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상근-
dc.contributor.author이승옥-
dc.creator이승옥-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8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1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7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189-
dc.description.abstractThe main goal of English education based on the 7th curriculum is to develop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ability to use the language correctly and appropriately to accomplish communication goals. Hereupon, integrated uses of four language skills is emphasized and it has been intended to teach four skills with equal emphasis and importance by the curriculum. However, compared with other skills such as reading and listening, writing has been neglected and the least time and effort has been assigned to teaching writing in high school classes. Even though the importance of English writing instruction is getting emphasized, it still remains as the least taught language skill to teachers and the most difficult one to students in Korean high school classes. Moreover in Korean English textbooks most of writing activities are controlled writings regardless of grades and levels even though the 7th curriculum emphasizes to use controlled writing, guided writing, and free writing with equal importance based on students' level. Overall, writing instruction is considered time-consuming and burdensome in Korean high school classes in light of time-limitation, the curriculum for the other language skills to cover, extra teachers' work, the number of students in each class and so on. Under this circumst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effects of writing instructions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ability and affective aspects. For this purpos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8 weeks with 63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divided into 3 groups. One group was a controlled group in which regular classes were conducted. Another group was provided with free writing activities and the other group with picture-guided writing activities. Both writing activities were based on the same topics and students were given the same time period for writing. With the consideration of reality in Korean high school classrooms, it was intended to provide successive writing activities for 5 minutes in every class without teachers' instructions or feedback. The main results of this experimental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in both experimental groups showed improvements in their writing skills in the aspect of fluency, organization and overall assessment compared to their writing skills before the 8-weeks experiement. This indicates the continuos exposures to writing can improve students' writing skills even though feedbacks or error corrections were not provided. Especially, free writing group also showed improvements in more terms of writing assessments such as content, organization, language usage, and fluency. Second,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ree writing group and picture-guided group in their writing ability after 8 weeks experiments. All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between the controlled group and two experimental groups. In the aspect of fluency and overall assessment,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compared with the controlled group. Besides, free writing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results in almost every assessment aspects such as content, organization, language usage and so on. Therefore it can be indicated that free writing method is highly effective to high school students or at least, it is as effective as other writing methods. Third, each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number of words and T-unit they wrote down after 8 week experiments. Moreover, in the aspect of number of words in writing(W), it was found that free writing group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to picture-guided writing group, which indicates there was difference in improving fluency between writing instructions. Fourth, each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ffective areas after 8 weeks experiments, especially in confidence and interest aspects toward writing. This results indicates that continuos writing activities has positive effects on the affective aspects regardless of kinds of writing instructions. Fif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affective aspects were found between two experiments groups in the aspects of confidence and the level that students think they are in. It was found that free writing group showed meaningful