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0 Download: 0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전달디자인 수업 사례 연구

Title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전달디자인 수업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Communication Design Classroom with applic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 A focused on ‘graphic design’ at a Specialized High School
Authors
배성희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용
Abstract
고도로 분화된 구조의 사회일수록 일반적인 지식을 두루 갖춘 인재보다는 전문지식과 능력을 가진 전문가형의 인재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사회의 요구는 교육에도 영향을 미쳐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학교가 출현하게 되었는데, 대표적인 예로 특성화 고등학교를 꼽을 수 있다. 특성화 고등학교는 기존 실업계 고등학교의 대안적인 학교 모형으로 디자인, 공예, 인터넷, 멀티미디어, 패션, 금은 등의 보석 세공, 관광, 애니메이션, 원예, 영상 등 여러 분야에 소질이 있는 학생들에게 해당 분야의 특화된 전문교육을 실시하는 학교이다. 즉 특성화 고등학교란 유사한 소질과 적성을 가진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특성화 고등학교로 인가받을 때 지정받은 특화 분야의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을 전문적으로 실시하는 고등학교를 말하며, 특성화 고등학교의 설립목적 및 교육목표 역시 해당 분야의 실무능력을 갖춘 전문가의 양성에 있다. 그러나 일부 특성화 고등학교는 본래의 설립 취지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일반 인문계 고등학교 혹은 예전의 실업계 고등학교 때의 교육과정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디자인 특성화 고등학교의 경우를 살펴보면, 국영수 등의 국민공통이수과목에 대해서는 인문계 고등학교의 교육방식과 유사하게 운영되고 있으며, 디자인 교과와 같은 전문계 과목에 대해서는 예술계 고등학교의 미술전공 수업과 유사하게 운영되고 있었다. 본 학교의 특화된 전문교과인 디자인 관련 과목의 수업을 살펴보았을 때, 디자인 실무능력을 향상시키는 차별성 있는 수업을 지향하기보다는 디자이너가 되기 위해 필요한 소양 중 하나일 뿐인 표현력 향상에만 치중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교육현장에서 기존의 방식으로 수업을 운영하는 것이 교사의 수업진행과 평가에서 수월하고, 특성화 고등학교임에도 불구하고 디자인 분야의 전문가로서 창업하거나 취업하려는 학생보다는 여전히 대학에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이 훨씬 높기 때문에 미대입시에서의 실기고사를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연구자는 특성화 고등학교의 수업이 전문가 양성이라는 학교 설립 취지에 부합하지 못하는 것에 아쉬움을 느껴 기존의 수업에서 다루고 있는 필수적인 학습내용에 대해서는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학습에 접근하는 방식에서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하여 학생이 주체적으로 작업하면서, 작업과정이 중시되고 디자인 실무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디자인 전공 수업 프로그램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하여 특성화 고등학교에 적절한 디자인 수업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수업의 교육적 효과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전통적 교사중심의 교수법에서는 먼저 기본이 되는 이론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문제에 적용하며 이론의 활용 범위를 넓혀 간다. 본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하여, 처음부터 학생들에게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문제를 제시하고 학생 스스로 그것을 해결해가며 주체적으로 작업하도록 하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방식이 디자인 전문 인력이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소양인 디자인 실무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 하에 기존의 전통적 교사중심의 수업과 차별화되는 학생의 자기주도적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문제중심학습법이 디자인 특성화 고등학교의 전공 수업에서 미치는 교육적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문제중심학습의 개념과 전개과정, 특성화 고등학교의 성격 및 교육과정, 그리고 디자인 특성화 고등학교의 전공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모형의 적용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런 다음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하기에 적절한 단원을 선정하여 교과서를 분석한 후 수업을 설계하고, 수업설계에 따른 교수-학습 지도안 작성하였다. 수업 전에는 작품계획서 등의 학생활동지와 평가도구로서 수행평가계획서를 작성하여 평가계획을 세웠고, 수업 후에는 사전에 계획된 평가도구와 학생만족도 설문 조사지를 통해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평가하고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은평구에 위치한 Y 특성화 고등학교의 2학년을 연구 대상으로 4학급 25명씩 총 100명을 선정하였으며, 50분 수업에 총 16차시로 4주에 걸쳐 진행하였다. 100명은 각각 50명의 실험집단과 50명의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동질성을 확인한 후 실험집단에는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전달디자인 수업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교수법으로 전달디자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의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수행평가를 통한 학업성취도와 학생만족도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수행결과물 평가에는 공정성을 기하기 위해서 연구자 본인을 포함하여 특성화 고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디자인 교사 6명이 공동 채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전달디자인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 학생의 수행평가 평균점수가 전통적인 교수법으로 전달디자인 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 학생의 수행평가 평균점수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수업 후에 학생만족도 설문조사를 한 결과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통제집단 학생들에 비해서 디자인 실무능력이 향상되었으며 과제를 수행할 때 자기 효능감을 많이 느꼈다고 응답했으며, 수업의 만족도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이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자기주도적인 문제해결력과 디자인 실무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Society with highly differentiated structure requires talented personnel who have professional and expertise knowledge and capability than those who are equipped with general and comprehensive knowledge. This social requirement affects to education system and lead a specific type of schools to be emerged which focus on educating student to be a professional expertise. An example of this type of school is called Specialized High Schools, which is an alternative school model of existing commercial high schools. This school provides students with specialized courses such as design, handcraft, internet, multimedia, fashion, jewelry such as gold and silver, tourism, animation, gardening and media, etc. This school is offered to students that have talents in one of these areas. That means, Specialized High Schools are high schools that provide students who have similar talents and aptitude in specific areas which schools are designated and certified when founded as a specialized high school. The mission and purposes of this specialized school is to educate student to be a experts in related areas by equipping them with practical capability. However, some of these specialized schools are not able to comply with principles of foundation. Its