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0 Download: 0

정신질환자를 위한 집단음악치료의 치료적 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정신질환자를 위한 집단음악치료의 치료적 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herapeutic Factors of Group Music Therapy for Mentally-Disordered People : concentered on case study
Authors
강민정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The application of group therapy in mental therapy today means effective group intervention or group activity and so on used for avariety of purposes of behavior-correcting programs, performing the training of social skills, recreation, job training and the like rather than classical group therapy through analytic or insight-oriented approach like the past. Such method of group intervention enables mentally-disordered people to rehabilitate themselves in their social functions or in their jobs more effectively than the approaches to therapy applied individually. Group music therapy is being performed as an effective method of therapy of satisfying personal and social needs they lack and restoring their sol f-images damaged. This study herewith is aimed at investigating through twelve therapeutic factors asserted by Irvan Yalom the effects that group musical therapy which was performed with the group of mentally-disordered people in day-care center as an object has on the therapeutic factors of group therapy, and proving the utility as more effective program in day-care center for mentally-disordered people by verifying the suitabi1ity and the validity of group music therapy. Two or three mentally-disordered people in each of male and female were selected from day-care center of the neuropsychiatric department of a college hospital of one place located in Seoul and the sessions of twenty times were progressed once or twice a week, and the sessions of twenty times were divided into four stages by five times and were organized as the activities of treating different subjects and the subjects established are the four factors which a therapist selected among Irvan Yalom's twelve therapeutic factors in group mental therapy, that is, group-cohesiveness, self-understanding, interpersonal relations, and instillation of hope.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been analyzed with the division into the two part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arts, and the quantitative analysis evaluated each score change after the evaluation before and after the fact with the measures of group-cohesiveness (SunhwaKang,1994), self-cognition (Chihye Kim,1999), interpersonal relations (Chunghee Kim,1992), and the methods of coping with stress (ChungheeKim,1995) in order to explore the effects of musical intervention on the therapeutic factors related with each therapeutic phase. The qualitative analysis analyzed the expressions before and after musical intervention in patients' verbal expressions related to the therapeutic factor of each stage through analyzing each session by each therapeutic stage. In the findings, each object patient showed his improvement in the evaluating scores for group-cohesiveness, self-understanding, interpersonal relations, and instillation of hope and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analysis indicated that patients were positively changed after musical intervention in their verbal expressions related to therapeutic factors. Patients could be provided with the opportunity of associating their own unadaptive behavior with their own behavior out of musical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that they got the insight for their own behavior patterns they perform in the life with others in musical environment. Such processes could help the adaptation to environmental changes by sharing the consciousness for the effects that their own behavior and cognition have on their living adapting themselves to circumstances. As a result, the activity of group music therapy had an effect on patients recognizing the possibi1ity not as unadaptive members in a society but as members with adaptability to it, and such change of recogni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rapeutic factors. Thus, in this study, as one approach of group mental therapy, the suitability and the validity of group music therapy were verified by confirming the effects for positive changes the activity of group music therapy has on therapeutic factors, and I could prove the utility as more effective program of mentally-disordered people in day-care center. ;오늘날 정신치료에 있어서의 집단치료의 적용은 과거처럼 분석적 또는 통찰 지향적 접근을 통한 고전적인 집단치료라기 보다는 행동수정 프로그램, 사회기술 훈련의 실시, 레크리에이션, 직업훈련 등의 여러 다양한 목적에 사용되는 효과적인 집단개입 또는 집단활동 둥을 의미한다. 이러한 집단적인 개입방식은 치료접근 방법들이 개인적으로 적용되는 것보다 더 효과적으로 정신질환자들을 사회 기능적으로 또는 직업적으로 재활하게 할 수 있다. 이들에게 결핍된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필요를 채워주고 그들의 손상된 자아상을 회복시켜 주는 효과 적인 치료 방법으로서 집단음악치료가 시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낮병원 정신질환자 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한 집단음악치료가 집단치료의 치료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Yalom이 주장한 12가지 치료적 요인을 통해 알아보고, 집단음악치료의 적절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여, 정신질환자들을 위한 낮병원에서의 보다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서의 효용성을 입증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소재 대학병원 신경정신과 낮병원의 남녀 각 2명, 3명의 정신질환자들을 선정하여 주1-2회로20회의 세션을 진행하였고, 20회 세션을 5회씩 4단계로 나누어 각각 다른 주제를 다루는 활동으로 구성하였으며 설정된 주제는 Yalom(1985)의 집단정신치료에서의 12가지 치료적요인 중 치료자가 선별한 4개의 요인, 집단응집력, 자기이해, 대인관계, 희망의 고취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양적·질적 두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양적분석은 각 치료적 단계와 관련지어지는 치료적 요인에 대한 음악적 개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집단응집력 척도(강순화,1994), 자기인식 척도(김지혜,1999), 대인관계 척도(김정희,199a),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김정희,1995)로서 사전과 사후에 평가한 다음 각각의 점수변화를 평가하였다. 질적분석은 각 치료 단계별로 매 세션 분석을 통해 각 단계의 치료적 요인과 관련한 환자의 언의적 표현에 있어 음악적 개입이전과 음악적 개입이후의 표현을 분석하여 그 변화를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에서는 각 대상환자들은 집단응집력, 자기이해, 대인관계, 희망의 고취에 대한 평가점수에서 향상을 보였으며 질적 분석결과에서는 환자들이 치료적 요인과 관련된 언어적 표현에서 음악적 개입 후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환자들은 음악적 환경 내에서의 다른 사람들과의 생활 속에서 행하는 자신의 행동패턴에 대한 통찰력을 얻음과 동시에 자신의 부적응적 행동을 음악적 환경 밖에서의 자신의 행동과 함께 연관지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들은 환자 자신의 행동과 인식이 자신이 환경에 적응하고 생활하는데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식을 나눔으로써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을 도울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집단음악치료활동은 환자가 사회에서의 부적응적 구성원이 아닌 적응의 가능성을 가진 구성원으로서 가능성을 인식하는데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치료적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집단정신치료의 하나의 접근으로서 집단음악치료활동이 치료적 요인에 미치는 긍정적 변화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하여 집단음악치료의 적절성과 타당성이 검증되었으며, 정신질환자의 낮병원에서의 보다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서의 효용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