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희-
dc.contributor.author이아라-
dc.creator이아라-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32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32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7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1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729-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무용예술의 다양한 연구 방법론 중 하나인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무용예술과 여성과의 관계를 조명하고 한국창작춤에서 나타나는 페미니즘 성향을 강미리 안무의 「류(柳)- 생명의 나무」, 이은주 안무의 「달을 안고 서는 여자」, 김현자 안무의 「매창-매화, 창에 어리다」, 김매자 안무의 「느린 달(Full Moon)」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20세기말부터 21세기인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창작춤은 국제화 세계화에 따른 국제교류 활성화, 현대춤과 장르의 고유성이 융합되는 탈장르화, 동시대를 대표할 수 있는 개인의 독창성으로 시대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획득하기 위한 개인의 정체성 탐구에 주력하는 경향 등과 같은 특징을 보이며 사회ㆍ문화의 빠른 변화에 발맞춰 가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한국창작춤은 사회ㆍ문화현상을 바라보는 하나의 관점 중 하나인 페미니즘 인식을 반영한 춤작업이 꾸준히 이루어져왔다. 여기서 페미니즘이란 한마디로 여성주의, 여성해방운동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페미니즘은 정치ㆍ사회적인 운동을 초월한 하나의 문화운동으로 사회제도 및 인간생활의 제반문제와 기저에 깔려 있는 남성중심의 이데올로기에 이의를 제기하고 부당성을 파헤치며, 오랜 세월동안 남성의 부속물로 취급되어 온 여성의 잃어버린 주체성을 찾고 여성에 대한 사회의 고정관념을 탈피하여 왜곡된 여성성을 되찾고자 하는 움직임이다. 페미니즘은 자유주의, 마르크스주의, 사회주의, 급진주의, 정신분석학적,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등 시대적 흐름을 타고 다양한 사상적 특성을 가지고 발전되었다. 시대의 변화에 의해 남성 주도적 사회배경에 대한 여성주의적 비판이 서서히 자생됨에 따라 페미니스트 무용가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무용수로서 수동적 역할만 담당해왔던 여성들을 주체자로서 새롭게 인식하는 의식의 전환을 출발점으로 하여 여성무용수나 안무자가 춤작업을 통해 여성자신의 신체를 통해 자신들의 독특한 감정과 사상을 여성 특유의 표현법으로 승화시키고자 한다. 한국창작춤에서 페미니즘 작품을 보이는 많은 안무가가 있지만 1990년대 작품으로 1990년대 무용제에 출품된 안무작에서 페미니즘 성향을 보인 작품중 대상이나 안무상을 수상하여 작품성을 인정받은 작품으로 선정하였고 2000년대 작품으로는 한국창작춤에서 페미니즘적 성향이 나타나기 시작한 80년대부터 변화를 함께하면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페미니즘 성향의 작품을 5개 이상 공연하고 이 장르에서 활동경력의 년수가 오래되며, 10회 이상 개인 공연과 최근까지 활발하게 활동을 하고 있는 무용가의 공연을 선정하였다. 따라서 1990년대 작품인 강미리의 「류(柳)- 생명의 나무」, 이은주의 「달을 안고 서는 여자」와 2000년대 작품인 김현자의 「梅窓매창- 매화, 창에 어리다」, 김매자의 「느린 달(Full Moon)」을 선정하여 프로그램, 평문과 같은 관련서적을 통해 한국창작춤에서 나타나는 페미니즘 요소와 특성을 살펴보면서 페미니즘적 성향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류(柳)- 생명의 나무」는 버드나무가 갖는 생명성을 한국의 여성성과 결부시킨 안무자의 작업으로 우리 삶의 현장 속에서 재평가 받고 있는 생명의 주체로서 여성적 가치관을 표현하였다. 「달을 안고 서는 여자」는 여성의 자아인식과 교육을 통한 여성의 해방을 말하는 자유주의 페미니즘을 기초로 하여 한국여인들의 질곡의 삶을 깨뜨리고 자신들의 의지에 따라 당당하게 살아가는 모습을 그려 강인한 여성상을 나타내었다. 「梅窓매창- 매화, 창에 어리다」는 고난과 앓음을 통해 성숙되는 인간, 여성의 모습을 주제로 하여 바람과 찬바람을 견디며 피어난다는 매화의 이미지를 통해 여성억압을 거부하고 벗어나 여성의 권리와 존엄성을 획득한다는 '주체자로서의 여성'으로서 비춰지며 여성의 몸, 여성성을 보여주었고 「느린 달(Full Moon)」은 우리 춤 ‘강강술래’의 원형을 그리는 춤을 모티브로 민족, 종교, 사회적 갈등으로 찢겨진 현대사회를 세상을 치유, 구원하는 힘을 가진 여성(모성)을 움직임을 통해서 '자기반영'을 보여주었고 이는 주체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여성임을 확인시켜주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그 결과, 한국창작춤의 페미니즘 작품에서 보여주는 페미니즘 성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와 주관성에 대한 새로운 입장'과 '자기 반영성'이 투영되어 가부장제도의 남성적 시각이 아닌 여성의 시각에서 여성을 재해석하고 미래의 여성상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 둘째, 작품에서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역할은 여성이고 사회의 주체가 됨은 내포한다는 점, 셋째, 여성을 지탱하고 있는 감정과 사상이 여성의 신체를 통해 발산되어지고 공유와 소통의 화두로 향하는 방향성을 제시한 점, 넷째, 여성/남성 무용수의 적절하고 균형 있는 안무배열로 남녀의 존엄이 함께 확보되는 평등에 대한 형태라는 점이다. 본 논문은 한국창작춤에서의 페미니즘적 작품을 연구함으로써 여성을 수동적이고 가부장적 제도에 의해 만들어진 나약한 존재로서의 여성이 아닌, 21세기를 이끌어갈 대안적 여성상으로 구현하고 있으며, 여성주의가 여성의 정체성에 대한 탐구를 통한 인간해방이라 할 때 신체를 매개로 한 무용예술과 여성의 수가 압도적으로 우세한 무용계의 현실을 봤을 때 무용전공인들의 여성의식의 함양과 질적 성장이 부여된다면 무용예술은 어느 타 예술보다 21세기 여성문화예술로서 주도적인 역할을 확립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이 무용예술의 창조적 작업의 자료로써 기여하고자 하는 바이다.;The paper aims at shedding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art and woman by applying feminism, which is one of varying research methods for dance art, and investigating the property of feminism that shows in Korean creative dances, centering on 「柳Ryu-Tree of Vitality 」choreographed by Kang Mi-ri, 「A Lady Embraced a Moon」choreographed by Lee Eun-ju 「梅窓 Maechang- Plum Blossom on the Window」choreographed by