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9 Download: 0

창업교육 성과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교수실재감의 예측력 규명

Title
창업교육 성과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교수실재감의 예측력 규명
Other Titles
Predictability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mprovement by Self-efficacy and Teaching Presence
Authors
임순영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정민
Abstract
최근 국내 경제 상황의 불확실성으로 인한 비자발적인 퇴직자의 증가로 정부는 신규 고용 창출과 국민 개개인의 소득 창출을 위한 정책 마련을 도모하고 있으며 그러한 정책의 일환으로 창업 시장 활성화를 위해 대기업에게 소상공인을 위한 마이크로크레딧이라는 형태의 창업에 필요한 정책자금 대출을 권유하고 있다(김용태, 2009). 실제로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50만개 업체가 창업을 하고 40만개 이상의 업체가 폐업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신규 사업체 경우는 절반은 3년을 버티지 못하는 것으로 집계됐다(중소기업청, 2008).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국내의 창업 지원 제도 미비, 산업 인프라 취약, 사업자금 조달의 어려움, 인력 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분석되고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창업자가 사업을 시작하기 이전에 사업 경영관리 능력(management skill)을 갖추지 못한 것이 사업 실패의 가장 큰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Davis & Zelinko, 1982; Diffley, 1982; Hill, 1986). 더욱이 이러한 경영관리 능력이 사업을 개시한 후에 개발되기를 기대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고 볼 수 있다(Hill, 1986). 따라서 창업자들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상황에서 이를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충실한 창업교육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앞으로도 많은 창업자들이 창업 이후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다. 창업의 성공은 개인의 선천적인 자질에 의해 좌우되는 부분도 많으나 창업자로서 갖추어야 할 바람직한 자질과 능력의 많은 부분은 교육과 학습을 통해 습득되어 질 수 있다. 이처럼 성공적인 창업을 위해서는 창업교육이 필수적이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창업자의 실제적인 교육 요구가 무엇인지 제대로 파악되지 않은 채 실시기관 또는 실시자 중심의 창업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손성호, 김종득, 최상렬, 1998; 이명자, 2004). 이에 따라 프로그램 개발 담당자가 적용할 수 있는 창업교육 가이드 라인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 이론과 모형틀의 준거 속에서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실행될 때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그 효과에 대한 평가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창업교육의 내실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창업교육의 학습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면밀히 파악하고, 학습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변인들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창업교육은 자율적인 교육으로 진행됨으로 무엇보다 자신의 능력에 대한 동기와 신념이 결과에 미칠 잠재적 요소가 중요하다. 따라서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학습 성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한영숙, 현성용, 이종구, 조현철; 2007). 또한 교육에 참가하는 예비창업자들의 연령대가 높고 창업에 대한 경험이 없는 초보창업가인 점을 고려한다면 교수자의 학습 촉진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 교수-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수준을 높임으로써 면대면 학습에서와 같이 학습 몰입을 촉진시킬 수 있는 교수실재감 변인이 창업교육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요소로 선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창업교육의 성과를 측정하는 지표로 학습 만족도와 창업의지를 선정하고자 한다. 학습 만족도는 학습자의 즉각적인 피드백이자 학습성과를 측정하는 가장 대표적인 지표로서, 교육과정에 참여한 학습자가 학습에 얼마나 만족했는지에 관한 학습자의 반응을 의미한다(주영주, 김은경, 박수영, 2009). 그리고 창업의지는 창업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핵심적인 개념으로서(Krueger, 1993), 창업에 대한 행위의도적 태도를 의미하며, 창업이라는 긴 과정의 첫 단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창업교육이 예비창업자의 창업의지를 상승시키는지 규명하고, 자기효능감과 교수실재감이 학습 성과인 학습 만족도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 사이에서 학습 만족도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창업교육 수강 전과 후의 창업의지의 차이가 있는가? 2. 창업교육에서 자기효능감과 교수실재감이 학습 만족도를 예측하는가? 3. 창업교육에서 자기효능감과 교수실재감이 창업의지를 예측하는가? 4. 창업교육에서 자기효능감과 교수실재감이 창업의지를 예측하는데 있어 학 습 만족도가 매개 역할을 하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의 학습 성과에 미치는 관련 변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독립변인으로 자기효능감과 교수실재감을 선정하고 종속변인으로 학습 만족도와 사후 창업의지를 두고 학습 만족도가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창업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H 창업교육기관을 선정하여 예비창업자 프로그램 수강자를 대상으로 총 2차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1차와 2차 모두 응답한 89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는 분석방법으로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t검정,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Baron &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교육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t 통계값은 4.81, 유의확률은 .00으로 유의확률 .05이하로 창업교육 프로그램에 의한 학습자간의 사전 창업의지와 사후 창업의지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사업계획서의 총점과 창업의지의 상관계수는 .43(r = .43, p < .05)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창업교육에서 자기효능감, 교수실재감이 학습 만족도와 사후 창업의지를 예측하는지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과 교수실재감이 학습 만족도와 사후 창업의지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자기효능감(β = .18, p < .05)과 교수실재감이(β = .66, p < .05) 학습 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했으며, 자기효능감(β = .45, p < .05)과 교수실재감(β = .22, p < .05)이 사후 창업의지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셋째, 창업교육에서 자기효능감, 교수실재감과 사후 창업의지 간의 관계에서 학습 만족도가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Baron & Kenny(1986)가 제시한 3단계 과정에 근거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효능감이 사후 창업의지를 예측하는데 있어 학습 만족도는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자기효능감 β = .40, p < .05, 학습 만족도 β = .32, p < .05) 교수실재감이 사후 창업의지를 예측하는데 있어도 학습 만족도는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교수실재감 β = .04, p > .05, 학습 만족도 β = .44, p < .05). 이상의 결과에서 자기효능감과 교수실재감은 학습 만족도와 창업의지를 예측하는 주요변인이며 창업교육은 사후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창업교육은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자신감 상승을 위한 사전 학습 설계와 학습 중 교수의 적극적인 지도를 위한 장치 마련 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방면에서 학습 설계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H 창업교육 기관의 학습자를 89명을 대상으로 예비 창업자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를 통한 결과이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다른 창업교육 기관에서도 같은 결과를 얻게 되는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 교수실재감, 학습 만족도, 사후 창업의지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검사 도구들은 모두 연구대상자들이 자기보고 방식(self-report)으로 설문지에 응답한 자료를 통해 추정하였다. 따라서 수집된 자료는 연구대상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연구 결과에도 반영했던 사업계획서와 같은 학습 후 제시되는 결과물인 과제 가치가 측정이 된다면 더 유용한 결과 값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창업교육의 효과를 검증하는 방법으로 학습 만족도와 창업의지만을 측정하였으나 학습 후 창업 전이 등에 대한 지표를 보완한다면 성공 창업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 구현 시 구체적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겠다. 