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지선-
dc.contributor.author허지운-
dc.creator허지운-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0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8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1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814-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nvestigates difficulties in interpreting from World Englishes into Korean. The term ‘World Englishes’ includes different varieties of Englishes used around the world and emphasizes equality of all varieties. With globalization and growing international exchange, native speakers can no longer claim sole ownership to English, as English speaking population is growing rapidly among non-native speakers. Consistent with such phenomena, English has become one of the most widely used languages in international conferences as non-native speakers increasingly use English to deliver their speeches. However, non-native Englishes display features distinct from those of native Englishes, which may trigger interpreting problems. In particular, non-native Englishes may cause specific difficulties for interpreters when interpreting into Korean. The dearth of research on this topic prompted this study which focuses on analyzing the impact of non-native speech features on interpreting performance. Against this backdrop, the main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explore the impact of World Englishes on interpreting performance at a general level; (2)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ived difficulties between interpreting native English and non-native English into Korean; and (3) identify phonological and syntactical features of non-native varieties and their impact on target texts. Based on a small-scale interview of freelance interpreters and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merican English, Indian English and Chinese English were selected as varieties that best represent each of the three concentric circles of World Englishes introduced by Kachru(1985): the inner circle, the outer circle, and the expanding circle. A controlled experiment and a questionnaire-based survey were conducted for this study. The controlled experiment was preceded by three rounds of pilot tests to ensure the validity and adequacy of its test method and tool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wo different groups: experts and novices. Each group was assigned to different modes of interpreting tasks(simultaneous interpreting for experts and consecutive interpreting for novices), followed by a ‘stimulated retrospective think-aloud’ task, a procedure involving underlining segments of the transcribed source text perceived as unintelligible or ungrammatical by the participants and giving oral statements on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during interpreting tasks. The questionnaire-based survey was conducted on 28 professional freelance interpreters with a language combination of English and Korean. The results of the controlled experiment and questionnaire-based survey indicat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survey results comfirmed that World Englishes have become dominant languages used in interpreting scenes and have impact on interpreting practice. Non-native speakers of English delivering their speech in English is a common scene in international conferences, as evidenced by the survey result where 82% of respondents said that non-native speakers accounted for more than 41% of all English speakers they interpreted over the recent two years. Respondents said that they are increasingly facing non-native speakers from Greater China and Southeast Asian regions including Thailand, Vietnam, and Indonesia. Respondents also reported that they experienced more difficulties when interpreting from non-native Englishes in general and at phonological, syntactic, and lexical levels in particular. Furthermore, non-native Englishes were found to cause psychological stress to the majority of respondents. When faced with such challenges in practice, interpreters were found to employ off-line strategies such as arranging pre-meetings with speakers and requesting presentation materials ahead of the conference, which are strategies not confined to non-native speech but ones particularly valuable when faced with unintelligible segments of