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명옥-
dc.creator한명옥-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7Z-
dc.date.issued198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52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5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5235-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양주별산대놀이의 춤사위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이라고 보여지는 맞춤과 옴중춤을 중심으로 무용미학적 접근을 시도한 것이다. 지금까지 탈춤에 관한 연구는 그 대부분이 민속학적 접근이 아니면 연극학적 접근에 의한 것이었다. 탈춤에 있어서 춤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높은 데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다소간 등한시되어 왔던 것인데 탈춤의 춤사위를 연구하는 것은 탈춤을 연구하는데 있어서도 그리고 우리나라 전통무용을 연구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몫을 차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춤은 一回的이고 형체를 남기지 않는 특성을 지니고 있는데, 우리나라 탈춤의 춤사위에 관해서는 기초자료조차 정리되어있지 않은 형편이므로 우선 맞춤과 옴중춤의 舞譜를 작성하는 일이 우선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리고 양주별산대놀이의 춤사위를 분석하기에 앞서 탈춤의 기원과 산대놀이의 형성문제라든가 연극으로서의 특징, 연극적 약속에 관한 기존연구성과를 검토하는 것도 중요한 작업이 된다. 이러한 두가지 작업을 토대로하여 탈춤에서의 춤의 연극적 기능이라든가 그러한 춤 동작의 형성계기 및 춤사위 형태가 지니고 있는 의미, 그리고 動作線으로 구성되는 무용공간의 의미 등을 밝히고 나아가 양주별산대놀이의 춤사위가 지니는 예술적 가치와 한국 전통무용으로서의 특징을 살펴 본 바를 종합적으로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양주별산대놀이는 우리나라 탈춤의 일반적인 특성을 그대로 보유하고 있다. 옴니버스 스타일을 취하고 있고 극중장소와 공연장소가 일치되는데에서 시작하여 동시적 진행방식 등도 잘 활용함으로써 극적 환상에 빠지지 않고 지속적인 현실 인식을 가능케 하고 있다는 점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연극적 특성에 의해 희극적 갈등구조를 가지고서 현실을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양주별산대놀이를 비롯해 탈춤 대부분이 마당이라는 야외원형무대에서 공연되어 온 외적 제약으로 따른 양식적인 연극적 약속을 잘 지키면서 진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약속과 더불어 탈춤 나름의 극적 구조원리를 통하여 춤의 기능을 밝혀 볼 수 있다. 이러한 춤의 기능이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즉 등장인물의 성격 및 신분계층의 행동 양태를 부각시켜 주거나, 재담과 재담을 이어주는 교량적 역활을 하고, 장면의 개별적 설 및 장면 사이의 연결을 유연하게 해주는 동시에 연출적 지시로서 장면을 안내해 주거나 마무리지어주고 예시해줄 뿐만 아니라, 놀이적인 흥취감을 돋우면서 놀이적 성격을 강하게 해주고 등·퇴장의 방식으로서 활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춤의 기능은 현실인식과 더불어 공동체적 놀이성을 강화해 주면서 극중 현실에 비판적 거리를 제공해 준다. 춤사위의 형태적 특징을 먼저 깨끼춤으로서의 맞춤에서 살펴보면 ① 언제나 오른발·오른손이 동시에 동작하고 ② 기마자세로서 발모양은 거의 일자로 놓고 자세는 곧추 세우고 한다 ③ 고개짓은 봉산탈춤과 같이 고개를 많이 흔들지 않고 고개를 약간 숙인상태에서 살짝 튀기는 듯 들어준다. ④ 4拍마다 동작 하나하나를 나누어 볼 수 잇을 정도로 세분화되어 있고 4拍을 1장단으로 타령장단에 맞추어 춘다. 거드름춤으로서 옴중춤의 특징은 ① 원형무대에서 오는 사방치기 동작 ② 삼진삼퇴의 의식무 ③사방에 축원하는 팔뚝잡이 ④ 1拍에 몸안으로 감았다 2拍에 밖으로 펼쳐지는 듯 맺는다. ⑤ 깨끼춤을 항상 동반하고 ⑥ 5拍을 1장단으로 하는 염불장단에 맞추어 춘다. 양주별산대놀이의 기본춤인 깨끼춤을 출때 우선 불림을 하고 원을 그리며 도는데 이것은 사방으로 춤사위를 뿌려주는 방식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앞으로 전진하기 전에는 반드시 제자리에서 땅다짐을 하는 순서가 놓여있고, 동작의 선이 바뀔 때마다 제자리를 다지는 과정이 언제나 삽입되어 있다. 제자리에서 춘 다음 앞으로 전진해서 제자리에서 감고 다시 뒤로 풀며 나갔다 다시 전진하여 처음으로 환원하며 풀어준다. 즉 감고서는 푼다는 우리 춤의 한 원리와 통하고 있는 것이다. 이 깨끼춤을 맞춤으로 추었을때 형성되는 동작의 線을 살펴보면 우리나라 태극선 모양이 생겨나고 옴중춤을 추었을때 형성되는 동작의 線을 살펴보면 원형무대로 인하여 시선을 사방으로 분산시켜 주기 위해 동작의 반복됨과 Line에 있어서도 직선보다 곡선을 많이 그리게 된다. 무용공간에 있어서 형성되는 태극선 모양은 감고 풀리는, 돌고 돌리는 식의 원리 즉 죽음과 재생이 교차되는 양태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죽음과 재생의 반복은 자연현상의 한 원리이고 이것이 바로 동양적인 삶의 원리로 받아지는 것이기 때문에 춤에서 그렇게 받아지고 있는 것이다.양주별산대놀이는 다른 탈춤과 마찬가지로 희극성을 창조해내는 희극미를 美的 가치로 들 수 있는데 춤으로써 이러한 희극성을 더욱 강화하고 있는 것이다. 