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0 Download: 0

탈교과적 통합교육과정 운영 사례 분석

Title
탈교과적 통합교육과정 운영 사례 분석
Other Titles
A Case analysis of trans-subjects curriculum integration
Authors
박영미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경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difficulties and the measures for overcoming difficulties of actual cases to find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 as alternative that two ways of trans-subjects curriculum integration - a method of trans boundary subjects and a method of integrating school and society - can solve the problem of existing integrated curriculum.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ad been proposed: 1. What type has been implementing as a method of trans boundary subjects at school? 2. What type has been implementing as a method of integrating school and society at school? 3. What are the difficulties and the measures of overcoming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the integrated curriculum of two types? Following details were studied to execut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three schools-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unauthorized school-. Data collections were conducted in several ways through class observation, individual or group interview and literature survey metho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thod of trans boundary subjects has been implemented as a hands-on activity centered curriculum at school. This curriculum provides learners with opportunities to show their interesting and abilities. Furthermore, this curriculum functions as a way of integrating the education contents and learner's experience by experimenting and investigating the contents beyond the limited knowledge of the classroom. These results show that a hands-on activity is not the activity going out without the purpose and direction but the process investigating by using student's thoughts. Second, the method of integrating school and society has been implemented as community centered curriculum in consideration to connection with local community(or society) at school. This curriculum shows that schools are social institutions that require close relations with community. The result shows schooling functions as a reproduction in little of community life. Third, when integrated curriculum of two types has been implemented, difficulties were encountered. The first difficulty was caused due to high reliance by textbook(subject). To solve this difficulty, teachers have been sharing various ideas through the cooperation of teachers' conferences. So they try to provide learners with diverse contents of hands-on activity. Another difficulty is deciding student's course. To solve the problem, school provides learners with diversity of life by systematizing and revitalizing course guidance such as meeting with diverse people and internship programs.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the possibilities, limitations,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integrated curriculum of two types. First, in terms of relating each learning contents and learner's experience through the activities, and increasing learning motives by recognizing learners as active beings directly involved, and leading to changes of learner's experience through interactions within communities, these integrated curriculums contribute to the unification of learner's experiences. Second, these integrated curriculums have a limitation in terms of being reorganized hands-on activity which introduce to integrate divided textbook contents, as subject-centered, and experiencing inner conflict by teachers themselves who have traditional teaching, not hands-on activity education and community-centered education, also, experiencing inner conflict due to value by students themselves between their school and society. Finally, the concep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should be extended beyond the subjects and textbooks, and schooling with community can be part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At the time it is due, learner's experience might be integrated with their mind and expanded into a part of society where they will meet.;통합교육과정은 교과별로 학습내용을 엄격히 분할하여 가르치는 방식이 지닌 한계와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시도된 대안적 접근의 하나이다.