non-native speaker’s utterance. Online strategies included summarizing such as selection, deletion or generalization. Despit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interpreting practice, non-native Englishes are largely downplayed in interpreter training programs while most of the survey respondents shared the importance of including non-native Englishes in interpreter training courses. Second, results from the controlled experiment revealed that non-native English speakers imposed more challenges than native speakers, which coincides with the findings of the survey. Interpreting challenges were measured by ‘intelligibility’ of source text speech, ‘comprehensibility’ of the source text message, and ‘processing capacity requirement’ in interpreting process. Specifically, experts and novices alike perceived the two non-native varieties –Indian English and Chinese English- as extremely unintelligible and incomprehensible while requiring huge processing capacity to process the two varieties. On the contrary, American English was found to be highly intelligible and comprehensible while requiring little processing capacity. Third, phonological and syntactical features of Indian English and Chinese English were found to have profound impact on the difficulties perceived by participants and on target text qualities as well. Analysis on the relations between perceived triggers of interpreting problems in source text, features of non-native English varieties, and interpreting problems displayed in target texts revealed that suprasegmental and segmental features of Indian English and segmental and syntactical features of Chinese English were the main factors perceived as challenges by participants and served as error triggers in interpreting outputs. More specifically, surpasegmental features of Indian English such as word stress in different syllables than in native English, sentence stress in both function words and content words, monotonous intonation, lack of pauses, level vowel lengths, and segmental features such as extensive use of flap /ɾ/, unaspirated consonants such as /t=/ and /d=/, retroflex consonants, and monophthongs in place of diphthongs were the main causes of interpreting problems. For Chinese English, segmental features such as monophthongs in place of diphthongs, insertion of schwa after consonants, consonant drops in consonant clusters, and syntactic feaures involving parts of speech, tense, verb, subject omissions, insertion of particle pauses, conjunctions, prepositions were found to be the main problem triggers. Survey results supported the outcome of the controlled experiment, with respondents pointing to supra-segmental and segmental features as elements causing profound challenges for Indian English, while rating segmental and syntactic features as the most challenging elements in Chinese English. The aforementioned features, inevitably, affected interpreting outputs in the experiment. Segments of source text marked as interpreting problems perceived by participants displayed errors and shifts in meaning in the form of full omissions, partial omissions, and meaning errors. In fact, errors were not confined to the segments of the source text marked as perceived triggers but spilled over to ensuing ST segments as participants suffered from overload of processing capacity due to the initial problem triggers. On the contrary, interpreting outputs of American English rendered a completely different result, with fidelity and accuracy of the interpreted rendition for both experts and novices significantly higher. It is thus important to note that phonological and syntactical features of non-native Englishes impose significant challenge to even proficient interpreters. In this regard, two parallel approach can be proposed to address the challenges arising from non-native Englishes. First, it is imperative that major actors of international conferences, such as organizers, speakers, interpreters and the audience, all coordinate to create a conducive environment for interpreters so as to lessen their burden when interpreting from non-native Englishes. Second, interpreter training programs should help students expand their knowledge on features of World Englishes and use different English varieties as source text materials in interpreting classes, as the result of the survey suggests that knowledge on non-native speakers’ L1 and more exposure to non-native accents help interpreters understand non-native speakers’ speeches more easi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hich are based o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suggest that the implications of World Englishes for interpreting practice is profound and thus deserve further attention in interpreting studies.;본 논문의 목적은 세계영어의 특성이 유발하는 영한통역 수행 시의 통역고충에 관하여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세계영어란 비영어권에서 사용하는 영어를 포함하여 세계 각지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영어의 통칭이다. 