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3 Download: 0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경제교과서의 진로교육 내용 분석

Title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경제교과서의 진로교육 내용 분석
Other Titles
A Content Analysis on the Career Education in Economics Textbooks of the Course of Study in 2009
Authors
성락영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경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nts related the subject substance and activity to the career education in textbook to achieve the education goal of career education through a course of study. The contents and the purpose of a course of study are distinct and both teachers and students spend most of their time in teaching and learning a course of study. So it is required to solve the problem of the gap between a course of study learning and career education. But there is few materials or methods capable of being used on the career education through a course of study. Plus, Textbook takes up relatively the biggest part in a course of a study. So it is the most practical and effective to use a textbook on the career education for the harmony of a course of study and the career education. A career decision is the individual economic issues and affected by an economic thinking ability and a rational decision-making ability. For this reason, this study focused on the feasibility of a career education through the economic subjects and found out the contents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that can be utilized on the career education in the economic textbooks of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For the achievement of the objectives in this study, first of all it was checked up that the area-specific achievement goals and the learning contents that should be involved in a career education. Next, based on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frequency of each area-specific related concept, sentence, visual materials, reading materials and inquiry activity in the economic textbooks. Furthermore,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areer-decision theory, the career-development theory, the career education goals in high school and the requirements for executing the career education through the curriculum. Through these researches, it was aimed to catch the inner meanings beyond the quantitative aspects such as the presented frequency and quantity. Three research topics of the qualitative analysis were originated on the prerequisites for an effective career education through a curriculum. First, it was examined whether the career education goal is contained in the textbook lesson learning objectives and each area-specific goal is presented in a balanced way. Second, the configuration of the titration of the learning materials was checked out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goals. Third, it was searched that the career education related contents in a textbook came under which career-decision theories. Whether to take advantage of the possibility of the career education in the economic textbook was searched by the first research topic. By the second topic, an effectiveness of the career education was judged. And by three topics in common, it was aimed to look through the balance of the career education in utilizing the economic textbook.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education related elements in the economic textbook such as concept, sentence, visual materials, reading materials and inquiry activity were offered with the most frequency in the area of Work and Job Field. Also, the area of Work and Learning Field was presented with the lowest frequency in all the analysis standards. It is not appropriate to estimate the possibility of the teaching-learning activity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career education related sentence. Whether to frame in an actual lesson is up to the offer level of the related concept, reading materials and inquiry activity. From this, in the most textbooks the areas represented a relatively heavy share such as Work and Job Field, Building the Attitude and Habit on Work and Job and Planning the Career. Second, in the career education it is expected to achieve the goals harmoniously between the intellectual aspect pursuing knowledge and the affective aspect considering value and attitude. But the intellectual aspect took relatively larger proportion than the affective aspect when it comes to the composition share of achievement goal. Moreover, in some chapters concerned with acquisition of capability and internalization of value and attitude, there was a learning goal that was proper for the intellectual aspect. From this, we can conclude that the goal statement in the textbooks is less suitable. Whereat it influenced the composition of career related knowledge, the most possibility of learning in career-decision was the objective knowledge. Third, in terms of the suitability between