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3 Download: 0

직장인 MBA 대학원생의 지식교량적 역할이 조직 내 지식공유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

Title
직장인 MBA 대학원생의 지식교량적 역할이 조직 내 지식공유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Role of Workers Who Attend Graduate School As Knowledge Bridge on of Knowledge Sharing Network In Organization
Authors
한송이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일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orkers who attend graduate school on the expansion of knowledge sharing network in company. As the modern society is transformed into the knowledge-based society, a number of efforts are being made by companies to gain easily knowledge and share effectively such knowledge with members. Companies, however, should note that the knowledge is mostly shared by persons not by system.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the knowledge sharing, companies need to examine the aspect of relations established by members with others. Namely, companies need a viewpoint of knowledge sharing network to examine overall of in-house social relations. In this study, the viewpoint of knowledge sharing network focused to workers of companies who entered graduate school. We examined the effects of workers who attend graduate school on the expansion of network of knowledge sharing in company. It was to verify that the support system for graduate school provided by company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knowledge sharing in company. Form this system that the company help its workers with tuition, such workers themselves have the benefit of tuition and degree. But, it was not yet sufficiently discussed if the company itself benefits from this system. That’s why in this study, we introduced the view point of expansion of knowledge sharing network in the company and investigate the benefit of supporting workers for graduate school to the innovation of knowledge sharing in the company. Based on such study proposal, the questions are given as follows. Is there change in satisfaction with personal relations by workers after having entered graduate school? Do such worker-graduate students play the role as knowledge bridge between company’s network and graduate students’ network? What effect, through the role of knowledge bridge, do such worker-graduate students have on the knowledge innovation of the company? To investigate these questions, we chose 10 worker-graduate students and 75 members of A company that they belong to and 107 members of B university that they belong to, 172 members in total. 10 overlapped worker-graduate students were excluded. To find the answer to each question, we conducted a survey for the first question, investigated networks for second question and carried out interviews for third question. As the network result could be possib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network type, we classified the network types into three: Friendship, Information and Trust, in order to obtain accurate results. As to evaluation of role as knowledge bridge, ‘density’ representing the degree of connection among members and ‘structural hole’ representing the non-overlapped relations were selected, and Netminer4 was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the personal relations of worker-graduate students changed positively after they have entered graduate school. The score for the question “did the personal relations change positively after graduate school entrance?” was 3.85 out of 5 points. Second, the result showed that worker-graduate students played the role as knowledge bridge between company’s network and graduate students’ network. It was confirmed that the density of company’s network decreased and the structural hole decreased, due to graduate students’ network. First of all, in all network types (Friendship, Information and Trust), the density of company’s network was higher than that of network connected between company and graduate students. The analysis result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of two groups was significant. This means that the knowledge sharing network of company was expanded by knowledge bridge of worker-graduate students, so the company carried out exchange with more members and therefore gained various knowledge accordingly. Next, in all network types, the structural hole of company was lower than that connected between company and graduate school. The ANOVA test using QAP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of two groups was significant (Friendship network F=1.2856, p<0.05; information network F=1.278, p<0.05; and trust network F=1.23, p<0.05). Especially in case of Friendship network, the restriction values of two groups were identical in descriptive statistics, but significantly different in inferential statistics. It means that the company not only gained first new knowledge by knowledge bridge of worker-graduate students, but also shared it more effectively with members. Third, the result confirmed that worker-graduate students shar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organization, duties and roles rest in the company throughout break time and work hours and direct inquiries. This means that worker-graduate students not simply personally possessed knowledge that they gained from graduate