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당위나 필요성, 유용성, 통합원리 및 방식, 유형 등에 대한 인식론적 논의와 교사들의 통합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연구는 속속히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통합의 목적 및 취지를 반영하여 운영되고 있는 사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50여년이 지난 한국 교육과정 역사 속에서 통합교육과정은 ‘학습자 경험의 통합’, ‘학습자의 인격적 통합’이라는 목적을 갖고 시행되었으나, 실제에 적용될 때는 그 의미가 사라져 버리고 초등학교 교과 간의 통합과 중등 수준의 과학과 사회라는 특정 과목에 대한 통합이라는 의미로 축약되어 왔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통합의 본질과 의미에 대한 이해가 주로 기능적인 차원에 머물러 있어서 그 수준이 통합교과·교과중심통합에 머무르는 경향이 강하였다는 점, 그리고 학습자의 경험과 교육내용 자체를 분리하여 통합교육과정을 조직하려고 하였기 때문에 통합교육과정의 목적인 학습자의 경험의 통합에서 점차 멀어지고 있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통합교육과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찾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 대안으로서, 탈교과적 관점을 중심으로 교과 간의 경계를 넘어서는 방식과 학교와 사회의 통합을 강조하는 방식을 도출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모범적으로 운영되는 사례를 찾아서 사례들이 보여주는 유형을 밝히고, 이와 같은 교육과정을 운영함에 있어서 어려움과 극복방안은 무엇인지 분석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통해 이러한 방식들이 기존 통합교육과정의 문제점을 해결할 대안으로서의 가능성과 한계를 논의하고, 연구결과가 통합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교 현장에서 교과 간의 경계를 넘어서는 방식은 어떤 유형으로 운영되고 있는가? 둘째, 학교 현장에서 학교와 사회의 통합을 강조하는 방식은 어떤 유형으로 운영되고 있는가? 셋째, 두 유형의 통합교육과정을 운영함에 있어 어려움과 극복방안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사례연구 방법을 이용하였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 통합교육과정의 일환으로 여겨지는 사례를 선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중학교 1개교, 고등학교 1개교, 대안학교 1개교를 대상으로 면담 및 수업관찰을 실시하였고, 사례 학교의 교육과정 자료집, 미디어 자료, 학교 연구결과 보고서, 학생 결과물 등의 문서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현장에서 교과 간의 경계를 넘어서는 방식은 체험동 중심의 통합교육과정으로 운영되고 있다. 체험활동 중심의 통합교육과정은 학습자로 하여금 자신의 관심사나 강점을 표명할 기회를 갖게 함으로써 학습자의 능동적인 표현활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교실 안에서의 제한된 지식에서 벗어나 그 내용을 직접 실험하고 탐구함으로써 교육의 내용과 학습자의 경험을 통합하는 연결고리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문제해결과정을 통해 체험활동이 학습자의 지성이 발휘되는 탐구과정이라는 특징을 보여준다. 둘째, 학교 현장에서 학교와 사회의 통합을 강조하는 방식은 공동체 중심의 통합교육과정으로 운영되고 있다. 공동체 중심의 통합교육과정은 지역사회의 다양한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하고, 마을 구성원들이 상생할 수 있는 사회적 기업을 만들어 가는 등 학교와 지역사회의 지속적인 관계 속에서 활발한 교류를 통해 교육활동을 이루어가고 있다. 또한 학습자 공동의 흥미를 고려하여 교육내용이 선정되고, 학습자 스스로가 공동의 목표 안에서 자신이 해결해야 할 일의 순서와 방식, 시간들을 결정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공동체성을 함양하고 일이 완성되어가는 과정을 몸으로 체득하게 된다. 공동체 중심 통합교육과정의 또 다른 특징은 학습자의 활동 영역 및 성장과정이 가정에서 출발하여 학교, 이웃, 사회로 확장된다는 것이다. 교실 안에서는 구성원 간의 협력 속에서 의사를 결정하고, 자신의 학습의 목적은 반 친구들을 위함이요, 자신의 성장은 곧 학교 공동체의 성장이 됨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지역사회로 확장되고, 학습자들은 다양한 세계와 사회의 단면을 경험하며 자신과 자연과 세계의 관계를 파악하게 된다. 셋째, 통합교육과정의 운영은 교과서에 대한 지나친 의존도로 인한 교육 내용 선정의 제약과 진로 결정에 대한 어려움을 가져다주었다. 창의적인 내용이나 학습자에게 맞는 내용을 선정해야 함에도 지적인 요소가 제외될 것에 대한 교사들의 우려가 교과서에 제시된 관점과 내용을 체험활동에 반영하게 하였다. 이에 대해 교사들은 교사협의회의 협력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체계적인 계획과 의지, 적극적인 태도로써 체험활동 내용의 다양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편, 학교에서 추구하는 철학과 사회 공동체적인 가치들의 혼란으로 학습자의 진로 결정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대해 교사들은 사회 각계의 사람들과의 만남을 통해 학습자에게 삶의 다양성을 제시하고, 인턴십 제도를 통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직업세계 및 사회생활, 일에 대한 태도를 익히도록 지도하는 등 진로교육의 체계화 및 활성화 방안을 통해 진로 결정에 대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체험활동 중심 통합교육과정과 공동체 중심 통합교육과정이 기존 통합교육과정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다양한 체험활동의 시행으로 학습자를 수동적인 존재로 보지 않고 목적을 갖고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능동적 존재로 인식하게 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신장시킨다는 점, 문제해결과정을 통한 체험활동의 지적인 특성을 강조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자기 주도적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점, 지역사회와의 활발한 교류와 공동체 내에서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학습자의 경험에 질적·양적 변화를 유발한다는 점에서 두 유형의 통합교육과정이 학습자 경험의 통합에 기여한다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분절된 교과영역을 통합하고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경험과 사고를 확장시키고자 도입한 체험활동의 내용이 다시 교과 중심으로 재편되는 현상, 실제 체험활동이나 공동체 위주의 교육이 어떠한지 경험해 보지 못한 교사가 자신이 가르치고 있는 학생들에게는 전혀 다른 방식의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겪는 갈등, 학교 공동체가 추구하는 가치가 무엇이냐에 따라서 학교 밖의 사회가 지향하는 가치와 대립하는 현상은 두 유형의 통합교육과정이 보다 성공적으로 운영하는 데에 한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체험활동 중심 통합교육과정과 공동체 중심 통합교육과정이 우리나라 통합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개념을 단순히 교과와 교과를 통합하는 차원에서 벗어나는 것이 필요하다. 연구결과가 제시하는 것처럼, 활동이 모든 교과를 통합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는 특성과 활동의 지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구성하되 교과 내용이나 교과서가 제시하는 관점에 의존하는 일은 지양해야 할 것이다. 통합교육과정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목적인 ‘학습자 경험의 통합’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내용 선정 및 교수방법, 평가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학교와 사회의 통합, 즉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계하여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일도 통합교육과정의 일환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을 교육활동에 활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학습자들이 교육받고 경험하는 내용들이 교실에서 그치지 않고 그들이 앞으로 만나게 될 더 큰 사회 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