the achievement goal and contents composition, the learning materials such as concepts in passage, example and reading materials were organized effectively for knowledge acquisition. The chapters aiming capability acquisition provided examples and reading materials somewhat for understanding concepts. Meanwhile some textbooks did not exhibit the actual activity for improving the capability. So the achievement goal for capability in the affective aspect was a little ineffective. The most chapters focusing on the internalization of value and attitude described the subjective value as if it were the objective fact. Although there was an attempt largely to take a balanced perspective, leaners might recognize a biased point of view due to the proportion gap of contents and learning materials. Several suggestions are made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For a balanced career education through the economic subjects, contents ratio on the affective aspect should be expanded in the economic textbook. Besides it is required that the textbook gives an appropriate learning materials for improving capability and that it keeps a sense of balance in statement for internalizing value and attitude. Although this study has a limit of analyzing the textbooks that will not be used any more due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1, it could suggest complement, improvement and direction for reforming the next curriculum and writing the textbook.;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지도를 통한 진로교육’이라는 교육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교과서에서 교과 내용 및 활동과 진로를 연결하는 부분을 파악하는 것이다. 교과 교육은 학습하는 내용과 목적이 뚜렷하며 교사와 학생 모두 교과 학습에 대부분의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는 점에서 교과학습과 진로교육의 분리현상을 극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교과지도를 통한 진로교육에 활용할 만한 자료나 방안이 마땅히 마련되어 있지 않고, 교과서가 교과학습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교과교육과 진로교육의 융합을 위해서는 교과서를 활용한 진로교육이 가장 현실적이고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진로 결정이란 한 개인의 경제 문제이고, 경제적 사고력과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서 경제과목을 통한 진로교육의 실현가능성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경제교과서에서 진로교육으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을 양적 및 질적으로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우선 진로교육에서 다루어야 하는 영역별 성취목표와 내용 요소를 조사하여 각 영역별로 관련된 개념과 문장, 시각적 자료, 읽기자료, 탐구활동 등이 경제교과서 내에 얼마나 제시되어 있는지에 대한 빈도를 확인하였다. 나아가 진로결정이론과 진로발달이론, 고등학교 진로교육의 목표, 교과를 통한 진로교육의 실행의 요구조건 등을 근거로 질적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출현 빈도나 분량과 같은 양적인 측면 이면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질적 분석의 세 가지 연구 문제는 교과를 통한 진로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선행조건에서 출발하였다. 첫째, 진로교육 목표가 교과서 단원의 학습목표에 포함되어 있는지, 각 영역의 목표가 균형 있게 제시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둘째, 성취목표에 맞게 학습자료가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하였다. 셋째, 진로관련 교과 내용들이 어떤 진로결정이론과 관련된 지식인가를 파악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를 통해 경제교과서에서의 진로교육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두 번째 연구문제로 진로교육의 효과를 판단하였다. 또한 세 가지 연구문제에서 공통적으로 경제교과서를 활용한 진로교육의 균형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교과서에서 진로교육 관련 개념, 문장, 시각적 자료, 읽기자료, 탐구활동 등은 일과 직업 세계 영역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제시되어 있었다. 또한 모든 분석기준에서 일과 학습 영역에 해당되는 내용과 학습 자료가 가장 낮은 빈도로 구성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진로교육과 관련된 문장의 빈도로 교수-학습활동을 여부를 가늠하는 것은 무리가 있으며, 실제 수업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인지는 관련 개념과 읽기자료, 탐구활동 등의 제시되어 있는가에 달려 있다. 이런 점에서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일과 직업 세계, 일과 직업에 대한 태도와 습관 형성, 진로 계획 영역에 해당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진로교육에서는 지식과 기능 중심의 인지적 영역 목표와 가치·태도 중심의 정의적 영역 목표가 조화롭게 달성되기를 기대한다. 그러나 성취목표의 구성 비중은 정의적 영역보다 인지적 영역에 상대적으로 치중되어 있었다. 더욱이 기능 습득과 가치·태도 내면화를 강조하는 단원의 일부에서는 인지적 목표 달성에 적합한 학습목표가 제시되어 있어, 교과서 내의 목표 진술의 적합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진로관련 지식의 구성에도 영향을 미쳐, 진로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객관적 지식을 학습할 가능성이 가장 컸다. 셋째, 성취목표와 내용 구성의 적합성을 살펴본 결과 본문의 개념과 사례, 읽기자료 등 인지적 영역의 지식 습득에는 효과적인 학습 자료가 구성되어 있었다. 인지적 영역의 기능 습득을 목적으로 하는 단원의 경우 개념 이해를 위한 사례와 읽기자료는 비교적 잘 제시되어 있었다. 하지만 일부 교과서에서 능력 함양을 위한 실제적인 활동이 구성되어 있지 않아, 기능을 기르고자 하는 목표 달성의 효과성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의적 영역의 가치·태도를 내면화하는 단원에서는 대부분의 교과서가 주관적인 가치문제를 객관적인 사실처럼 서술하고 있었다. 또한 가치를 바라보는 시각에 있어서 대체로 균형적인 관점을 취하려고 시도하였으나, 내용과 학습 자료 구성 비중의 차이로 인해 학습자가 편향되게 인식할 가능성이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다음을 시사한다. 경제과목을 통해 균형 있는 진로교육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경제교과서에서 정의적 영역의 목표를 위한 내용 구성의 비중을 확대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능 함양에 적합한 학습 자료 구성과 가치·태도 내면화를 위한 균형 잡힌 관점의 서술 방식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2011 개정 교육과정으로 인해 더 이상 학교 현장에서 사용되지 않을 교과서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는 한계를 가진다. 하지만 향후 교육과정 개정과 교과서 집필에 보완할 점과 지향점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