statistical rise in confidence and the writing level perceived by students themselves, which means free writing group became more confident toward writing than picture-guided group and studetns in free writing group thought they could write more complicated sentences with longer paragraphs. Finally, analyzing further questionnaires and interviewing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s, it was found that both groups appreciated having opportunity to write in English and gained confidence and interest toward English writing although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ey think regarding each writing instruction were different based on the level groups. It was also found that both groups wanted to get feedbacks, error corrections or vocabulary guides from teachers to check whether their writings were correct or not as experiments went on. This means that continuous writings help students to be motivated to learn further writing skills especially in the aspect of accuracy. As shown from these results of the study, it can have positive effects on writing ability and affective aspects to provide continuous writing activities even though it is conducted for a short time in each class without teachers' feedbacks or error corrections. Besides, free writing that has been regarded as difficult and appropriate for upper level students so has rarely been conducted in high school classes is found to be more effective for improving students writing skills and giving confidence than picture-guided writing. If students are given enough opportunities to have free writing activities in classes, it can make substantial contributions to students' writing skills.;우리나라 7차 영어 교육의 목적은 실용성을 바탕으로 한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의 배양에 있다. 의사소통 능력이란 상대방의 의사를 제대로 이해하는 능력 뿐 아니라 자신의 생각과 의사를 올바르게 표현 할 수 있는 능력을 가리킨다. 그러나 이 능력 중, 상대방의 의사를 이해하는 능력, 즉 읽기와 듣기와 같은 이해기능 학습에 비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능력인 말하기와 쓰기는 그동안 덜 강조되어왔으며 학습 현장에서 학습의 효율성 및 진학 교육, 평가와 같은 문제로 인해 실제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기 힘들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수행평가와 같은 평가 방식의 다양화 및 여러 영어능력평가 시험에서 말하기와 쓰기 영역을 필수로 추가하는 등과 같은 변화는 말하기와 쓰기 교육의 당위성 및 필요성을 더욱 강화시키고 있다. 비단 이 같은 변화 때문이 아니더라도 영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을 다시 상기해봤을 때 학습 현장에서 말하기와 쓰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현실적인 교육 방안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쓰기 능력 신장에 초점을 맞추어, 쓰기 교육과 연습의 부족에서 기인한 저조한 쓰기 실력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을 둔 지속적인 쓰기 활동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에게 가져오는 변화를 살펴보았다. 학급 당 인원수 및 시간의 제한, 교사와 학습자의 부담이라는 이유로 쓰기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던 현실을 고려하여, 위와 같은 부담을 최소화하여 학교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실행해볼 수 있는 쓰기연습을 실시하였다. 교사의 자세한 수정이나 피드백은 실시하지 않아 교사의 부담을 최소화하였고, 수업 중 5분의 시간만 할애하여 시간과 학습자의 부담을 줄이고자 의도하였다. 이처럼 양측의 부담을 줄이고 짧은 시간만을 할애하지만 지속적으로 쓰기 연습을 실시하였을 때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쓰기 능력과 정의적인 측면에 미치는 변화에 대한 연구는 영어 교육 현장에 의미를 지닐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쓰기 연습 방안, 즉 작문 교수법을 자유 작문법, 그림유도 작문법 2가지로 선정하여 작문 교수법의 차이가 어떤 결과적 차이를 가져오는 지를 알아보았다. 작문 교수법 중 이 두 가지를 선택한 이유는 우선 그림 유도 작문법은 현재 교과서와 교실 내 수업에서 많이 사용 되는 쓰기 교수법 중의 하나로 학생들에게 익숙하며, NEAT 국가영어능력 평가 시험에서도 사용되는 유형이기 때문이다. 자유 작문법은 문법이나 언어 통제가 모두 없는 유형으로 학습자의 부담을 줄여주고, 자유롭게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내용을 써내려가면서 실제로 자신이 작문을 하고 있다는 생각과 흥미를 갖도록 도와주는 쓰기 활동이다. 학생들이 쓰기에 대해 갖고 있는 거부감을 줄이고 흥미를 유발하며 유창성을 신장시키는데 적합한 쓰기 교수법이며, 제 7차 교육과정에서도 자유 작문의 활용을 권장하고 있으나 수업 현장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고 있으며, 국내 사례연구도 매우 적다. 따라서 자유 작문 활동이 교육 현장에서 실시되었을 때 실제로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학습자들에게 익숙한 그림유도 작문 활동과의 차이점 또한 비교해보기 위해 실험 작문 교수법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을 위해 고등학교 1학년 학습자 3개 반 총 63명을 선정하여 쓰기 능력 평가와 쓰기 연습을 실시하여 사전과 사후의 변화를 살펴보았고, 각 집단을 상ㆍ하위 그룹으로 나누어 쓰기 지도법과 수준 차이가 가져오는 상호 작용 또한 살펴보았다. 통제 집단인 22명의 학습자는 세 가지 과제-그림 묘사하기, 이야기 완성하기, 주장글 쓰기-로 이루어진 사전, 사후 쓰기 능력 평가만을 실시하였고, 21명과 20명의 두 실험 집단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약 8주에 걸친 총 17차시의 각 교수법 별 쓰기 활동과 사전, 사후 쓰기 능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교과서 등을 참조하여 만든 공통 주제를 가지고 자유 작문 집단은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쉬지 않고 적어내려 가도록 했고 그림유도 작문 집단은 주제에 맞게 주어진 그림의 내용을 근거로 글을 쓰도록 하였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집단 내 영어 쓰기 능력 향상도를 사전과 사후 쓰기 능력 평가 결과를 통해 알아본 결과, 통제 집단은 사전과 사후 쓰기 능력 변화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자유 작문 집단의 경우 이야기 완성하기와 주장글 쓰기 과제의 내용, 구성, 언어, 유창성, 총괄적 채점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그림유도 작문 집단은 이야기 완성하기 과제에서는 구성과 유창성 영역에서, 주장글 쓰기 과제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처럼 