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8 Download: 0

문해 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지식 분석

Title
문해 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지식 분석
Other Titles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of Literacy Education
Authors
김은정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of literacy education and to analysis the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And then it was to search for implications of teachers’ professionalis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at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is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of literacy education? 2. What is the factors to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of literacy education? 3.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of literacy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1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 or daycare cent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photographic interviewing was used to elicit the experiences and the views of the subjects. The content analysis of interview data on the research questions was conducte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literac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was to think and communicate. Teachers said that literacy education should be natural and playful, also concerning in the gap of children’s literacy skills and development, and started from children’s interest. It was said that teachers determined the success of literac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settings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the activity. Second, teachers’ knowledge of children was about the process of literacy development, the cause and effect in accordance with the gap among children’s literacy skills and development, and children’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in literacy-related context. Third, the teachers’ knowledge about the context of literacy education was related to children’s family contexts, kindergarten or daycare center and social contexts. Fourth, the teachers’ knowledge of literacy education was influenced by their beliefs, contexts, experiences and the process of adapting and compromising themselve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Fifth, the teachers’ knowledge was positioned between theory and practice, grounded in external basis, and classified by the types of the activity. And also it was connected to the knowledge of other subjects, developmental areas, or interest areas.;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문해 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지식을 교과에 대한 지식, 유아에 대한 지식, 맥락에 대한 지식으로 구분하여 이해하고,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지식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살펴보며, 이를 통해 유아교육 분야의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시사점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문해 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지식은 어떠한가? 2. 문해 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3. 문해 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지식의 특성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경기 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 41명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각화된 자료를 사용한 면담법을 사용하여, 2011년 9월 24일부터 10월 28일에 걸쳐 교사 당 한 차례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부호화와 범주화를 거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문해 교육은 사고와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유아의 관심으로부터 시작해서, 자연스럽고 재미있게 수준차를 고려해서 지도해야 하며, 문해 교육은 활동 유형에 따라 성공 여부가 결정된다 하였다. 교사들은 문해를 사고와 의사소통의 도구로 보며 교육 목표에 대해 정확한 지식을 나타냈으며, 유아의 관심으로부터 문해 교육을 시작한다고 보아 교육 방법과 원리에 대한 지식을 나타냈다. 또한 교사들은 유아들이 문해 교육은 재미있게 해야 하며 학습 목표를 강요해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또한 문해 능력 수준차에 대해 이에 따른 개별, 소집단 지도를 할 필요가 있고, 문해 교육을 할 때는 특정 활동이 효과가 클 것이라 하였다. 둘째, 유아에 대해 유아의 문해 능력의 발달 과정, 수준차와 정서에 대한 지식이 나타났다. 교사들은 유아의 문해 능력이 자연스럽게 발달할 것이라 하며, 유아의 수준차의 원인은 경험, 인지 능력, 성별이라고 보고 있었다. 유아의 문해 능력 수준차로 인해 유아들끼리 낙인, 힘의 차이, 자극 받음, 좌절과 회피가 나타난다고 하였다. 유아의 문해 능력에 대한 정서 반응은 긍정적인 정서는 즐거움, 성취감을, 부정적인 정서는 지겨움, 부끄러움, 스트레스를 들었다. 셋째, 문해 교육을 둘러싼 맥락에 대한 지식은 가정 맥락, 기관 맥락, 사회 맥락에 대한 것이 나타났다. 교사들은 가정이 문해 교육에 대한 의사결정을 한다고 보았고, 기관 간의 경쟁이 문해 교육을 실행하는데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기관 간의 경쟁에는 원아모집이나 초등학교에서의 비교에 대한 이해가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맥락에 대해서는 사회가 유아의 빠른 학습을 강요한다고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초등학교에서 문자 교육을 하지 않는다는 것과 초등 적응을 위해서 유아기에 문해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 현대의 사회의 조기 학습 분위기와 미디어의 영향 등을 들었다. 넷째, 문해 교육에 대한 교사의 지식은 신념과 맥락, 경험의 영향을 받거나 이론과 실제의 차이에 순응, 절충하는 것에 영향을 받았다. 유아 교사들은 문해 신념에 따라서 문해 교육의 초점과 접근 방식에 대한 지식을 나타냈으며, 가정, 기관, 사회적 맥락의 영향을 받아 문해 교육에 대한 지식이 나타나고 있었다. 교사들은 문해 교육에 대한 지식에 경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에 반해 경험이 없으면 모른다는 식의 반응도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이론과 실제의 차이를 느끼며, 이에 순응하거나 절충하는 과정에서 지식과 행동을 변화시키기도 하였다. 다섯째, 문해 교육에 대한 교사의 지식은 신념과 실제 사이에 위치하였고, 외부에 근거하고 있었으며, 활동 유형별로 분류되어 있었다. 또한 다른 영역과 연결되어 나타는 특성이 있었다. 유아 교사의 지식은 다양한 신념과 접근 방법이 복합된 지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리고 교육과 관련한 의사결정에서 근거를 외부에 두는 특성이 있었다. 또한 활동 유형별로 효과, 수준별 지도 방법 등에 대한 지식이 분류되어 나타났다. 유아교육 교수학습 원리인 통합과 관련하여 유아 교사의 문해 교육에 대한 지식은 다른 교과, 발달, 흥미 영역과 연결되어 나타나는 특성이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