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2 Download: 0

Neo-DBAE에 기초한 초등학교 미술과 교재연구

Title
Neo-DBAE에 기초한 초등학교 미술과 교재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Art Textbook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DBAE : focusing on 3rd grade art textbook for the 7th curriculum
Authors
김선양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용
Abstract
현 미술교육에 있어서 가장 활발한 연구 중의 하나는 DBAE(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이론에 관한 내용과 미술 교육과정에서 DBAE의 적용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의 목적은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하여 제시된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의 내용구성이 DBAE의 원리를 얼마만큼 반영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로 인해 드러나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DBAE의 교수학습 원리에 맞는 미술 교과서의 새로운 내용구성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DBAE의 이론적 개념들을 살펴보고 이 이론을 제공한 Greer와 Eisner의 사상을 검토하였으며, DBAE의 원리가 적용된 제 7차 초등미술 교육과정의 핵심 사항들을 살펴보았다. 둘째, 제 7차 교육과정에 제시된 세 가지 내용인 미적체험, 감상, 표현영역에 따라 초등학교 3학년 교재를 분석하였다. 셋째, DBAE에 기초한 미국 미술 교과서인 Adventures in Art Level 3과 현 우리나라 3학년 미술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고 이에 따라 나타난 차이점들과 문제점들을 살펴보았다. 넷째, 위의 분석으로 드러난 문제점들을 개선 보완하기 위해서 미적체험, 표현, 감상의 세 주요 영역을 기본으로 한 새로운 교재의 재구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현 우리나라 미술 교과서의 DBAE관점에서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는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해서 미적체험, 표현, 감상 영역이 모두 한 단원 내에 통합되어 지도할 수 있도록 구성 되어져 있으나 이해를 돕는 지문들이 너무 적어 감상 활동과의 연계성이 부족하다. 둘째, 현 초등미술 교과서는 12단원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 단원 내에서 독립적이고 다양한 미술 활동이 전개될 수 있게 구성 되어져 있다. 이에 반해, 미국 교과서는 4개의 큰 단원과 각각이 15개의 세부 주제들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단원별, 세부주제별로 종합적인 개관과 검토가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세부적인 학습 내용 구성은 교과서 전체에서의 일관적인 연계성을 이끌어 내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셋째, 현 우리나라 초등미술교과서에 제시된 이미지 자료는 작가 작품에 비해 학생 작품이 주를 이루는 반면, 미국 교과서는 작가 작품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교과서의 전체 분량에서도 우리나라 교과서가 48쪽인데 비해 미국 교과서는 159쪽에 달한다. 미술과 교과서는 단순한 자료나 사실들의 나열이기 보다는 오히려 학습자인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창의적인 사고와 감상 및 학습을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종합적이고 조직적인 연계성의 구성 물 이여야 한다. "제7차 미술 교육과정에서는 단원을 구성할 때 학습요소를 재구성하여야 하며, 하나의 단원은 그 다음 단원과 연관성을 가진 내용으로 구성하여 학습자의 표현 능력을 점차적으로 기를 수 있도록 한다."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 과정 해설V)라고 하였으나 연구결과 단원별, 영역별 연계성의 부재로 인한 동일한 내용의 반복경향이 뚜렷하며 각 작품에 대한 보충설명과 참고자료의 부족으로 작품의 이해와 감상에 도달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학년간의 차별성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이는 현 교과 교육과정에 의하여 구성된 교과서가 DBAE의 근본적인 방법론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현 교과서가 국정교과서의 단일성이란 한계를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교과서의 구성체제가 DBAE 핵심원리에 충실한 새로운 구성체제로 전환되어야 하며 이러한 교과서의 재구성은 학생들의 미술교육에 대한 동기와 성취도를 고취시키고 미술교육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One of the most active researches of art education areas is the DBAE(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itself and applications of DBAE program in the curriculum on art textboo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necessities that established art textbooks in Korea should be re-organized and re-structuralized more coherently by means of DBAE education principles. For this, first, I have summarized the theoretical concepts of DBAE into its originators Greer & Eisner's thought. Then I have examined the main goal of the 7th curriculum. Second, I have analyzed 3rd grade art textbook into aesthetic experience, appreciation, and expression that are the most basic important frames of an art textbook. Third, I have compared the textbook with the art textbook of the USA "Adventure in Art" whose organizations are based on DBAE. These analyses have shown me a series of organizational problems on 3rd grade textbook in Korea. To make up for these problems, I have finally suggested a more effective way to organize the textbook's organization by properly using the three parts: aesthetic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The major findings in the textbook are as follows: First, in 3rd grade textbook in Korea, there have been insufficient explanations on each of the art work. It interferes students from attaining the final appreciation. Also it causes the lack of organization coherence of the book which is an important necessity for students to attain understanding and final appreciation of a given art work. Even though 3rd grade textbook for the 7th art curriculum has all the parts of the aesthetic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in one unit, the lack of explanation on a given art work causes the lack of effective coherence. Second, 3rd grade textbook is composed of 12 units and each has its own conclusion, while the art textbook in USA "Adventure in Art" is parted into 4 large units and each has 15 detail subunits. Each subunit has an outline and summary. This gives us a general perspective of structural coherence through the whole textbook. Third, most of the art works and image data in art textbooks including 3rd grade textbook in Korea are done by pupils and it has just 48 pages, while Adventure in Art shows professional works and it has 159 pages, which is almost three times more than the textbook in Korea. An art textbook is not to simply place materials or facts in a row, but rather it should have a strong structural coherence that can lead students to attain a creative thought, appreciation, and learning. We should note, In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 Vol. V for the 7th curriculum: "When re-organizing contents, it is needed to have coherence and relevance between units in order to gradually improve students' expression abilitie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however, art textbooks in Korea lack this kind of structural coherence and relevance between units. Contents of the books are described so repeatedly and abstractly, which it could cause the lack of distinction between grades and misunderstanding on a given art work. This shows us that the art textbook for the 7th art curriculum has not fully adopted the core principles of DBAE into its contents or structures. Therefore, in order to make a better DBAE oriented textbook, the art textbooks in Korea should be re-organized and re-structuralized by means of the core principles of DBAE, the structural coherence in art education, achievements of artistic expression and creative appreciation. By re-organizing and re-structuralizing contents, students can improve enhancement of academ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