춤사위 중에서도 특히 사방치기라든가 원형적인 동작선은 보는 이나 추는 이를 막론하고 누구든지 판속에서 공동참여하고 공동으로 판을 나누어 가질 수 있게 해 주는 공동체 의식을 부여해 줌으로써 그러한 사회적 기능속에서 누구나가 더불어 흥겨워할 수 있는 축제적 성격을 보장받아 희극미를 보편화시키는 계기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발디딤에 있어서도 궁중무와 같이 線的이고 가냘프고 靜的인 면보다는 탈춤의 美는 굵고 생동적이고 역동적인 맛에 있다. 이것은 곧 민중들의 억세고 끝질기며 건강한 생활의식을 미적으로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양주별산대놀이가 어느 전통극보다 세련되거나 뛰어나다고 볼 수는 없지만 민중의 일상생활속에 자연스럽게 농축되어 그 속에 묻혀서 나온 몸짓임에 틀림없는 것이다. 이러한 탈춤의 특성이나 예술적 가치는 그대로 우리나라 민중춤의 특성이나 예술적 가치라고 말할 수 있겠다. 이러한 연구를 더욱 진행시킨다면 한국예술의 특성이나 예술적 가치를 밝힐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In this thesis, I tried to make approaches to the aesthetic aspects in dances headed for Kaekai Dance and Omjung Dance which have been believed to be the most fundamental form action in the performance of Yangju Byulsan Dae Dancing. Until now the study on Mask Dance has primarily been done on the basis of folklore or dramaturgy. On the other side, the motion study on form action was not enough to be approached in spite of it’s major function in Mask Dance. In this connection, I’d like to exaggerate that an analysis of form action in Mask Dance would be helpful for the whole study of Mask Dance as well as Korean traditional dance. A practical analysis on the form action of Kaeki and Omjung dance in Yangju Byulsan Dee dancing consist of subsidiary two jobs. Firstly, I tried to compile labanotation for Kaeki Dance and Omjung Dance seperately due to insufficient data to be a reference to the form action of Korean Mask Dance. Secondly, I investigated the origin, sources, social background of Mask Dance and the characteristics as a traditional drama, that is to say, a kind of basic and dramatic promise in the process of drama. Through jobs above mentioned, I made it clear what is the dramatic function and meaning of Mask dance, what the form action is originated from and what is the meaning of stage space constituted by the sequence of motion line. Furthermore I looked into the artistic value and the characteristics which as a Korean traditional dance "form action" originaley has. Synthesized outlin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Yangju Byulsandae Dancing retains general features which Korean Mask Dance originally keeps. In other words, it has a characteristic style such as a omnibus one. It makes it possible for us t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n the reality because the scenic place of drama is not only in accordance with one to be performed but also spontaneous developments of series are well organized. It keeps the nice progress of dramatic promises due to the external limitation that the dance is mainly performed at the round stage ("Ma-Dang") in the suburb. In these dramatic promises, I could find the function of dance as a Mask Dance. Through these promises, the function of dance, the character of the cast can be revealed and it is possible to play a role as a bridge between witty dialogue sequency and to soften the connection between one scene and another. Futhermore it is sometimes used as a way of entrance on the stage and exit while completing the end of drama as a directive production. In consequence, above function aggravate person's unified excitment from the playing and acknowledgement on the presence as well as it forward us with critical views on the presence. 