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8 Download: 0

고등학생의 인터넷 이용패턴이 정치의식에 미치는 영향

Title
고등학생의 인터넷 이용패턴이 정치의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How Internet Use Patterns of High school students influence their Political Awareness
Authors
조은영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왕식
Abstract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인터넷 이용패턴과 정치의식의 실태를 실증적 자료에 의해 분석하고, 고등학생의 인터넷 이용패턴이 정치의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관련성을 연구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인터넷 이용패턴은 어떠한 경향을 보이는가? 둘째, 고등학생의 인터넷 이용패턴이 정치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의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남·여학생 48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84부의 응답지를 집계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먼저 고등학생의 인터넷 이용패턴의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인터넷 이용패턴과 정치의식 변인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상관분석, 일변량 분산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고등학생의 인터넷 이용패턴의 경향성과 인터넷 이용패턴이 정치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인터넷 이용패턴의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용 빈도 및 시간, 주이용 정보 분야, SNS이용현황, 커뮤니티 및 인스턴트 메신저에 대하여 빈도분석을 하였다. 먼저 하루 평균 이용 빈도에 따라서는 하루 1회 이용하는 학생이 162명(42.2%)으로 가장 많았으며, 하루 평균 이용시간은 1시간미만이 141명(36.7%)으로 가장 많았다. 또한 고등학생이 인터넷을 접속했을 때에 가장 많이 접속하는 분야를 조사하기 위하여 총 6가지 분야로 나누어 자주 이용하는 정보 분야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 대부분의 고등학생이 포털사이트의 단편적인 부분만 볼 것이라는 연구자의 예상과는 달리 고등학생들은 다양한 정보를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고등학생은 포털사이트를 통해 연예정보를 이용하는 학생이 125명(32.6%)으로 가장 많았으며 정치정보 86명(22.4%), 교육정보 60명(15.6%), 스포츠분야 44명(11.5%)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본인 및 타인의 SNS 이용현황은 본인의 SNS를 운영하는 학생은 329(85.7%)였으며, 이들은 주로 SNS 종류 중 싸이월드 미니홈피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주로 친구 및 선후배와 소통하고 있었으며 SNS를 통해서 정치적 견해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는 학생은 157명(47.7%)으로 정치적 견해를 나눈 적이 없는 학생이 좀 더 많았다. 타인의 SNS를 이용한 학생은 338명(88.0%)으로 대부분 타인의 SNS를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역시 싸이월드 미니홈피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정치적 견해에 대한 교류가 있는 학생은 265명(78.4%)로 정치적 견해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누지 않은 학생들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인터넷 이용패턴이 정치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 인터넷 이용 빈도와 시간에 대한 양적인 연구에서는 정치지식과 정치관심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정치성향과 정치적 신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의 주(主)이용 분야와 그에 대한 신뢰에 대한 정치의식의 상관관계는 정치지식과 정치성향은 인터넷 주(主)이용 분야 및 정보신뢰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치관심과 정치적 신뢰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인의 SNS를 통해 정치적 견해 또는 간단한 정치적 이야기를 나눈 경험의 유무에 따라 정치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본인의 SNS를 통해 정치적 견해를 나눈 경험 유무에 따라 정치지식, 정치관심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정치성향, 정치적 신뢰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앞서 살펴 본 주이용 정보 분야와 그에 대한 정보의 신뢰도가 정치지식과 정치성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인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결과이다. 그리고 다른 사람의 SNS를 통해 정치적 견해를 나눈 경험 유무에 따라 정치지식, 정치관심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정치성향, 정치적 신뢰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본인이 SNS를 운영하면서 정치적 이야기를 나눈 통계와 동일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이용도가 높아진 커뮤니티에서 정치적 견해를 나눈 경험이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서는 정치지식과 정치관심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정치성향과 정치적 신뢰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해 정치적 견해를 나눈 경험의 유무에 따라 정치지식, 정치성향, 정치관심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정치적 신뢰는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 결과에서도 나타났듯이 고등학생의 대부분은 매일 인터넷을 이용하고 약 1시간 정도를 사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학생들이 인터넷을 접속하는 동시에 정보의 홍수 속에서 미처 정립되지 못한 가치관에 혼란을 주는 정보에 노출될 확률도 높아진다는 것이다. 연구 결과에서도 나타났듯이 인터넷 이용 빈도가 높을수록, 시간이 많을수록 고등학생들의 정치지식과 정치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에서 얻은 다양한 정보는 정치지식을 함양시켜준다는 긍정적 측면으로 볼 수도 있지만 정치적 관심을 높여 부정적 측면의 정치시각을 형성할 수 있다는 측면도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고등학생에게 악영향을 주는 유해매체, 불명확한 기사, 판단을 흐리게 하는 거짓 정보, 인터넷 게임 등을 무분별하게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인터넷이용에 대한 학교교육 및 법사회적 운동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둘째, 연구 결과에서 보여진 학생들의 정치적 관심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신들의 정치적 관심을 인터넷에서 SNS를 통해서나, 커뮤니티에서 활발하게 의견을 표출하고 있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정치교육에서는 인터넷 상에서 정치적 의견을 제시할 때 지켜야 할 예절 및 방법에 대한 교육을 시도하고 있지 않으며 올바른 정치적 정보를 통해 관심을 높이는 방향으로 이끌어 주지도 않고 있다. 이론상의 정치교육도 중요하지만 시대의 변화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정치정보를 접하고 의식을 높일 수 있는 교육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청소년기에 확립된 정치적 가치관은 쉽게 변하지 않기 때문에 올바른 가치관 확립을 위해서 시대에 맞는 정치교육이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이 인터넷 이용실태가 아닌 패턴을 통해 정치의식에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본연구의 분석 결과는 향후 학교 정치교육과 관련한 정책 수립 방향과 교사의 교수지침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This research is aimed at investigating and determining how Internet Use Patterns of High school students influence their Political Awareness as making an inquiry into its actual condition by analyzing empirical data about it. The research is mainly focused at, 1. What tendency is discovered in Internet Use Patterns of High school students. 