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9 Download: 0

韓國産 잔디屬 植物의 分類學的 硏究

Title
韓國産 잔디屬 植物의 分類學的 硏究
Other Titles
(A) Taxonomic study on genus zoysia in korea
Authors
金貞希.
Issue Date
1982
Department/Major
대학원 생물학과
Keywords
한국산잔디식물분류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taxonomic study was to know the 4 species of Zoysia in Korea based on gross morphology, epidermis and vascular bundle of leaf blade, and pollen grain. The materials used for this study are Zoysia japonica STEUD, Z. tenuifolia TRIN., Z. sinica HANCE., Z. macrostachya FRAN. et SAV.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keys to the species of Genus Zoysia are arranged. 2. In Z. japonica and Z. sinica, plant size, stoma, microhair, macrohair, and vein prickle are variable in size and frequency at different habitats. 3. A unrecorded taxon of Zoysia in Korea collected from the coast of Wol-sung in Gyeong-Buk is considered to Z. sinica var. robusta HONDA.;잔디속(Genus Zoysia WILLD.)은 동 아시아에 자생하는 화본과 식물로 전세계에 10여종이 있다. Honda(1930)는 일본의 잔디속은 6종 3변종이며 그 중 잔디(Z. japonica STEUD.), 푸른잔디(Z. japonica var. pallida NAKAI), 갯잔디(Z. sinica HANCE)의 3종이 우리나라에 분포한다고 하였다. Nakai(1952)는 잔디(Z. japonica STEUD.), 푸른잔디(Z. japonica var. pallida NAKAI), 갯잔디(Z. sinica var. tenuis NAKAI et YAMAMOTO)의 3종이 우리나라에 분포한다고 하였다. 鄭(1955)은 잔디(Z. japonica STEUD.), 갯잔디(Z. sinica var. tenuis NAKAI et YAMAMOTO)를 도해 설명하였고, Lee(1966)는 잔디(Z. japonica STEUD.), 갯잔디(Z. sinica HANCE), 왕잔디(Z. macrostachya FR. et SAV.), 금잔디(Z. tenuifolia WILLD. et TRIN.)를 기재하고 그 중 3종을 도해 설명하였다. 잔디속에 대한 연구로 일본에서는 Tateoka(1955)가 Z. japonica와 Z. macrostachya 두종의 염색체를 밝힌 바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Lee(1966)가 Z. macrostachya의 표피형과 관다발을, 李(1979)가 Z.japonica의 화분을 밝힌 것이 있을 뿐 전반적인 연구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산 잔디속 식물에 대한 외부 형태 및 잎의 표피형, 관다발, 화분 등을 조사함으로써 종간의 차이 및 종내의 변이를 알고자 하였다. 본 한국산 잔디속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잔디는 전국에 분포하며, 금잔디는 중부이남에, 갯잔디는 서·남해안에, 그리고 왕잔디는 동·남해안에 분포하였다. 2. 소수의 길이, 외영에 대한 호영의 길이의 비, 잎의 표피형을 토대로 4종에 대한 검색표를 만들었다. 3. 잔디는 한라산 500M와 1100M에 비해 1500M에서 식물체가 크고 화축이 휘며 지하경과 뿌리 그리고 맥 위의 prickle이 현저하게 발달하였으며 macro-hair가 크고 길며 많았다. 1100M에서는 기공이 작고 둥글며 기공의 수, micro-hair의 수, 맥 위의 prickle수가 적었다. 또한 고도가 높을수록 long cell의 크기는 작아지고 macro-hair의 수는 증가하였다. 또한 평지와 산지, 산정의 잔디에 비해 모래땅의 잔디가 기공이 크지만 기공의 수와 microhair의 수, 그리고 잎의 관다발 수는 적었다. 산지의 잔디는 식물체가 가장 크고 잎이 길었다. 4. 해안 모래땅의 갯 잔디는 개흙에 비해 식물체가 작고 기공이 컸으며 기공의 수는 적었다. 또한 모래와 흙이 섞인 땅의 갯 잔디는 다른 지역에 비해 식물체가 크고 기공의 수와 micro-hair의 수가 많았다. 5. 경북 월성의 해안에서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채집된 잔디속의 일종을 Z. sinica HANCE var. robusta HONDA로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약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