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종희.-
dc.creator김종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8Z-
dc.date.issued198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7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9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72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화재 발생후 제1 생장기가 경과된 후의 초지식생에서의 불에 의한 영향이 식생과 토양에 미치는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치악산에서 불이 난 지역과 불이 나지 않은 인접 지역에서 조사하였다. 1. 각 임지에 나타난 중요치 값으로 초지식생물 세가지의 무리로 분리하였다. 즉, Increaser species로서 Miscanthus sinensis, Pueraria thunbdergiana, Pteridium aquilinum var. latinusculum, Commelina communis의 8종, Decreaser species로써 Phragmites communis, Arundinella hirta, Erigeron canadensis Viola mandshurica외 3종, Neutral species로서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Potentilla freyniana, Patrina villosa외 5종으로 분리기준을 삼은 것이 그것이다. 2. 생체량은 불이 난 지역이 불이 나지 않은 지역의 2.2배 가량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불로 인해 생산성이 증가된 결과로 볼 수 있었다. 3. 임지사이의 종의 유사성은 Jaccard의 지수와 Beals(1960)에 의해 변형된 Motyka의 지수 및 상관계수 값으로 비교하였다. 이 3개의 값은 불이 난 지역인 B_(1)-B_(2) 임지사이와 불이 나지 않은 지역인 U_(1)-U_(2) 임지사이가 높았으며, 불이 난 지역과 불이 나지 않은 지역간에는 B_(2)-U_(2) 임지사이에서 높았는데, 그 까닭은 지형적 요건 가운데 경사도와 경사 방향이 크게 영향을 미친것으로 사료되었다. 4. 종 다양성은 불에 의해 증가되었다. 5. 불이 난 지역은 불이 나지 않은 지역에 비해 pH 및 유기물 함량이 증가되었으나, 수분함량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6. 토양내의 치환성 염기와 질소함량 및 인산함량은 불이 난 지역에서 증가되었고 특히, 표층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으나, sodium만은 6-10cm의 깊이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그 까닭은 sodium염이 다른 염류에 비해 해리도가 커서 용탈이 빠르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고 사료되었다. 또 총 질소는 불로 인한 휘발성이 가장 큰 성분이므로, 불이난 지역과 불이 나지 않은 지역 간의 차가 토양 표층에서 가장 작게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effects of fire after the first growing soason in Mt. Chiak. Fire effects were observed in structure and compositional details of vegetation and in changes of soil nutrients. 1. The importance value of spo cies in each stand was determined far three categories. (Increaser species, Decreaser species, Neutral species) 2. Biomass was 2.2 times higher on burned plots than on unburned plots. By this results, biomass was remarkably increased by fire. 3. To evaluate similarity two coefficients of community were used. And correlation coefficient wps estimated too. These indices showed th at burned and unburned community were markedly different. B_(1)-stand and B_(2)-stand appear most similar in all stands. 4. Species diversity was greater in burred than unburned stands. 5. Soil pH value and organic matter values in burned area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unburned area. However, soil water content was inversely decreased in burned area. There was no effects of burning in soil pH value and water content from 15-20 cm depth of soil. 6. All chemical compositions except sodium were remarkably increased in soil surface. The decreases in sodium levels at surface depths were presumably the rapid leaching reflected the increased solubility and docreased capacity for adsorption of sodium in comparison with potassium or calcium. Among chemical compositions of soil nitrogen amount has the least difference between the both surfaces. It is because nitrogen has volatile character, so lot of nitrogen was volatilized as smok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조사지역 = 4 A. 조사지 개요 = 4 B. 조사지 설정 이유 = 6 Ⅲ. 연구과정 = 7 A. 연구내용 = 7 1. 초지식생의 진단 = 7 2. 토양 환경 요인의 진단 = 7 B. 연구방법 = 8 1. 초지식생의 진단 = 8 2. 토양 환경 요인의 진단 = 10 Ⅳ. 결과 및 고찰 = 12 A. 식생 = 12 1. 초지식생의 무리지움(grouping) = 12 2. 지상부의 생체량 = 21 3. 각 임지간의 종의 유사성 = 23 4. 각 임지간의 종의 다양성 = 25 B. 토양 = 25 Ⅴ. 결론 = 35 REFERENCE = 37 ABSTRACT = 4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696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치악산-
dc.subject토양-
dc.subject식생-
dc.subject산불-
dc.title치악산의 식생과 토양에 미친 산불의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fire on begetation and soil nutrients in Mt. Chiak-
dc.format.pageviii, 4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생물학과-
dc.date.awarded198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약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