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2 Download: 0

우리나라 토기의 기하학적 문양 연구

Title
우리나라 토기의 기하학적 문양 연구
Authors
황영옥
Issue Date
197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신석기시대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한 우리나라의 토기는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를 거쳐 고려 초까지 발전하였다. 그러나 토기가 가장 발달하였던 때는 통일신라시대였고 고려시대에는 토기가 만들어지기는 하였으나 자기가 주류를 이루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신석기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까지의 토기중 기하학적인 문양만을 다루었다. 고대 우리의 선인들이 만든 토기에 간단하나마 문양을 넣기 시작한 것은 공간에 대한 두려움과 축술적인 면과 인간은 본능적으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마음이 복합되어 문양이 시문되어진것 같다. 신석기시대 토기에 시문된 각종의 고굴한 기하학적인 문양이 청동기시대를 거쳐 삼국시대에 그대로 계승되기도 하고 다른 문양이 생기게도 되었다. 이러한 토기들은 구장이나 고□에서 출토된 귀물에서 찾아볼 수 있겠다. 그러나 시대별, 지역별로 선정된 자료의 수량이 일정치 않아 동등한 위치에서 비교할 수 없는 난점이 있어 토기에 나타난 문양들을 문양의 소재별로 표현양식으로 또 그 문양이 무엇을 의미하고 있는가를 밝힐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밝혀보았다. 1. 파상문 하늘만을 의존하며 농사를 짓던 농민들이 가뭄 속에서 비를 기다리는 간절한 마음을 표현한 것 같은 이 문양은 삼국시대의 토기에 다양한 형태로 가장 많이 시문된 문양이다. 2. 침엽문 풍요와 다산의 의미가 포함된 것 같은 이 침엽문은 흡사 침엽수의 잎처럼 바늘모양의 가는 선이 중심선에서 양쪽으로 뻗어있다. 3. 점선문 여러 개의 점이 모여 선을 연상하게 되는 이 문양은 선보다는 나약함이 서려있다. 대담한 선을 긋기보다는 수없는 망설임의 표현인지도 모른다. 4. 거치문 산을 상징한 것도 같고, 톱날을 연상하게 하는 이 문양에서는 강인한 남성의 기백을 보는것 같다. 거치문은 신라인들이 즐겨 쓰던 문양이다. 5. 선문 신석기시대에 많이 애용되었던 즐문, 여러 개의 작은 선이 평행으로 운집되어있는 단선열문, 토기의 몸을 삥 돌린 횡대문을 모두 선문으로 볼 수 있겠다. 6. 원문 그린무늬가 아닌 속이 빈 갈대같은 것으로 찍은 원문은 완전, 풍만, 원만의 뜻을 내포하고 있는것 같다. 7. 반원점문 콤파스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반바퀴만 돌린 이 문양은 점을 중심으로 한 겹 또는 두 겹의 반원이 시문되어 화려한 느낌을 주며 신라인들의 생활이 화려했음을 암시해 주고 있다. 8. 원점문 반원점문처럼 반만 돌린 것이 아니라 한바퀴 다 돌린 것과 가운데 작은 원이 들어있는 동심원문까지를 포함시켰는데 이 문양은 태양을 상징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9. 망상문 어부들이 만선을 기대하며 고기를 잡을 때에 필요한 그물의 문양을 토기에 넣은 것은 풍어를 기다리는 어부들의 간절한 마음을 그린 것 같다. 10. 삼각점문 원하는 형태로 나무를 깍아 만든 후 나란히 찍기도 하고 붙여서 마름모처럼 만들어 찍기도 하였다. 11. 영락문 신라시대에 화장한 사람의 뼈를 담았던 골호에 주로 시문된 갓끈처럼 주렁주렁 달린 문양을 말한다. 12. 물방울 문 금방이라도 물방울이 뚝뚝 떨어질 것 같은 문양이다. 13. 바구니문 바구리를 짠 무늬 같기도 하고 머리를 땋은것 같기도 한 특이한 무늬를 말한다. 이러한 문양들이 하나씩 시문되어진 것도 있고 여러 가지 문양이 하나의 토기 표면에 같이 시문되어진 경우도 있으나 특히 잘 복합되어 하나의 문양을 이루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는 파상문과 횡대문과의 복합, 거치문과 원점문 또는 반원점과의 복합된 문양이 아름답게 시문되어 있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토기에 시문되어져 있는 기하학적 문양에서 우리의 선인들의 미적인 조형 감상이 얼마나 예민했었는가를 느끼게 한다. 이 작은 문양의 분석이 현대적인 조형 활동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The pottery which had been made from the New Stone Age to Sam-kuk Sidae (the Age of Kokuryo, Baikje, and Shinra Dynasty), and Tong-il Shinra Sidae (the Age of Unified Shinra), was developed till the early beginning of Koryo Dynasty. The pottery, however, had its intensive pitch of development in the Tong-il Shinra Sidae contrasting Koryo came to emphasize generally china than the pottery. Here I am interested in the pottery of those ages, and studied geometrical design of pottery mostly between the New Stone Age and the Tong-il Shinra Sidae for the paper. It is not sure why the ancients began to adorn the decorative designs on thc. earthen vessels, though so simple, but they needed to get rid of being afraid of empty space, or might do for their simple exorcistic religion, or only in pursuit of human beauty by instinct,. The various geometrical design patterns found in the New Stone Age were succeeded to Samkuk Sidae with the purely