따라서 각 창업교육 기관에서는 기관별 특성과 주변 여건 및 프로그램 개발 담당자의 전문 지식과 경험 등 다양한 상황을 적용할 수 있는 지표를 마련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창업교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학습요소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e success of entrepreneurship depends on individual's innate qualities that are desirable to be equipped as part founders. Many parts of the qualities and skills through education and learning can be learned. Thus the foundation of successful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essential. In addition, staff development programs that can be applied to entrepreneurship education are necessary to provide appropriate guidelines. Development of scientific and systematic theory is also possible because the frame of reference model is being developed in the program is executed to increase efficiency and evaluation of its effectiveness. Entrepreneurship education as autonomous educational progress than what motivations and beliefs about their ability to have a potential factor in the results is important. Therefore, to improve self-efficacy to seek ways to maximize learning outcomes is of vital significance. Also participating in the preliminary training of entrepreneurs and high ages for the inexperienced novice entrepreneurship considering that founded in promotion of the role of teacher learning is more important than ever. Finally on teaching and learning by increasing students' awareness level as in face-to-face learning can facilitate learning in teaching presence, two variables were established professor of education as an element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will be selected. Moreover,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have been chosen to measure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chievement. Immediate feedback of student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as an indicator to measure the most representative, who participated in the curriculum for training students on how satisfied students' responses on whether means. And that is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as a core concept, acts on entrepreneurship refers to the attitude of the first step of a long process of entrepreneurship. Thus, We research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he rise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Also the correlations among self-efficacy and teaching presence and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were measured. Futhermore we measured whether the satisfaction plays a role as a mediator between them. Research to solve problems on students' learning outcomes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on related variables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teaching presence of self efficacy as dependent variables selected and founder of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over what role the parameters that were set. This study tested the hypotheses that analyze method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were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to observe the effect of parameter Baron & Kenny(1986) proposed by the parameter analytical methods were used. Derived from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undation that affected the result of paired-t statistics is 4.81, p is 0.00 with a 0.05 significance level between the pre-entrepreneurial intention training program established by the learner willingness and post-analysis established that the land was the difference. Entrepreneurship business plan will also post the score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found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 result of self-efficacy and teaching presence predicted the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Self-efficacy and teaching presence significantly predicted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and teaching presence significantly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agency predicted. Third, we tried to verify the mediating role of satisfaction as self-efficacy and teaching presence predicted entrepreneurial intention with training to ensure that Baron & Kenny(1986), based on the proposed three-step process was studied. Analysis of result if self-efficacy in predicting entrepreneurial intention, satisfaction was analyzed as representing a mediating effect. Teaching presence even after learning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to predict satisfaction was analyzed as representing a mediating effect. In conclusion, self-efficacy and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wound directly on entrepreneurship have been proved as important variables to predict entrepreneurial intention commitment to entrepreneurship education was shown to be affected. Thus, the efficacy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higher learning prior to the rising confidence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designed for the active map so that the device can be prepared from the direction of the multifaceted learning design will have to be made. This study suggests further research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stablished the H learners of the institution 89 patients with preliminary results founder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because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findings. Therefore, in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established to get the same results that need to be studied. Second, this study self-efficacy, teaching presence, learning satisfaction, and establishment of a screening tool used to measure whether all of the subjects reported their own way (self-report)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were estimated through the material. Thus, the subjects collected data rely on subjective judgment, because there are fundamental limitations. To compensate for this, notably the business plan and the same findings were also reflected in the learning task and the resulting values are presented more useful if the measurement results could be derived. However, 53 participants submitted a business plan to generalize people because insufficient numbers will be needed for this ongoing research. Third, this study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s a way of learning satisfaction was measured with the addition of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but the effect of the supplement, which can be seen if other indicators of successful training programs for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model needed to implement guide lines for the points are may be. Therefore, each institution characteristics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program development and the surrounding circumstances of the person, such as expertise and experience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situations and apply the indicators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us, entrepreneurship education can affect a variety of learning about elements of the ongoing research will be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