사과정은 추후분석을 위해 녹음되었고 2명의 평가자가 전체 아동의 반응을 평가·분석하였다. 자료분석에서는 우선, 각 목표말소리의 정반응수에 대한 연령집단간 차이를 분산분석(ANOVA)으로 검증하였고 각 연령집단에 대한 목표말소리의 정반응율(%)을 사용해 /ㅅ/와 /ㅆ/의 발달경향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모음환경에 따른 목표말소리의 정반응수에 대한 연령집단간 차이를 다시 분산분석으로 검증하였고 각 모음환경에 따른 목표말소리의 정반응율(%)을 사용해 모음에 따른 /ㅅ/와 /ㅆ/의 발달경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아동의 모든 반응을 19개의 반응범주로 분류하여 각 목표말소리가 어떠한 발달과정을 통해 변화되어 가는지 유추하였다. 목표말소리를 포함하고 있는 60개의 그림카드를 제시했을 때 나타난 아동의 정반응수를 사용하여 연령집단간 차이를 분산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7세 정상아동에서 /ㅅ/와 /ㅆ/의 정반응수는 연령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2-7세 정상아동에서 모음환경에 따른 /ㅅ/와 /ㅆ/의 정반응수는 연령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목표말소리를 포함하고 있는 60개의 그림카드를 제시했을 때 나타난 아동의 정반응율(%)과 각 반응범주의 발생율(%)을 사용하여 목표말소리의 발달경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75%의 습득기준으로 보면 [s]와 [s ]는 4;0-4;5세 집단에서, [s]는 6;6-6;11세 집단에서, 그리고 [s ]는 7;0-7;5세 집단에서 습득되었다. 90%의 습득기준으로 보면 [s]와 [s ]는 5;6-5;11세 집단에서 습득되었으나 [s]와 [s’]는 대상아동의 상한연령까지도 완전히 습득되지 못하였다. (2) 각 연령집단에서 나타난 19개 반응범주의 유형과 분포를 통해 /ㅅ/와 /ㅆ/의 발달과정을 유추한 결과 [s]는 생략에서 시작하여 [h], /ㅈ/계열 소리(특히 [c^h]), 그리고 [s]의 순서로, [s ]는 생략에서 시작하여 [h], /ㅈ/계열 소리(특히 [c’]), [s], 그리고 [s ]의 순서로, [s]는 생략에서 시작하여 [h], /ㄷ/계열 소리(특히 [t^h]), [s], [ ]계열 소리, 그리고 [s]의 순서로, 그리고 [s’]는 생략에서 시작하여 [h], /ㄷ/계열 소리(특히 [t’]), [s ]계열 소리, 그리고 [s ]의 순서로 발달하였다. (3) /ㅅ/와 /ㅆ/의 정반응율(%)을 사용해 모음환경에 따른 목표말소리의 발달순서를 유추한 결과 /ㅅ/는 /시/, /사/, /서/, /새/, /스/, /소/, 그리고 /수/의 순서로, 그리고 /ㅆ/는 /씨/, /싸/, /써/, /쓰/, /쏘/, /쌔/, 그리고 /쑤/의 순서로 발달하였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acquisition and development of /s/(lax) and /s /(tense), which are most frequently substituted Korean speech sounds by children with articulatory-phonological disorders. Two hundred and eighty-six subjects aged 2-7 years old participated in the study. Sixty picture cards were used to elicit the children’s productions of four Korean sounds, [s], [s ], [s], and [s’], which correspond to the allophonic realizations of the two Korean sounds /s/ and /s /. All the test procedures were tape-recorded and the responses of all subjects were evaluated by two examiner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evelopmental sequential order of the target sounds were found to be [s], [s ], [s], and [s ]; (2) It was found that the target sounds were acquired first i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syllable preceding /i/; (3) in terms of omissions and substitutions, the fricative consonants in concern are first omitted, and then substitutions with either alveolar stops(/t/, /t’/, or /t^h/) or affricates(/c/, /c’/, or /c^h/) occur, which is followed by the substitutions with palatalized fricatives(/s/ or /s /). In the next stage, the interdental fricative of /θ/ substitutes for /s/ or /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x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질문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말소리 발달에 대한 연구 = 5 1. 영어 말소리 발달에 대한 연구 = 5 2. 우리 말소리 발달에 대한 연구 = 11 B. /ㅅ/와 /ㅆ/에 대한 연구 = 12 Ⅲ. 연구방법 = 18 A. 연구대상 = 18 B. 검사도구 = 19 C. 연구절차 = 23 D. 자료분석 = 28 Ⅳ. 결과 = 29 A. 목표말소리의 발달 = 29 B. 목표말소리에 대한 반응분석 = 38 C. 모음에 따른 /ㅅ/와 /ㅆ/의 발달 및 반응분석 = 53 Ⅴ. 결론 및 제언 = 67 A. 결론 및 논의 = 67 B. 연구의 제한점 = 80 C. 제언 = 81 참고문헌 = 82 부 록 =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8896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2-7세 정상아동의 /ㅅ/와 /ㅆ/ 말소리 발달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