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석만-
dc.contributor.author김승신-
dc.creator김승신-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46Z-
dc.date.issued1965-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9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9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904-
dc.description.abstract1. 非 Jon性 界面活性劑를 混合使用할 경우에 界面活性劑의 濃度는 生成되는 製品의 여러 境遇에 따라 달러지겠지만 乳化의 狀態만을 좋게 하기 爲해서라면 2%까지도 좋은 乳化狀態를 만들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界面活性劑의 濃度가 줄어들면 粘度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乳劑의 粘度 및 여러 條件이 달라지면 界面活性劑의 濃度도 달라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2. Stearic acid 에 anion 性 活性劑 만을 使用했을 때는 Stearic acid 의 結晶이 折出하고 非 Jon 性 界面活性劑를 單味로 使用했을 경우에는 Stearic acid 의 結晶의 折出이 anion 性 活性劑를 使用했을 때 처럼 나타나지 않으며 粒子度도 非 Jon性 界面活性劑를 使用했을 때가 粒子의 크기가 작음을 볼수 있었다. 3. anion 性 活性劑와 非 Jon 性 活性劑를 混用할 경우에는 乳劑의 粒子度는 매우 均一한 便이었으며 anion 性 活性劑나 非 Jon 性 活性劑를 各? 單味로 使用하였을 때보다는 顯著하게 粒子가 均一함을 볼수 있었다. 그러므로 Vanishing Cream 에서는 anion 性 活性劑와 非 Jon 性 活性劑를 混用하여 使用함이 좋을것이라고 생각되어진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目次 = 0 Ⅰ. 緖論 = 1 Ⅱ. 本論 = 5 A. 緖論 = 5 B. 實驗內容 = 10 C. 實驗方法 = 12 1. 主藥 = 12 2. 實驗方法 = 13 D. 實驗結果 = 19 Ⅲ. 考察 = 27 Ⅳ. 結論(초록으로 간주하여 구축) = 34 參考文獻 = 3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1220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非이온性 界面活性劑의 HLB와 이온性 界面活性劑의 關係-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3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약학과-
dc.date.awarded196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약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