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1 Download: 0

한국산 一蹴 海綿類 (Subclass Ceractinomorpha)의 분류 및 분포에 관하여

Title
한국산 一蹴 海綿類 (Subclass Ceractinomorpha)의 분류 및 분포에 관하여
Other Titles
On the Classification and the dis ribution of ceractinomorpha from korea
Authors
양정인.
Issue Date
1982
Department/Major
대학원 생물학과
Keywords
한국산서식지해면류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1. The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the distribution of Ceractinomorpha from Korea was done with the materials collected from l4 localities in the coastal seas and islands of South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May, 1969 to December 1981. 2. The specimens were preserved in 70% alcohol or dried in the shadow. To classify the materials, they were dissected with a razor blade and dissolved in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In order to examine spicules and skeletal framework, temporary preparation was made. The principal criteria to identify Ceractinomorpha are external characteristics, skeletal characteristics, consistency, pigmentation, features of the surface, locality and date. 3. The identified were classified as 35 species. They belong to 15 genera, 10 families, and three orders. Of them 13 species were found to be new to Korean fauna. They are as follows: Mycale adhaerens nullarosette, Rhaphidophlus lobatus horrida, Myxilla rosacea, Myxilla compressa, Haliclona densaspicula, Haliclona surrufa, Haliclona robustapicula, Haliclona tenuispiculata, Haliclona loosanoffi, Adocia cinera, Adocia semitubulosa, Gellius rudis and Callyspongia patulus. 4. Among the identified four species belong to Halichondrida, 15 species to Poecilosclerida and l6 species to Haplosclerida. 5. Four species (11.4%) were found in Sea of Japan, nine species (25.7%) in Yellow Sea and 35 species (100%) in South Sea. 6. The recorded Korean Demospongians were up-to-dated to 116 species, including those found in the present study. And of them 57 species 26 genera 12 families three orders are Ceractinomorpha.;1. 본인은 한국산 일축해면류를 분류하기 위하여 남한의 14개 지역 ( 작약도, 보길도, 노화도, 완도, 청산도, 거문도, 한림, 서귀포, 상주리, 미조리, 윤돌섬, 미포, 구룡포, 거진 ) 에서 1981년 5월부터 1981년 12월까지 직접 채집한 재료와 1969년부터 1981년 1월까지 채집되어 생물학과에 보관되어 있는 재료들을 사용하였다. 2. 동정 분류하기 위하여, 70% 알코올에 액침시키거나 또는 건조표본으로 만들어 보관하였다. 먼저 외부의 형태와 특징을 관찰하고, 해면의 일부분을 임의로 절편하여 클로락스에 녹인다음 임시프레파라트를 만들어 골편과 골격구조를 관찰하였다. 3. 동정 분류한 결과, 일축해면류는 모두 3목 10과 15속 35종이고 이중 13종은 한국미기록종으로서 다음과 같다. 유착깃해면 (Mycale adhaerens nullarosette), 거친엽침해면 (Rhaphidophlus lobatus horrida), 장미끈적해면 (Myxilla rosacea), 덜렁끈적해면 (Myxilla compressa), 빽빽침보라해면 (Haliclona densaspicula), 빨강보라해면 (Haliclona surrufa), 가는침보라해면 (Haliclona tenuispiculata), 루사노프보라해면 (Haliclona loosanoffi), 넓적침보라해면 (Haliclona robustapicula), 거친솜해면 (Gellius rudis), 재빛아도시해면 (Adocia cinera), 반관아도시해면 (Adocia semitubulosa), 펼친예쁜이해면 (Callyspongia patulus)이다 4. 동정된 35종을 목별로 보면 해변해면목(Halichondrida)이 4종 ( 11.4% ), 다골해면목 ( Poecilosclerida ) 이 15종 ( 42.9% ) 이며, 단골해면목 ( Haplosclerida ) 은 16종 ( 45.7% ) 으로서 가장 많았다. 5. 삼해역별 분포를 보면, 남해연안이 35종 ( 100% ), 황해연안이 9종 ( 25.7% ), 동해연안이 4종 ( 11.4% ) 으로서, 남해연안에 가장 많은 종이 분포하였다. 6. 대양별 분포를 보면, 태평양에 공통으로 분포하는 종이 9종 ( 25.7% ), 대서양에 11종 ( 31.4% ), 인도양에 7종 ( 20% ), 남극해 1종 ( 2.9% ) 이었고, 북극해와 공통인 종은 없었다. 7. 서식처는 바위에 부착하는 종이 16종 ( 45.7% ) 으로 가장 많았고, 모래진흙에 8종 ( 22.9% ), 진흙과 서관에 각각 4종 ( 11.4% ) 조개껍데기에 2종 ( 5.7% ), 그리고 따개비에 1종 ( 2.9% ) 이었다. 8. 지금까지 밝혀진 보통해면류는 모두 116종이 되며, 이중 3목 12과 26속 57종이 일축해면류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약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