Kim hyun-ja and 「Full Moon」choreographed by Kim Mae-ja. Korean creative dance from the end of the 20th century to the 21st century keeps pace with rapid social·cultural changes, presenting characteristics such as the revitalization of international exchanges in accordance with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transgression of genres in which modern dance and each genre’s property are integrated, and a tendency that concentrates on inquiry into individual identity to achieve the universality and specialty of the time based on individual uniqueness. In such a reality, Korean creative dance has been continuously creating dance works, reflecting the recognition of feminism, which is one of the viewpoints to see social·cultural phenomenon. Feminism can be shortly defined as women’s liberation movement. As feminism is one of cultural movements that transcends political·social movements, it raises an objection to problems in social system and human life and to male-dominated ideology, disclosing their unjustness. In addition, it is a movement to seek the lost identity of women who were dealt with as an adjunct of men for a long time and to recover the distorted femininity by deviating from the fixed idea of society against women. Following the flow of the times, feminism has developed absorbing various ide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liberalism, Marxism, socialism, radicalism, psychoanalytic feminism, post-modern feminism, and so on. As feminist criticism for the male-dominated social background has grown naturally and slowly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feminist dancers have started to appear. Female dancers or choreographers try to sublimate their special emotion and ideology with their unique expression though woman’s body, starting from the change of awareness that newly recognizes a woman who played only a passive role as the subject of dance. The following are the properties of feminism showing feminist dances in Korean creative dance. First, the researched performances re-analyzed patriarchism for woman not from the masculine view but from the feminine view, projecting ‘a new position for self and subjectivity’ and ‘self-reflection’. Second, the main roles of the performances were led by women and women were social subjects there. Third, the emotions and ideologies backing women were expressed through the body of a woman and the performances suggested a direction toward community and communication. Fourth, the performances show equality by securing the dignity of a man and a woman through the proper and balanced choreography arrangement between male and female dances. As the research investigates feminist works in Korean creaThe paper aims at shedding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art and woman by applying feminism, which is one of varying research methods for dance art, and investigating the property of feminism that shows in Korean creative dances, centering on 「柳Ryu-Tree of Vitality 」choreographed by Kang Mi-ri, 「A Lady Embraced a Moon」choreographed by Lee Eun-ju 「梅窓 Maechang- Plum Blossom on the Window」choreographed by Kim hyun-ja and 「Full Moon」choreographed by Kim Mae-ja. Korean creative dance from the end of the 20th century to the 21st century keeps pace with rapid social·cultural changes, presenting characteristics such as the revitalization of international exchanges in accordance with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transgression of genres in which modern dance and each genre’s property are integrated, and a tendency that concentrates on inquiry into individual identity to achieve the universality and specialty of the time based on individual uniqueness. In such a reality, Korean creative dance has been continuously creating dance works, reflecting the recognition of feminism, which is one of the viewpoints to see social·cultural phenomenon. Feminism can be shortly defined as women’s liberation movement. As feminism is one of cultural movements that transcends political·social movements, it raises an objection to problems