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8 Download: 0

중학교 미술과 지도에 있어서의 구성과 창의성에 관한 연구

Title
중학교 미술과 지도에 있어서의 구성과 창의성에 관한 연구
Authors
최희자
Issue Date
197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행 미술교육에서는 과거와 같은 기술이나 기능 위주 교육이 아닌 학생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조형능력을 어떠한 방법을 통하여 발전 시킬수 있는 가를 중요시 하고 있다. 즉 얼마만큼 사실적 묘사를 하였느냐의 문제보다 학생이 가지고 있는 사상이나 감정을 충분히 발휘하여 창의적 표현을 시도하는데 그 중요성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중학교 미술교육 과정을 통하여서 볼때 학생들의 창으력을 일깨워 주고자 하는데 있어 묘사위주의 학습 보다는 구성학습을 통하여 구성미의 요소오 ㅏ원리를 파악하게 하고 이것을 실제활동으로서 경험하게 함으로서 보다 다양하고 새로운 작품을 전개해 갈것임을 실험을 통하여 발견 하고자 했다. 여기에서 여중학생 1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은 구성학습을 비교집단은 묘사위주의 학습을 실시한 결과 실험반 학생들이 비교반 학생들에 비해 작품의 표현에서 상상력이나 독창력이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구성적 미술학습이 묘사학습 보다 창의성 육성에 있어 유효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밝혀 주고 있는것이다.;The education of the fine arts today attacihes greater importance to the method of devaloping the formastive abilities of individual student than the conventional thought of giving the primacy to cultivating talents or skills. In other words, emohasis will be focused on making the atudents display their intrinsic thought and feeling to the full in their peculiar and original way rather than demanding their realistic descriptions. The present thesis aims at approaching to a new method of cultivating students their creative productivities through the reneated experiences by way of working experiments. This may be doue by promoting them a clear concept of the essertials and principles of composition-beauty through drills and practices of composition rather than the traditional descriptive approach. No other way seeme to me more ideal than this in fostering productivities and creativenese for the students through their three-year course of arts curricula in junior high school According to my collaborated study it is resulted that studerts grouned into the exprimental-class showed considerably higher imaginativeness and creativity in their expressions of works than those sorted as the comparative-class. This experiment was done grounins my students into two conducting composition drills to the experimental-class while descriptive method to the students in the comparative-class. My students were all girls in the ninth grade. This study clearly shows the surprising effectivonoss and prodominancy of the composition approach to the doscriptive method in cultivating creativity and origina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