집단 내 변화를 보았을 때 두 실험 집단 모두 여러 영역에 걸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작문 교수법에 상관없이 지속적인 글쓰기 훈련은 유의미한 쓰기 능력 차이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작문 교수법과 수준에 따른 이원배치 분산분석(two-way ANOVA) 분석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세 가지 쓰기 과제의 모든 영역에서 집단과 수준 간의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고 이야기 글쓰기와 주장글 쓰기에서는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집단 간 차이는 사후 검정을 통해 모두 통제 집단과 실험집단 간의 차이에서 발생한 것으로, 작문 교수법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야기 완성하기 과제에서는 두 실험집단이 유창성과 구성, 총괄적 채점에서 통제 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주장글 쓰기 과제에서는 유창성과 총괄적 채점 영역에서 두 실험집단이 통제 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 외 채점 영역에서는 자유 작문 집단과 통제 집단 간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작문 유창성 측면의 객관적 측정을 위해 사후 쓰기 평가의 단어 수와 T-단위 수를 집단과 수준 그룹에 따른 two-way ANOVA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수법과 수준의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단어 수의 경우, 통제 집단과 두 실험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특히 두 실험집단 간, 즉 자유 작문 집단과 그림유도 작문 집단 사이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점수 비교를 통해 자유 작문이 단어 수의 증가 측면에서 그림유도 작문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T-unit 수의 경우 역시 집단과 수준의 상호작용은 없었으며, 유의미한 차이는 통제 집단과 두 실험집단 간에서 발생한 것으로, 작문 교수법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험 집단 내의 영어 쓰기에 대한 정의적 측면 변화를 사전ㆍ사후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자유 작문 집단은 실험이 끝난 후 영어 쓰기에 대한 흥미도, 자신감, 자율성 부분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본인의 영어 쓰기 능력에 대해서 표현력이 늘고 짧은 문장 뿐 아니라 복잡한 문장 및 단락의 구성도 가능하다고 느끼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유도 작문 집단의 경우 영어 쓰기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는 영어쓰기에 대한 자신감과 복잡한 문장과 단락 구성의 가능 여부 인식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자유 작문 집단이 그림 유도 작문 집단에 비해 더 유의미한 향상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섯째, 사후 심화 설문과 면담을 통해 각 작문 교수법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의견을 살펴 본 결과, 자유 작문 집단은 글의 분량 증가와 자신감 및 영어로 생각해보는 기회를 장점으로 꼽았고 그림유도 작문은 그림 제공이 흥미를 유발하고 주제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는 것을 장점으로 꼽았다. 또한 면담자 모두 쓰기 영역에 대한 자신감 상승을 거론하여, 지속적인 쓰기 연습이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정의적 역류효과를 줄 수 있음을 시사했다. 다만, 두 실험집단 모두 문법이나 표현의 정확성 습득이 어렵다는 것을 단점으로 제시하였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교사의 피드백을 원해, 여전히 작문의 정확성에 대한 부담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수법에 상관없이 지속적인 영어 쓰기 연습이 교육 현장에서 실시되었을 때,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 향상과 정의적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나타낸다. 두 작문 교수법을 비교해보았을 때, 자유 작문 활동은 그림 유도 작문에 뒤지지 않는 효과를 보였고 작문 단어 수의 증가치 비교와 자신감 향상 측면에서 그림 유도 작문보다 더욱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별도의 수업 자료가 필요하지 않고, 교사와 학습자의 부담 없이 언제 어디서나 실시할 수 있는 자유 작문이 효과적 측면에서도 다른 작문 교수법 못지않은 긍정적 결과를 가져 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어, 시간적 부담 및 별도의 수업 준비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쓰기가 등한시 되고 있는 수업 현장에 의미 있는 활동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즉, 자유 작문은 교사의 피드백이나 내용 제시와 같은 도움이 없어도 평소 교육 현장에서 많이 사용 되는 그림유도 작문법 못지않게 학습자가 자신의 생각을 부담 없이 영어로 써보는 경험 자체만으로도 쓰기 능력 측면에서 큰 교육적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5 A. 쓰기 지도 5 1. 쓰기의 정의 5 2. 쓰기지도의 중요성 6 3. 외국어 쓰기 지도의 어려움 8 B. 쓰기 지도 접근법 9 1. 형식 중심 접근법 11 가. 통제 작문 11 나. 유도 작문 12 다. 자유 작문 14 2. 과정 중심 접근법 20 3. 장르 중심 접근법 23 C. 한국 중등 교육의 영어 쓰기 지도 24 1. 쓰기 교육의 현 상황 24 2. 쓰기 교육의 보완 방안 27 D. 선행 연구 27 1. 그림을 이용한 유도 작문에 관한 선행연구 27 2. 자유 작문에 관한 선행연구 29 3. 한국 고등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쓰기에 관한 선행연구 32 Ⅲ. 연구 방법 35 A. 연구 문제 35 B. 연구대상 35 C. 연구자료 36 1. 쓰기 능력 평가지 36 2. 쓰기 채점 기준 37 3. 설문지 38 4. 쓰기 활동 자료 39 D. 연구절차 40 1. 실험 이전 절차 40 2. 실험의 주요 활동 45 3. 실험 이후 절차 48 E. 연구 제한점 50 Ⅳ. 연구 결과 분석 및 논의 51 A. 쓰기 교수법이 영어 글쓰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51 1. 실험․통제 집단 내 영어 쓰기 능력 변화 비교 51 2. 실험․통제 집단 간 사후 쓰기 능력 결과 비교 54 B. 쓰기 교수법이 단어 수와 T-단위 수에 미치는 영향 73 1. 실험․통제 집단 간 사후 쓰기 단어 수 결과 비교 73 2. 실험․통제 집단 간 사후 쓰기 T-단위 수 결과 비교 75 C. 쓰기 교수법이 영어 글쓰기의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77 1. 집단 내 영어 쓰기에 대한 정의적 측면 비교 78 2. 집단 간 영어 쓰기에 대한 정의적 측면 비교 80 D. 실험집단의 사후 심화 설문 및 면담 결과 분석 81 1. 자유 작문 집단의 심화 설문 문항과 면담 결과 분석 82 2. 그림유도 작문 집단의 심화 설문 문항과 면담 결과 분석 84 Ⅴ. 결론 및 제언 88 참고문헌 93 부록 103 ABSTRACT 14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1988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쓰기 교수법의 차이가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Writing Instructions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Ability and Affective Aspects : Using Free Writing and Picture-guided Writing-
dc.creator.othernameLee, Seung-ok-
dc.format.pagexv, 14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