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8 Download: 0

Predictive Habitat Model for Eurasian Otter (Lutra lutra) inhabiting in the catchment of Naechon and Kuneob river

Title
Predictive Habitat Model for Eurasian Otter (Lutra lutra) inhabiting in the catchment of Naechon and Kuneob river
Authors
Sonor Altjin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환경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상돈
Abstract
Predictive habitat model was developed to find out important habitat components and to understand habitat use and selection by Eurasian otter at different scale of environment along two low order streams located in the remote area in Kangwong province, Kore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employed as statistical approach to predictive habitat model. GIS and remote sensing techniques were used for collecting and classifying environmental data from high resolution aerial pictures and GIS data base. Predictive habitat model developed in the study included environmental variables or habitat components with the greatest predictive power and produced predicted probability of otter habitat. Highest probability of otter habitat was associated with river sections with bottom structures consisting of big rocks and boulders, and broad riparian vegetation buffer zone. Presence of weirs and bridg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otter habitat. Most of the weirs along two river had no fish way installed making up fish concentration in part of the river followed by weirs, therefore might have attracted otters. Positive relation between otter presence and bridge might be due to either longevity of otter spraints under bridge or ease of approaching river. Predictive ability of the model was 83% and it predicted unsuitable habitats for otter better than the suitable habitat. This study remarked importance of riparian vegetation buffer zone and big rocks and boulders of river bottom. Therefore I suggest protect and preserve strictly riparian vegetation zone with at least 40m width, riverine habitat components and vegetations within 0-5 m of the river’s edge.;본 연구는 수달에게 중요한 서식지 요소를 찾아내고, 다양한 환경에서의 서식지 이용 및 서식지 선택을 알아보기 위하여 강원도 홍천강 지류인 내촌천과 군업천에 서식하는 수달의 서식지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서식지 예측 모델의 통계기법으로는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또한 지리정보시스템(GIS)과 원격 탐사 기술을 통해 고해상도 항공사진과 GIS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달 서식지 및 하천 환경 정보를 수집, 정리 및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달 서식지 예측 모델은 예측력이 가장 높은 하천 서식지 요소와 환경 변수들이 포함되었고, 수달의 서식지 예측 확률을 제공하였다. 가장 높은 확률의 수달 서식지는 큰 돌이나 바위가 있고, 넓은 하안 식생이 있는 지역이었다. 또한 보와 교량이 있는 구간은 수달 서식지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연구 하천을 따라 있는 대부분의 보들은 어도가 설치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어류가 모일 수 있어 수달을 끌어들일 수 있었을 것이다. 교량은 수달 배설물이 교량 밑에서 오래 존재할 수 있게 하거나 하천에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모델의 예측도는 83%이며, 수달의 적합한 서식지 예측보다 부적합한 서식지를 더 잘 예측하였다. 본 연구는 하안 식생 지역과 하천 바닥의 큰 돌과 바위가 수달의 서식하기에 중요한 환경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수달의 서식지를 위하여 너비 40m 이상의 식생 지역과 하천 기슭에서의 서식지 구성요소들과 식생을 엄격하게 보호하고 보존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환경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