최근 세계화의 확산과 더불어 영어는 원어민 뿐만 아니라 비원어민도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비원어민 영어는 지역별로 화자의 모국어 및 문화의 영향을 받아 원어민 영어와는 다른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다양한 세계영어를 사용하는 현상은 통역 회의 현장에서도 쉽게 경험할 수 있으며, 특히 비원어민 연사의 발화 특성은 영한통역의 고충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 동안의 통역 연구 중에서 세계영어의 특성 중 특히 비원어민 영어의 특성이 통역에 미치는 영향 및 고충 요인에 관한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특히 영한 통역사에게 미치는 영향 및 고충에 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세계영어가 미치는 영한통역 수행 시의 고충을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세계영어 중 특히 비원어민 영어 통역 수행에 있어 보다 체계적으로 대비하고 접근하도록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세계영어의 영한통역과 관련된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였고, 둘째, 원어민 영어와 비원어민 영어 통역 수행 시 통역사가 체감하는 고충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셋째, 비원어민 영어 통역 고충 요인 및 통역 결과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예비 인터뷰와 선행 연구 조사를 실시하여 연구의 방향, 연구 대상, 연구 범위를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본격적인 실험 조사와 설문 조사를 병행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조사 대상 영어로는 세계영어의 세 동심원 중 대표성을 지닌 미국영어, 인도영어, 중국영어를 선정하였다. 실험 조사는 세 차례의 예비 실험을 통하여 실험 조사 방법 및 도구의 타당성과 적정성을 타진한 후 전문 통역사와 학생 통역사를 대상으로 각각 동시통역 실험과 순차통역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설문 조사는 국내 유수의 통역 대학원을 졸업하고 4년 이상 경력을 지닌 국제회의 영한 통역사를 대상으로 하여 인터넷 설문 조사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우선, 세계영어 영한통역과 관련된 전반적 현황은 다음과 같다. 국내 프리랜서 전문 통역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 응답자의 대부분인 82%가 최근 2년간 비원어민 연사를 통역한 비중이 41% 이상에 달한다고 답할 정도로 비원어민 연사의 비중은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으며, 그 중 중국어권 연사와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지역 출신 연사들을 자주 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한 통역사들은 원어민 연사에 비하여 비원어민 연사를 통역할 때 더 고충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는 음운, 문법, 어휘 등의 문제가 고충을 유발하고, 지역별로는 인도를 포함한 남아시아 지역과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동남아시아 지역의 영어가 상대적으로 고충을 많이 유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처럼 고충이 발생할 때 통역사들은 발표 자료 및 프리미팅을 통하여 맥락을 파악하고 연사의 발음을 사전에 익히는 문제 해결 전략을 취하였으며, 통역 수행 중 고충 발생 시에는 선택, 삭제, 일반화 등의 요약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비원어민 연사 통역 시 고충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문제 해결을 위한 우회 전략을 사용함에 따라 통역사들에게는 인지적 부담도 증가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통역 스트레스도 가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통역 실무에서 고충이 발생하고 있지만 그 동안 통역 교육을 통해 세계영어 중 특히 비원어민 영어에 노출된 응답자들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역 교육을 통하여 비원어민 영어에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에 많은 통역사들이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원어민 영어는 원어민 영어에 비하여 고충을 더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술하였듯 비원어민 연사 통역 시 고충이 있었다고 많은 전문 통역사들이 설문 조사를 통하여 응답하였는데, 이는 실험 조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실험에 참가한 전문 통역사들은 원어민 영어를 통역할 때에 비하여 비원어민 영어인 인도영어와 중국영어를 통역할 때 체감하는 고충 수준이 훨씬 높았으며 그것이 통역 결과물에서도 발현되었다. 체감 고충 수준의 차이는 음운명료도, 이해도, 인지능력 요구량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는데, 미국영어 통역 시에는 음운명료도가 높고, 그에 따라 이해도도 높았으며 인지능력 요구량은 매우 낮았다고 나타난 반면, 인도영어 및 중국영어 통역 시에는 그와 반대로 음운명료도가 현저하게 떨어지고, 그 영향으로 이해도 또한 현격하게 저하되었으며, 그에 따라 인지능력 요구량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통역사를 대상으로 한 순차통역에서도 이러한 고충 수준의 차이 및 양상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셋째, 인도영어의 음운 특성과 중국영어의 음운 및 문법 특성이 영한통역 고충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역 결과물의 의미 변형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충 요인 및 결과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았다. 