in social system and human life and to male-dominated ideology, disclosing their unjustness. In addition, it is a movement to seek the lost identity of women who were dealt with as an adjunct of men for a long time and to recover the distorted femininity by deviating from the fixed idea of society against women. Following the flow of the times, feminism has developed absorbing various ide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liberalism, Marxism, socialism, radicalism, psychoanalytic feminism, post-modern feminism, and so on. As feminist criticism for the male-dominated social background has grown naturally and slowly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feminist dancers have started to appear. Female dancers or choreographers try to sublimate their special emotion and ideology with their unique expression though woman’s body, starting from the change of awareness that newly recognizes a woman who played only a passive role as the subject of dance. The following are the properties of feminism showing feminist dances in Korean creative dance. First, the researched performances re-analyzed patriarchism for woman not from the masculine view but from the feminine view, projecting ‘a new position for self and subjectivity’ and ‘self-reflection’. Second, the main roles of the performances were led by women and women were social subjects there. Third, the emotions and ideologies backing women were expressed through the body of a woman and the performances suggested a direction toward community and communication. Fourth, the performances show equality by securing the dignity of a man and a woman through the proper and balanced choreography arrangement between male and female dances. As the research investigates feminist works in Korean creative dance from the viewpoint of feminism, it embodies an alternative femininity who will lead the 21st century, not as a passive and weak being who is made by patriarchism. When thinking that feminism is human liberation through an inquiry into the identity of a woman and seeing the reality of dance field which uses the body of a human as a medium and the overwhelmingly many female dancers in the dance field, if dancers are given the enhanced awareness of woman and qualitative growth, dance art will secure a leading role in woman culture art of the 21stcentury. Thus, it is expected that the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creative work of dance art as a fundamental material.tive dance from the viewpoint of feminism, it embodies an alternative femininity who will lead the 21st century, not as a passive and weak being who is made by patriarchism. When thinking that feminism is human liberation through an inquiry into the identity of a woman and seeing the reality of dance field which uses the body of a human as a medium and the overwhelmingly many female dancers in the dance field, if dancers are given the enhanced awareness of woman and qualitative growth, dance art will secure a leading role in woman culture art of the 21stcentury. Thus, it is expected that the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creative work of dance art as a fundamental materia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방법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페미니즘의 개념 및 유형 = 6 B. 한국창작춤의 개념과 시대별 전개 양상 = 15 Ⅲ. 한국창작춤에서의 페미니즘 흐름 = 21 A. 1990년대까지 한국창작춤에서의 페미니즘 = 21 B. 2000년대 한국창작춤에서의 페미니즘 = 29 Ⅳ. 페미니즘 관점을 통한 한국창작춤 연구 = 37 A. 류(柳) - 생명의 나무 = 37 1. 주제적인 측면 = 39 2. 움직임적인 측면 = 40 3. 시청각적인 측면 = 42 B. 달을 안고 서는 여자 = 43 1. 주제적인 측면 = 44 2. 움직임적인 측면 = 45 3. 시청각적인 측면 = 47 C. 梅窓매창- 매화, 창에 어리다 = 51 1. 주제적인 측면 = 53 2. 움직임적인 측면 = 55 3. 시청각적인 측면 = 59 D. 느린 달 (Full Moon) = 60 1. 주제적인 측면 = 62 2. 움직임적인 측면 = 64 3. 시청각적인 측면 = 67 Ⅴ. 결론 = 73 참고문헌 = 77 Abstract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997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창작춤에 나타난 페미니즘 성향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feminism propensity in Korean creative dance-
dc.creator.othernameLee, Ah-Ra-
dc.format.pageⅵ, 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