2. I looked into the special features of form action which can be found in the performance of Maz and Omjung Dance. When Kaeki Dance is performed, they, in advance, say "Bullim" and go around, making a circle. This looks like that "Action" is cast to cross direction. They firstly harden the ground on the same spots. Whenever they go around, they change their motional styles. They make the shape of a circle toward body side of themselves with their form action and next rewind that shape by going forward, They repeat this form action. In other words, I found the shape of a fan with a mark of Taigeuk when two men perform Kaeki Dance as well as I found the distinguished lots of curved lines rather than straight lines from Omjung Dance because the dance is performed with a revolving motion on the round stage. From the shape of a fan with a mark of Taigeuk extruded by Kaeki Dance on the space of stage, I could perceive the principal of natural phenomena that life and death comes to cross each other. It can be also regarded as a principal of life in the dance because the principal belongs to orientalism on the life. 3. Yangju Byulsandae Dancing provide us with a comic sense as other dancings do but this aesthetic value of a comedy is more intensified than any other dancing. In addition to above 8ethetic value, "Sa Bang chiki" among lots of form action includes a social function that the players and audience can participate and a festive function that all can be delightful all together. Especially in the "foot action of Yangju Byulsandae Dancing" I could find another aesthetic value of a strong and animated sense. This is different from the value of a weak and passive sence of traditional Dancing. I can say it comes from the reason that Yanju Byulsandae dancing reflects stubborn, strongly adhesive and healthy life sense artistically. I can say that this dancing is not so refined and polished as other traditional dance, but other dance can't catch up with this natural accustomed and reinforced form action originated from public life. In consequence, the purpose of a analysis on the form action in Yangju Byulsandae Dancing is to clarify the artistic value which is showing rather outward atmosphere and which is vigorous but plai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방법 = 5 Ⅱ. 양주별산대놀이의 형성문제 = 6 A. 탈춤의 기원문제 = 6 B. 산대놀이의 형성 = 11 Ⅲ. 양주별산대놀이의 전개방식과 연극적 약속 = 14 A. 양주별산대놀이의 진행절차 = 14 B. 양주별산대놀이의 연극적 약속 = 23 1. 도입부 전개양상 = 24 2. 공연장소와 극중장소 = 25 3. 갈등구조 = 27 C. 춤의 기능 = 30 Ⅳ. 양주별산대놀이의 춤사위분석 = 39 A. 동작의 생성요인 = 39 B. 춤사위의 형태적의미 = 42 1. 맞춤 = 42 2. 옴중춤 = 46 C. 무용공간 = 50 1. 맞춤 = 51 2. 옴중춤 = 53 D. 예술적가치 = 54 Ⅴ. 결론 = 57 참고문헌 = 60 부록 = 62 영문초록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6153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양주별산대놀이 춤사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맞춤과 옴중춤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form action in Yangju Byulsandae dancing : Headed for the Maz and Omjung dance-
dc.creator.othernameHan, Myoung Ok-
dc.format.pageix, 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과-
dc.date.awarded198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