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5 Download: 0

축령산 새(Arundinella hirta)가 우점되어 있는 군집의 미분포와 종간상관

Title
축령산 새(Arundinella hirta)가 우점되어 있는 군집의 미분포와 종간상관
Authors
조은희
Issue Date
1981
Department/Major
대학원 생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축령산에서 두 지역을 택하여 우점종인 새와 아우점종인 억새, 원추리, 진퍼리새, 벌개덩굴등을 대상으로하여 미분포 분석과 종간상관 분석을 하였으며, 이같은 방법으로 여러 토양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들 요인들과 각 식물의 미분포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새는 4가지의 미분포양식을 나타내었고 지하경으로 성장하므로, 형태적요인에 의한 미분포양식이 있었으며, 이것은 군집내 아우점종이 형태적 미분포를 나타나게끔 하는데 일역을 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토양요인은 좁은지역에서도 분균질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1.6m, 3.2m폭을 지니고 불균질하게 나타난 것이 가장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새와 억새는 전체적으로 분리되어 생육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특히 20cm폭에서는 토양의 치환성칼슘 함량으로 인하여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생육하고 있다고 생각되었다. 억새와 원추리는 160cm폭에서는 공존하고 320cm폭에서는 분리되어 생육하고 있었으며, 이는 토양의 치환성칼륨 함량으로 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처럼 큰 block크기에서는 치환성칼륨만이 제한 요인이라고는 생각되지 않았다. 진퍼리새와 벌깨덩굴은 전체적으로 정상관을 나타내었으나, 그 요인은 알 수 없었다.;Within Mt. Chukryung two different herb communities dominated by Arundinella hirta were investigated using pattern and covariance analysis. By use of the same techniques correlations of soil properties with herbs were also exami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nnual increment of rhizome growth of Arundinella hirta and Miscanthus sinensis were estimated to be about 20 ㎝. 2. The dimemsion of a complete rhizome system of Arundinella hirta, Micanthus sinensis and Hemerocallis fulva were estimated to be 80-160 ㎝, 40-80 ㎝, 80 ㎝ respectively. 3. Arundinella hirta had a negatively tendency to associate with Miscanthus sinensis, especially at 20 cm scale rhizome of Arundinella hirta which was rooted up in high-level in exchangeable Ca^(++) were spatially excluded Miscanthus sinensis. 4. At 160 ㎝ scale Arundinella hirta Was associated with Hemerocallis fulva, but negatively associated at 320 ㎝ scale. 5. Molinia japonica Were most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meehenia urticifolia but causal factors were not detec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약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