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3 Download: 0

문화자본이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itle
문화자본이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Cultural Capital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and Self-esteem
Authors
김은미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성훈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ultural capital o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and self-esteem. The study assumed that parents’ social-economic background influence on forming cultural capital of parents and students and that possessing of cultural capital has the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independently of the social-economic backgrounds. To be specific, this study addressed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Firstly, is the co-relation between cultural capital and parents’ education and income, social status. Secondly, is the co-relation between cultural capital and school achievement. Thirdly, is the co-relation between cultural capital and self-esteem. The social-economic status consists of the parents’ economic capital, educational attainment, and vocation. The parents’ cultural capital consists of two factors, physical capital and cultural taste. The students’ cultural capital consists of two factors, cultural activities and cultural taste. The survey was done fir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it examined score of academic achievements from National Academic Evaluation Test. And, it examined score of self-esteem from Rosenberg’s Self-Esteem Scale. The subjects were 300 boy students and girl students middle schools at Seoul. The study finally investigated 285 copies. SPSS Win 20.0 program was used. The study made use of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co-relation between parents’ social-economic status and cultural capital is very significant. The social-economic status has a strong influence on the cultural capital. Secondly, it showed that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are higher when parents and student have much cultural capital. So, it showed that such things have positive correlation. Thirdly, it showed that students’ self esteem are higher when parents and student posses much cultural capital. So, it showed that such things have positive correlation. In this study it is social economic status and background and cultural capital have so significant relation to school achievement as the precedent studies did. The result of this study, cultural capital formed under the effects of the social-economic status and background. Cultural capital has the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 esteem. Cultural capital have a positiv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 esteem. Enhance cultural activities in the home and school, education policy and school education as a basis for improving the environment if they utilize in the development of youth socialization would be helpful. If able to receive educational benefits of cultural capital, healthy adolescent intellectual and emotional development will be a more developed society.;본 연구는 프랑스의 사회학자 Bourdieu, Pierre의 문화자본 이론에 바탕을 두고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문화자본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문화자본이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연구하였다. Bourdieu, Pierre가 주장한 문화자본은 인간의 사회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예술적 취향이나 지적인 능력을 포함하여 사회적으로 소유하거나 추구할 만한 가치가 있는 문화적 취향, 기술, 지식 혹은 관행을 의미한다. 또 사회적, 문화적 배제를 위해 사용되는 인간의 태도, 선호, 지식, 행동, 상품 소유 등의 문화적 신호이다.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의 사회경제적인 배경이 학생의 문화자본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형성된 문화자본은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기하였다. 첫째, 가정의 소득 수준 및 부모의 학력 수준에 따라 부모의 문화자본, 학생의 문화자본에 차이가 존재하는가? 둘째, 문화자본이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문화자본이 학생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가정의 소득 수준 및 부모의 학력 수준은 부모의 경제력, 부모의 학력, 부모의 직업으로 지표화 하였고 문화적 자본은 부모의 문화자본과 학생의 문화자본으로 구분하여 부모의 문화자본은 가정의 객관화된 문화자본, 부모의 문화적 취향으로 측정하였고 학생의 문화자본은 학생의 체화된 문화자본과 학생의 문화적 취향으로 나누어 각각 지표화 하여 측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방법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 여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285부를 최종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소득 수준 및 부모의 학력 수준에 따라 부모의 문화자본, 학생의 문화자본에 차이가 존재하는가에 대한 연구 결과는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가정의 월 소득이 높을수록 문화자본이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부모의 문화자본, 학생의 문화자본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문화자본이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 결과는 문화자본과 학업성취도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문화자본을 풍부하게 소유하고 있는 학생들이 문화자본을 빈약하게 소유하고 있는 학생들에 비해서 학업성취도가 높다는 결과가 밝혀졌다. 이를 구체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문화자본을 부모의 문화자본과 학생의 문화자본으로 나누었고 부모의 문화자본은 가정의 객관화된 문화자본과, 부모의 문화적 취향으로, 학생의 문화자본은 학생의 체화된 문화자본과 학생의 문화적 취향으로 각각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자본의 4가지 영역을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가정의 객관화된 문화자본과 부모님의 문화적 취향, 학생의 체화된 문화자본, 학생의 문화적 취향이 높을수록 학업성적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문화자본이 학생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 결과 문화자본과 자아존중감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님의 문화적 취향, 학생의 문화적 취향이나 가정의 객관화된 문화자본 보다 학생의 체화된 문화자본이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가 더 높게 나타나 문화자본의 영역별로 상관관계의 영향력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의 해석으로는 가정의 객관화된 문화자본은 가정의 경제적인 능력을 기반으로 부모의 문화적 취향이 더해져서 축적되는 반면 학생의 체화된 문화자본은 학생 본인의 문화적 취향과 선호가 바탕이 된 성향이자 내면화된 문화자본으로 학생의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사회경제적 배경과 문화자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부모와 학생의 문화자본이라고 할 수 있는 가정의 문화자본은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자아존중감에 각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가지 연구문제 모두 본 연구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해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성과와 교육적 시사점을 내포하고 있다. 가정의 월 소득, 부모의 학력과 같은 학생의 사회경제적인 배경과 문화자본이 밀접한 상관관계를 맺고 있다는 선행 연구의 결과를 확인했다. 또한 문화자본이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혔으며 문화자본이 학생의 자아존중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혔다.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들 가운데 문화자본은 가장 은폐된 방식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아직까지 우리사회에서는 학생의 학업성취도가 높으면 향후 성인이 되어 사회에 진출했을 때 사회에서 지배계층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다. 사회 계층별로 문화적인 취향과 소비의 차별화가 나타나고 사회의 양극화가 심한 요즘, 가정에서 학생들이 소유한 문화자본의 차이는 점차 더 커질 것이다. 이러한 문화자본의 차이는 곧 학생의 학업성취도의 차이로 이어지게 되고 문화자본의 교육적 혜택을 받지 못하는 학생들은 학교라는 공간에서 그 격차가 더 벌어질 것이다. 그 동안 한국사회에서 신분상승의 유일한 통로가 되었던 학력 또한 학생이 선택하지 않은 사회경제적인 배경에 의해서 영향을 받게 된다면 사회의 불평등은 더욱 심화되고 고착화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으로 보면 본 연구에서 문화자본이 계급재생산의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밝혔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로 인해 문화자본의 중요성을 지각하고 가정과 학교에서의 다양한 문화 활동 체험을 실시하여 빈약한 문화자본을 지닌 가정의 학생들에게 문화자본의 교육적 혜택을 받을 수 있게 한다면 청소년의 건강한 지적, 정서적 발달을 통해 보다 발전적인 사회가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