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9 Download: 0
女子大學生의 衣服 「디자인」 嗜好와 性格間의 相關關係 硏究
- Title
- 女子大學生의 衣服 「디자인」 嗜好와 性格間의 相關關係 硏究
- Other Titles
-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Women's Preference in Clothing Design and Personality
- Authors
- 이인자
- Issue Date
- 1975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安顯玟
- Abstract
- 1. 硏究의 重要性
우리 몸의 一部分으로서, 第二의 皮膚로서 衣服의 價値가 인정되고 있는 오늘날 衣服을 着用하는 目的은 本能的인 理由만 내세울 수는 없게 되었다.
卽 衣服은 그가 처해있는 모든 環境(身體的, 精神的, 社會的)에 따라서 달라지는 만큼 우리가 입은 옷은 그 사람의 社會的 身分의 象徵이며 그의 感情狀態와 性格을 傳達하는 無言의 通信手段(nonverbal-Communication)으로서 중요한 價値가 있게 되었다.
이와같이 衣服이 그 사람의 身分과 性格과 感情의 表現이 될 수 있다고 하는 社會心理的 역할이 중요하게되자 1930年代부터 Fl?gel, Hurlock, Barr, 등의 心理學者에 依하여 實證的 硏究가 시작된 衣服의 社會心理的 側面 硏究는 오늘날 크게 발달하여 行態體系的 方法에 이르기까지 많은 硏究發展을 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開拓初期에 있는 狀態이다. 그러므로 이 分野硏究의 重要性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2. 硏究의 目的
本 硏究의 目的은 女子大學生의 衣服 「디자인」은 그들의 性格을 어떻게 나타내고 있느냐 하는 것을 조사, 분석하여 여기에 나타난 結果가 衣類를 공부하는 사람이나 「디자이너」들에게 指針이 될 수 있는 情報가 될 것을 기대하며 나아가서 이 分野에 있어서 衣類學과 心理學問에 硏究가 促進될 수 있는 關心을 유발하고자 하는데 目的을 두었다.
이와 같은 目的 達成을 위하여 設定한 假說은 다음과 같다.
假說 Ⅰ : 女性的인 「디자인」을 좋아하는 사람의 性格特性은 보다 女性的일 것이며 男性的인 「디자인」을 좋아하는 사람의 性格特性은 보다 男性的일 것이다.
假說 Ⅱ : 좋아하는 衣服의 色과 性格特性과는 有機的인 相關關係가 있을 것이다.
假說 Ⅲ : 좋아하는 옷감과 性格과는 相關關係가 있을 것이다.
其他 假說 以外에 다음과 같은 點에 관심이 있었다.
* 衣服을 選擇할 때 色, 「디자인」, 옷감 중 보다 重點的으로 생각하는 것과 性格과는 相關係數가 있을 것이다.
* 衣服에서 個性을 特히 强調하는 것과 性格과는 相關係數가 있을 것이다.
3. 硏究方法 및 節次
A. 對象
서울市內 4個大學校(서울大學校, 淑明女子大學校, 建國大學校, 梨花女子大學校)에 在學中인 2, 3, 4學年 學生 225名을 조사했는데 그중 姓名이 不確實한 것과 應答이 不確實한 것을 빼고 200名 분만 처리 하였다.
B. 道具
1. 性格檢査
鄭範謨의 人性檢査를 使用하여 活動性, 支配性, 安定性, 衝動性, 男向性, 客觀性, 思慮性, 社會性의 8가지 特性을 조사하였다.
2. 「디자인」기호 검사
標準化된 質問紙가 없었으므로 “「디자인」이란 線, 型, 色, 質感의 整理이다.” 라고 하는 理論에 근거를 두고 이들 4가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20個 項目의 質問紙를 만들어 2回에 걸친 檢査結果 信賴性이 있는 問題에 대한 것만 처리하였다.
3. 色彩 嗜好檢査
日本色彩硏究所에서 만들어진 色相紙 (65色)중에서 Munsell의 Color system에 의한 主要色은 5個와 中間色 5個, 無彩色 3을 합해 13가지를 제시하여 조사하였다.
C. 調査期間 및 方法
1974年 5月 20日부터 6월 20日까지 1個月 동안 날씨가 맑은날 午前에 밝은 講議室에서 실시하였다.
人性檢査紙와 質問紙를 同時에 배부하고, 人性檢査紙를 먼저, 質問紙를 나중에 기록하도록 지시한 후 人性檢査가 끝날 무렵 色相紙를 20分간 붙였다 떼고 50分 후에 各各 수합하였다.