curriculum indicated that it failed to differentiate from other ordinary high schools or former vocational high schools. For an example, if you look at design specialized school where the researcher has worked,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courses, which are common compulsory subjects, are operated in a similar manner with other general high school, whereas design course, which is one of the specialized subject, is operated in a similar manner with Art major course at other Art High Schools. When design related classroom is examined, which is one of the major subject in the specialized school, it does not seem to be oriented to provide differentiated class focusing on design practical capability, but was a simple liberal art course to become a designer and have tendency focusing on improving expression skills. This phenomenon can be interpreted in a way that it is convenient for teachers to manage classroom with existing method in terms of classroom activity and evaluation. Also, even if this is a specialized school, in fact, more students wish to enter university than to start up their own business in design field as an expert. Therefore classroom is managed as a preparatory course for entering Art University. The researcher felt a sense of dissatisfaction to see that classroom at a specialized high school does not comply with the missions of school foundation, which is to educate students to become a talented profession. So, the researcher attempted to develop design major class program, in which essential learning contents covered by existing classroom will be applied with teaching-learning method, whereas problem-based learning is applied as learning approaches, so that students initiatively involve their work and focused on work process to improve their practical capability.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develop appropriate design class program with applic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model and to verify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class for specialized high school. First, theory of conventional teacher-oriented teaching method will be addressed first as the foundation, and then will be applied into specific matters to extend utility of the theory. In this study, problem-based learning model is applied, and specific and practical problems were introduced to students and let them solve by themselves. This is designed for student to be involved initiatively. The researcher has expectation that this method may give positive contribution to student to develop and equip necessary knowledge and attitude to become design related professionals. Therefore the researcher conducted students-initiative class that was differentiated from conventional teacher-oriented teaching method and attempted to verify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in major subject class in design specialized high school. The contents and method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of all, from the literature review, I have examined concept and process of problem-based learning, characteristics and curriculum of specialized high school and applicability of problem-based learning in major class of a design specialized high school. Then I have selected proper unit to apply problem-based learning and analyzed a textbook for develop classroom plan and prepared teaching plan based on classroom plan. Before the class, I have prepared student activity sheet such as work plan and performance assessment plan as evaluation tool. After class, I have evaluated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assessment through pre-planned evaluation tool and survey sheet about student satisfaction and checked student satisfaction about class. This study was conducted at Y specialized high school located in Eunpyeong-gu, Seoul, total 100 students were selected and consisted of 25 each from 4 classes at year 2. Total 16 classes with 50 minutes long were provided during 4 weeks. 100 studen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with 50 students and control group with other 50 students. After checking homogeneity,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communication design class with application of problem-solving learning, whereas control group was provided communication design class with application of conventional teaching method. In order to verify effectiveness of design class with application of problem-solving learning, I have analyzed the result of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assessment and student satisfaction through performance assessment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and have drawn results. In order to give fairness in assessing performance result, 6 design teachers at the specialized high school including the researcher have involved with marking together. The analysis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Average score of performance assessment of students from experimental group in communication design class which was applied with problem-based learning was higher than the ones of performance assessment of students from control group in communication design class which was applied with conventional teaching method. A survey that was conducted about students? satisfaction after class also indicated that students from experimental group improved more design practical ability and felt higher self-efficacy and higher satisfaction about the class than the ones from control group. In conclusion, design class with applic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gives positive effects on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improving self-initiative problem-solving capability and design practical capability.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