school, but shared it with member of organization. Thus, they contributed to the innovation of knowledge sharing in the compan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earning in graduate school of workers contributes to the expansion of knowledge sharing network as well as their own learning. It is suggested that worker-graduate students accumulate their own academic knowledge, but also expand the network by exchanging such knowledge with members. Second, the company needs to apply the support system for graduate school from the viewpoint of network. The company should not mechanically apply such support system, but should operate the most efficiently so as to contribute to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on through analytical approach for network of organization. Third, the company should encourage worker-graduate students to share the knowledge obtained from the outside at the organizational level. It is required to draw up measures for worker-graduate students to share actively various information that they gain from graduate school, not holding it only for them.;현대사회가 지식기반 사회로 접어들면서 지식은 기업의 중요 자산이 되었다. 그에 따라 기업은 필요로 하는 지식을 용이하게 획득하고 획득한 지식을 구성원들과 효과적으로 공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예로 기업의 지식관리시스템(KMS) 운영과 이를 장려하기 위한 각종 인센티브와 평가제도의 도입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업의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여전히 많은 지식을 주위 사람들로부터 얻는다(Cross, Parker, Prusak & Borgatti, 2001). 지식은 인트라넷이나 지식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사람으로부터 얻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업은 지식공유를 촉진하기 위해 구성원들이 다른 사람과 맺고 있는 관계를 살펴 볼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기업의 사회적 관계를 전체적으로 살펴 볼 수 있는 지식공유 네트워크 확대 관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공유 네트워크 관점을 직장인의 대학원 진학에 도입하였다. 이는 직장인의 대학원 진학이 기업의 지식공유 네트워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기 위해서이다. 대학원에 진학하려는 직장인이 늘어나자 기업은 대학원 지원제도를 도입하였다. 여기서 대학원 지원제도란 자격을 갖춘 직원에게 학위를 취득하는데 필요한 수업료 및 기타 비용을 지원해 주는 제도이다. 이 제도는 수혜자에게는 학비와 학위라는 직접적인 이득을 제공해준다. 하지만 소수의 수혜자에게 많은 금액을 지원해주는 기업에게는 어떤 이득이 있는지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식공유 네트워크 확대라는 관점을 도입하여 대학원 지원제도가 기업의 지식공유에 주는 이득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직장인 대학원생의 지식교량적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지식교량적 역할이란 기업과 대학원 집단을 하나의 집단으로 연결하여 대학원의 지식이 기업 내 공유될 수 있도록 하는 활동을 말한다. 따라서 직장인 대학원생의 지식교량적 역할을 규명한다면 이는 대학원 지원제도가 단순히 수혜자에게만 이득을 주는 것이 아닌, 기업의 지식공유 네트워크 확장에 기여함을 나타내주게 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은 대학원 진학 후 대인관계 만족도에 변화가 있는가? 둘째, 직장인 대학원생은 기업 네트워크와 대학원생 네트워크 간의 지식교량적 역할을 수행하는가? 셋째, 이러한 직장인 대학원생의 지식교량적 역할로 기업 내 새로운 지식이 공유되는가?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직장인 대학원생 10명이 속한 A기업과 B대학원을 선정하였다. 인원은 A기업 구성원 82명, B대학원 구성원 107명이며, 두 집단에 중복되어 속해있는 직장인 대학원생 10명을 제외한 총 17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조사에 불참한 A기업 구성원 7명을 제외하여 최종 172명의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선정한 대상으로 연구문제의 답을 구하기 위해 첫째 연구문제는 설문조사를, 둘째는 네트워크 조사를, 셋째는 면담을 실시하였다. 네트워크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네트워크 결과가 나올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유형을 친교, 정보, 신뢰 네트워크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또한 지식교량적 역할 측정은 구성원들 사이의 연결된 정도를 나타내 주는 밀도와 구성원들과 중복되지 않은 관계를 나타내 주는 구조적 공백으로 실시하였으며, 분석은 Netminer4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 대학원생의 대학원 진학이 대인관계 만족도에 변화를 주는지 조사한 결과, 대학원 진학 이전의 생활과 비교해 볼 때 현재 대인관계 만족도가 총 5점 만점에서 3.85로 대학원 참여는 대인관계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인 대학원생은 기업과 대학원 네트워크 간에 지식교량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 네트워크와 기업과 대학원이 연결된 네트워크를 비교했을 때 대학원이 연결된 기업 네트워크의 밀도가 낮고 구조적 공백이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밀도의 경우 모든 네트워크 유형(친교, 정보, 신뢰)에서 기업 네트워크의 밀도가 기업과 대학원이 연결된 네트워크의 밀도 보다 높았다. 이는 지름을 통해 두 집단의 차이가 의미 있음을 확인하였다. 밀도 분석 결과를 통해 직장인 대학원생은 지식교량적 역할을 수행하며, 이로써 기업은 더 많은 구성원과 연결되고 그만큼 다양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구조적 공백은 모든 네트워크 유형에서 기업 네트워크의 구조적 공백이 기업과 대학원이 연결된 구조적 공백보다 낮았다. 이는 QAP를 활용한 ANOVA 검증을 통해 두 집단의 차이가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친교 네트워크 F=1.2856, p<0.05, 정보 네트워크 F=1.278, p<0.05, 신뢰 네트워크 F=1.23, p<0.05). 구조적 공백 분석 결과를 통해 직장인 대학원생은 지식교량적 역할을 수행하며, 이러한 역할로 기업은 새로운 지식을 먼저 획득할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얻은 지식을 구성원들과 보다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직장인 대학원생의 지식교량적 역할로 기업 내 새로운 지식이 공유되는지 질적 연구를 실시한 결과, 지식교량적 역할로 인하여 기업 내 조직, 직무, 역할 정보 등 새로운 지식이 기업 내 구성원들과 공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로 아래와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대학은 학습의 장뿐만 아니라 대인관계 형성의 장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직장인은 대학원에서 다양한 소속의 사람들과 자유롭게 관계를 형성하면서 대인관계에 활력을 얻게 된다. 서로 간 다양한 경험을 공유하고 이러한 경험들이 상호 연관되면서 대인관계에 만족을 느끼는 것이다. 따라서 대학은 직장인 대상의 학습 운영 및 과정 개발에 있어 학생 간 대인관계를 확대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업은 대학원 지원제도를 네트워크 관점에서 적용할 필요가 있다. 기업은 단순히 대학원 지원제도를 기계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조직의 네트워크에 대한 분석적 접근을 통해 지식공유 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기업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지식이 원활히 공유될 수 있도록 조직차원에서 장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직장인 대학원생은 대학원을 통해서 다양한 정보를 얻게 되는데 이러한 지식을 개인 소유로 남겨 둘 것이 아니라 기업 내 구성원들과 활발히 공유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