자극회상구술 시 통역사들이 고충을 체감하였다고 표시한 부분에 나타난 인도영어 및 중국영어의 음운 및 문법 특성을 분석 하고, 다시 고충을 체감한 부분을 통역 결과물과 비교하여 구체적인 음운 및 문법 층위의 통역 고충 요인과 통역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인도영어의 경우 강세 오류, 단조로운 억양, 휴지 부족, 내용어와 기능어 간 차이 없는 강세 및 음조 등 초분절적 특성과, /t/, /d/의 경음화, /r/의 설탄음 및 권설음화, 이중모음의 단모음화 등 분절적 특성이 대표적인 고충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영어의 경우, 이중모음과 장모음의 단모음화 및 약모음화 등 모음 발음 특성, 끝자음 생략, 자음군 단순화, 슈와(schwa) 삽입 등 자음 특성이 대표적인 고충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기에 더해 문법적 특성도 고충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중국영어 특유의 품사, 시제, 동사 활용 문제, 주어 생략, 종속절 사용, 휴지사 추가, 부적절한 접속사 및 전치사 사용 등 문법 특성이 중국영어 화자의 모국어인 중국어 문법의 영향을 받는 것이지만 영한 통역사에게는 이것이 단순한 문법 오류로 인식되면서 발화의 구조 파악에 어려움을 유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고충 요인에 대한 실험 조사 분석 결과는 설문 조사 응답 결과와도 상통하였는데, 설문 조사의 응답자들 또한 인도영어의 초분절 및 분절 요인, 중국어의 분절 및 문법 요인을 고충 요인으로 꼽아서 경험적으로도 위의 요인들이 영한통역사들에게 고충을 유발하는 것으로 재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고충 요인은 통역 결과물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통역 결과물상 고충을 체감하였다고 통역사들이 표시한 부분에 해당하는 결과물에는 전체 생략, 부분 생략, 오역이 다수 발생하였고, 통역 의미 변형의 범위는 단순히 고충을 체감한 부분에 한정되지 않고 더 넓은 범위에 걸쳐 문제가 나타난 경우도 다수 있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텍스트 전체적으로 맥락이 끊기거나 논리의 변형이 발생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고충을 체감한 부분으로 인하여 통역사의 인지적 부담이 가중됨에 따라 통역의 고충의 범위가 더 확대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처럼 비원어민 영어인 인도영어와 중국영어의 고충이 두드러졌던 반면 전문 통역사와 학생 통역사 모두의 미국영어 실험 결과는 이와 대조적이어서, 체감한 고충도 적고 통역 결과물도 내용의 정확성 및 충실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통역 능력이 매우 탁월한 전문 통역사들과 순차통역 성적이 우수한 학생 통역사에게도 비원어민 영어 특성이 강한 연사의 발화는 새로운 통역 변수로서 매우 큰 고충을 안겨준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비원어민 연사 통역의 고충을 완화하기 위한 실무 환경 개선 대책이 절실하며, 장기적으로는 이와 같은 변화하는 환경에 대비하기 위한 교육 방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비원어민 영어가 새로운 통역 변수로서 작용하며 통역사가 자율적으로 조절하기 힘든 입력 변수라는 것을 감안할 때 연사, 회의 주최측, 청중, 통역사 4 자 간의 공조가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단기적으로는 보다 적극적으로 발표 자료를 확보하고 프리미팅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원활한 실무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설문 조사 응답 결과 중 고충을 체감하는 지역영어와 통역사의 언어 학습 배경 간의 교차 분석 결과 통역사에게 익숙한 영어일수록 상대적인 통역 고충이 적다는 것을 감안할 때, 장기적으로는 통역 교육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다양한 세계영어 변종에 노출되도록 하고 체계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대비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본 연구는 실증 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세계영어의 특성, 통역사가 인지하는 고충, 통역 결과물 간 상호 연계를 통하여 음운 층위를 중심으로 한 구체적 고충 요인을 파악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전반적인 세계영어 영한통역의 현황을 파악하여 실무 환경 개선의 근거를 마련하고 교육 방법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이에 본 연구가 통역 실무 및 교육에 참고가 되고 향후 세계영어 통역 연구에 기여하기를 희망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 목적 1 B. 연구 방법 6 II. 선행 연구 16 A. 통역 과정 16 1. 청취 단계 17 2. 내용의미 형성 단계 26 3. 발화 단계 32 B. 세계영어 개관 35 1. 세계영어의 정의 35 2. 세계영어의 분류 39 가. 세 개의 동심원 모형 39 나. 기능적 분류 41 다. 발달과정에 따른 분류 43 3. 세계영어 특징 44 가. 인도영어 45 나. 중국영어 48 C. 세계영어로 인한 통역 시 고충 52 1. 세계영어 통역 연구 52 2. 분석틀 56 III. 실험 조사 62 A. 실험 조사의 절차와 방법 62 1. 예비 실험 63 가. 1차 예비 실험 64 나. 2차 예비 실험 70 다. 3차 예비 실험 73 2. 전문 통역사 실험 77 가. 실험 개요 77 나. 실험 텍스트 준비 78 다. 실험 참가자 선정 90 라. 실험 진행 90 3. 학생 통역사 실험 95 가. 실험 개요 95 나. 실험 텍스트 준비 96 다. 실험 참가자 선정 105 라. 실험 진행 106 B. 실험 조사의 결과 분석 108 1. 세계영어 변종 간 영한통역 고충 수준 비교 108 가. 인도영어 대 미국영어 110 나. 중국영어 대 미국영어 117 다. 인도영어 대 중국영어 123 라. 이해 층위 간 상관관계 129 마. 소결 130 2. 세계영어 변종별 영한통역 고충 요인 분석 131 가. 미국영어 136 나. 인도영어 143 다. 중국영어 192 라. 소결 224 IV. 설문 조사 228 A. 설문 조사의 절차와 방법 228 1. 조사 도구의 작성 229 2. 표본 집단의 선정 232 3. 사전 조사 233 4. 조사 진행 234 B. 설문 조사의 결과 분석 234 1. 세계영어 영한통역의 일반 현황 235 가. 세계영어 영한통역 노출 현황 235 나. 세계영어 영한통역 고충 현황 242 다. 사전 준비 및 통역 수행 중의 전략 252 라. 특정 변종 익숙도와 통역 고충 수준의 상관관계 255 마. 통역 교육에서의 세계영어 노출 현황 263 바. 소결 265 2. 세계영어 변종별 영한통역 고충 요인 268 가. 인도영어 268 나. 중국영어 277 다. 소결 287 V. 결론 289 A. 결과 종합 289 B. 교육 방법 및 실무를 위한 제언 294 C. 연구의 의의와 향후 연구 전망 297 참고문헌 301 부록 310 Abstract 34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8737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세계영어의 특성으로 인한 영한통역 시 고충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인도영어와 중국영어의 음운적 특성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Difficulties in Interpreting from English to Korean Arising from Features of World Englishes : With an Emphasis on Phonological Features of Indian English and Chinese English-
dc.creator.othernameHuh, Ji Un-
dc.format.pagexxii, 346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통역번역대학원 통역번역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통역번역대학원 > 통역번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