D. 資料 處理
人性檢査는 검사요강에 따라 처리하여 原點數를 내었으며 質問紙는 問題別로 같은 答을 한 사람끼리 모아 人性檢査 原點數의 平均을 내고 統計處理는 平均치와 표준편차를 내어 答項이 2個인 것은 t檢證을 3個 以上인 것은 F檢證을 하였다.
4. 結果
1. 衣服 「디자인」에 使用하는 線을 曲線인것을 많이 사용하고 나타난 Style은 dressy한 것을 좋아하며 꽃무늬 같이 작고 고운 紋樣으로 화사하고 밝은色의 부드러운 옷감으로 된 옷을 좋아하는 사람의 性格特性은 特히 女性的이며 直線을 많이 使用하고 Sporty (casual)한 型을 좋아하며 무늬가 없는 단색의 어둡고 탁한色을 좋아하며 거친옷감을 좋아하는 사람은 男性的이다.
2. 따뜻한 系統의 色(赤色系)을 특히 좋아하는 사람은 女性的이고 感傷的이며 人情이 많고 「로맨틱」하며 實踐的이고 行動的이고 主觀的인 反面 찬색( 靑, 錄 )을 좋아하는 사람은 男性的이고 法대로 理致대로 하는 客觀性이 높으며 理論的이며 思索的이고 망설임이 심한 性格 特性인 思慮性이 높다.
3. 衣服色을 補色系統으로 配色하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속박, 제약을 싫어하는 特性으로서 衝動性이 높다. 또한 좋아하는 한두가지 色의 옷만 입는 사람도 單純하고 感情的이며 衝動性이 높다.
4. 옷을 고를 때 옷감을 제일먼저 고르는 사람은 情緖的 安定性이 높아 有事時에도 비교적 平溫할 수 있고 對人關係도 좋아 社會性이 높은 反面 色에 제일 치중하는 사람은 情緖가 不安定하며 社會性도 낮다.
5. 衣服에서 個性을 特히 강조하는 사람은 매우 衝動的이고 實踐的이며 果斷性이 있는 反面 수수한 옷을 選擇하는 사람은 自制性이 강하고 內省的이며 思慮性이 높다.;The social and psychological approaches to clothing researches by Plugel, Hurlock and Barr in early 1930's, have since been developed greatly in the Western countries.
Before that time, clothing was simply regarded as an expression of human instinct, but now as a second skin and as a tool of nonverbal communication of emotion as well.
Therefore, it has now been generally agreed that clothing is the symbol of one's personality and social status.
However, little attention has so far been given to these approaches in Korea, and this research is aimed to develop social and psychological approaches to clothing research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women's preference in clothing design and their personalities, to offer valuable information to the clothing students and clothing designers, and to promote further study in these fields.
2. Hypotheses
The following hypothese were set up in undertaking the research:
A. The personalities of those who like womanly design are feminine, and who like masculine design are manly.
B. There is close relationship between color preference and personality.
C. There is relationship between texture preference and personality.
3. Methods and procedures
A. Sample
200woman students from universities in Seoul were selected and tested.
B. Tool
(1) Personality inventory test; General activity, dominance, emotional stability, impulsiveness, masculinity, objectivity, reflectiveness and sociability were tested with Jung Bumo's Personality Inventory Test sheets.
(2) Design preference test; A questionnaire with 20 items based on the theory that design is defined as arrangement of lines, shapes, colors and testures, was given to each student.
(3) Color preference test; 13 colors form Mansel's Color System were selected and shown to the students.
C. Duration and methods of tests
Tests were given in the clear morning at the classroom during the period of May 20 to June 20, 1974.
The Personality Inventory Test and the questionnaire were given to each student at the same time. Finishing the former, 13 colors were shown for 20 minutes, then they filled up the latter.
D. Treatment of the test data
The personality inventory tests were scored along the direction, and the questionnaire answers were checked and grouped. And these two data were computerized to get the interrelationship.
4. Results
A. Those like curved line, dressy style, pretty, bright and soft texture, and small print of flowers belong to feminine personality eracket. On the other hand, those like straight line, casual style and rough texture without any print belong to manly personality bracket.
B. Those like warm colors, e. g. red, are feminine, humane, romantic, active and subjective, and who like cool colors, e.g. blue and green, are manly, bold, reasonable, prudent and objective.
C. Those like similar color combination are self-restraint, and different color combination are much impulsive. In addition, those like to wear one or two preferred color clothes are much impulsive, and those who select clothes form wide range of variety have self-restraint personality.
D. In selecting cloth fabrics, those who pay attention first to fabrics, have high emotional stability, and first to the color are not emotionally stabilized and not sociable.
E. Those who try to represent their individuality in design are usually much impulsive, active and less prudents, and on the contrary those like common design are highly self-restraint, inactive and prudent.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