2. How Internet Use Patterns of High school students influence their Political Awareness. In the process of research, i’ve conducted the surveys of 480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are in 2ndyear of academic highschool in Seoul, and found the total of 384 responses. Also, as far as data examinations are concerned, i have used frequency analysis for finding the tendency of internet use patterns of high school students, correlation analysis for showing relation between internet use patterns and variables of political awareness, one-way variance analysis, and so on. Below are presented a result of the analysis about the tendency of Internet Use Pattern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effect of Internet Use Patterns on High school students’ Political Awareness. First, using frequency analysis, i have analyzed frequency and duration of use, main information field, current condition of SNS, and community and instant messenger on the internet, to investigate the tendency of Internet Use Patterns of High school students. First of all, as a consequence of analyzing frequency and duration of use on the internet, most 162 students (42.2%) responded they use the internet once, and most 141 students (36.7%) use the internet under one hour on the average. As it comes to high school students’ main information field on the internet, i have made total 6 fields for the research. In the research i supposed that the majority sees little piece of portal site, but they actually acquire various information through it. Most 125 students (32.6%) get information for the entertainments, followed by 86 students (22.4%) for political information, 60 students (15.6%) for education, and 44 students (11.5%) for sports news. Also, in current condition of using one’s own or others’ SNS, 329(85.7%) students who run their own SNS use the Cyworld Minihomepage most. They usually exchange news with friends or schoolmates of them. As 157 students (47.7%) have ever discussed the political opinions, the other students who have not discussed the opinions are in majority. In addition, most 338 students (88.0%) use others’ SNS, not their own, they prefer Cyworld Minihompage as well. 265 students (78.4%) of them have discussed the political opinion. There are, so to speak, more students who have not discussed the opinions than the students who have ever discussed the political opinions. Second, as a result of researching the effect of Internet Use Pattern on High school students’ Political Awareness, political knowledge, political tendency, political concern and political trust are all in balance statistically in the aspect of number of use, assuming that it is multiplication of frequency of use by duration of use. In accordance with the relation among students’ main information field, its reliability, and political awareness, it makes some meaningful differences in political knowledge and political tendency, but it doesn’t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political concern and political trust. And between the students who have discussed or expressed any simple political opinion in their own SNS and the student who have not, that makes some differences in political knowledge and political concern, but no difference in political tendency and political trust. This is a definitely different case with the case of relation among students’ main information field, its reliability, and political awareness, but a similar case with the case of the students who have discussed or expressed any simple political opinion in others’ SNS or not. In the case of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litical knowledge and political concern, but no special difference in political tendency and political trust. Also between the students who have ever discussed politics in the currently-used community and the students hav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are detected in political knowledge and political trust, but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political tendency and political trust. At last, between the students who have discussed political opinions through instant messengers and the students who have not, remarkable differences are made in political knowledge, political tendency, and political concern, but any special difference is not discovered in political tru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search,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First, it showed that the majority of high school students use the internet around 1 hour every day as the research says. It means students who use the internet are likely to be exposed to flood of information which can confuse their immature values. Students can get bad entertainment media, a unclear article, false information making cloud judgment, online game etc., thoughtlessly. That’s why school education and widely social movement of internet is needed. Second, students are highly interested in politics and they express their opinion through SNS or community of internet in the research. But existing political education still cannot offer the right way to follow when expressing the political opinion on the internet and even guide the proper aspect of politics by providing right information. Not only theoretical political education but education which can improve the political awareness through proper information on the internet considering change of period is important. As youth tend not to change their political values since then, when once set up, they should be trained with appropriate political education for right value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provide important suggestions to establish policies relates to the political education in schoo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