same patterns or cultivated the new different patterns. While these old vessels have been found in the old graves or the tombs, which are able to separate only the ages and the district. Yet, the problem is that they cannot be distinguished from the types of the patterns on the same position at the same time due to their irregular quantity of the vessels found. Such difficulty made me concenturate only the quality of pattern, the types of variegated pattern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design pattern. 1. Wave Design Pattern It is the fervent expression of the peasants who were longing for the rain while the long draught. This design pattern can be easily seen among thc Sam-Kul Sidae potteries. 2. Leaf Shaped Design Pattern The leaf pattern which stands for abundance and productivity resembled the sharp edgoe of leaf like the end of a needle that, were spread to the both sides of the centre line. 3. Dotted Line Pattern A lot of dots gathered remind the line of the design pattern which implies sorrowful effeminacy. The expression might be not so much the bold drawing of line as the endless hesitation. 4. Lacerated Design Pattern These are the symbols of the top of the mountains looked like the saws. The pattern which gives the feeling of strong musculine spirit was very popular among the Shinra people. 5. Line Design Pattern The New Stone Age people enjoyed this design pattern whose a lot of short lines grouped to be parallel just like a comb, and especially the design pattern were formed by the lines round the vessel. 6. Circle Design Pattern The pattern not drawn by hand but, printed with something round like the cross-section of a reed. Circle may imply 'perfect', 'abundance', or 'generosity'. 7. Dot in Half-Circle Design Pattern Half Circle Pattern with a dot in it has one or two circle lines showing gorgeous symbols. We can tell how Shina people lived gorgeously seeing this. 8. Dot in Circle Design Pattern Like Half-Circle Pattern, this Circle Pattern has a dot in a complete circle. We can easily guess the circle that stands for the sun. 9. Net, Shaped Design Pattern It is the description cf net whose the fishermen were anxious for the rich crop of fish. 10. Dot in the Triangle Design Pattern Being printed with wooden triangle made as they wished, they put them together side by side, or made some different, patterns transformed. 11. Hat Lace Design Pattern The patterns are simply found on the surface of the potteries for human bore cremated in the age of Tong-il Shinra. The shape of pattern look like the lace with beads. 12. Drop Design Pattern It is the form of water drop gotten the idea of drop falling at the eaves of the roof. 13. Basket Design Pattern This is tho special pattern which remihds basket or twisted hair. These, patterns were used singly or mixedly with other patterns. Take, the combination of Wave Pattern and Side Line Pattern, or the mixture of Lacerated Pattern with Dot in Circle Pattern, or Dot, in Half-Circle pattern, for instance, were adorned so beautifully on the vesseles. We are easily able to recognize that, our ancestors were the talented people by nature on the beauty of moulding arts. I wish I could devote myself to dedicate the development of modern moulding activities with my analysis of the design patter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