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
- 身體自我와 被服選好
- Authors
- 崔英玉
- Issue Date
- 1976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엄무광
- Abstract
- 1. Purpose
There are many theories about the motive for a man to wear clothes, and as the construction of society is more and more getting complicated there also arose various questions except for the instinctive problems. Clothes are a part of our physical appearance - that means a second skin of our body - and indicate the belonging to a society, class sex and religion, that is the characteristic of social position, psychological feeling, and physical interest. Socio-psychological research about the origin and motive of wearing was attempted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Phychologists such as FIu"ge1, Hurlock, Barr had made great success in human clothing research about 1930, but we can't find any record in our country. In this study I am going to make clear the relation between body-concept and clothing preference.
2. The contents of the study and Hypotheses
The social and psychologists say that the high school girls in teen-agers are very sensitive in various fields - body, character, appearance, clothing. Now I am going to examine those facts setting up the following - assumptions:
(1) There will be no mutual relationship between real body and body-concept.
(2) there will be no mutual relationship between body-concept and behavior.
(3) There will be no mutual relationship between body-concept, behavior and clothing-preference.
(4) There will be no mutual relationship real-body size and ideal-body size.
3. Methods
(1) Sample
472 1st grade student of Keum Nan Girls' High School were selected and tested.
(2) Duration and Methods of tests.
Tests were given in the morning at the classroom during the period of August 22 to September 2, 1975.
(3) Treatment of the test data.
Each question is devided by its response and the result is calculated by percentage. To examine the relation of each result, X^2(chi-square) and t are counted.
4. Results
(1) Questinaire answerers have relatively exact body-concept of their own body.
(2) Body-concept, body attitude (confidence, balance, concern) are related one another.
(3) Body-concept depends upon clothing preference.
(4) Questionaire answerers' real body size is related with their ideal-body size.;사람이 옷을 입게 된 動機에 대하여는 여러 가지 學說이 있으나 社會構造가 점차 複雜해 짐에 따라 本能的인 面 이외에 여러가지 問題가 대두되게 되었다. 의복은 우리몸의 一部分으로서, 第二의 피부로서의 역할은 물론 그가 소속하고 있는 社會의 所屬感을 나타내며, 集團, 階層, 性 宗敎 등 社會的인 面과 心理的인 面, 그리고 身體的인 面의 특성을 나타낸다. 이에 관심을 가지고 20世紀初부터 옷을 입는 動機 내지 衣服의 起源에 관한 社會心理學的 接近이 시도되었다.
1930년대부터 Fl?gel, Hurlock, Barr 등의 心理學者에 의하여 實證的 硏究가 시작된 의복의 社會心理學的 側面 硏究는 오늘날 크게 發達하여 많은 硏究發展을 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全無한 狀態이다. 그러므로 本 硏究에서는 身體槪念(body-concept)이 衣服選好에 대한 역할을 하는 가를 밝혀 보고자 했다.
2. 硏究의 內容 및 假說
思春期에 처해있는 女高生들은 身體部分의 成長과 變化로 自己身體 및 의복, 외모에 가장 관심이 많은 時期로 모든 活動과 性格, 行動의 不均衡, 適應問題에 影響을 주고 있음을 많은 靑年心理學者나 社會心理學者들이 말하고 있다. 그러므로 本 硏究에서는 다음과 같은 통계적인 假說을 설정하고 이를 檢定해 보려고 했다.
假說 1. 自身의 실제 體格에 대한 槪念 사이에 相關이 없다.
假說 2. 自身의 실제 體格과 身體態度와는 相關關係가 없다.
假說 3. 體格과 身體態度는 衣服選好와 相關關係가 없다.
假說 4. 身體態度 즉 身體의 滿足度와 均衡度, 滿足度와 關心度, 關心度와 均衡度 사이에 相關이 없다.
假說 5. 실제의 身體칫수와 理想的 身體칫수에 相關關係가 없다.
3. 硏究方法
가. 對象
서울市內 金蘭女子高等學校 1學年 全體學生 485명을 相對로 調査했는데 그 중 결석생, 應答이 不確實한 것, 누락된 것을 除外한 472명분의 反應을 統計處理했다.
나. 調査期間 및 方法
1975年 8月 22日부터 9月 2日까지 1주일 동안 되도록 午前의 수업시간을 利用하여 自己敎室에서 質問紙를 使用하여 실시했다.
다. 資料處理
質問紙는 各 問項別로 같은 反應을 分類하여 百分率을 내었고, 各 測定値의 有意度를 檢定하기 위해서는 x^(2)와 t를 算出했다.
4. 結果
女高一年生들은 실제 體位에 相應한 身體槪念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고, 身體槪念과 身體態度(滿足度, 均衡度, 關心度)도 또한 相應함을 알 수 있으며, 被服選好는 身體槪念에 의하여 左右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